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 임신성 부종에 대한 수중운동의 효과

        임기은 ( Ki Eun Lim ),문영진 ( Young Jin Moon ),조태승 ( Tae Seung Cho ),이문휘 ( Mun Hwi Lee ),장지혜 ( Ji Hye Jang ) 대한주산의학회 2012 Perinatology Vol.23 No.3

        목적: 임신성 부종이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수중운동을 실시하여 수중운동이 부종감소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8월까지 제주 한라병원에 내원한 임신성부종이 있는 임산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45분간 수중운동을 실시하였고 수중운동 시행 전, 후에 산모의 활력상태, 소변 비중, 체중, 태아 심박동수, 양쪽 장딴지 부피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중운동 시행 후 우측 장딴지의 부피는 1,714mL에서 1,428mL로 286mL 감소하였고(P<0.0001), 좌측 장딴지의 부피는 1,644mL에서 1,377 mL로 267mL 로 감소하였으며(P<0.0001), 양측 장딴지의 부피는 3,359mL에서 2,805mL로 553mL 감소하였다(P<0.0001). 소변비중은 1.0197에서 1.0150으로 감소하였다(P=0.004). 산모의 체중과 심박동수, 혈압 및 태아 심박동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임신성 부종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수중운동이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nfirm the effect of water exercise program for treating the gestational edema. Methods: Both low leg volume, body weight and urine specific gravity were measured in thirty women with gestational edema before and after water exercise program. Fetal heart rate, maternal heart rate and maternal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water exercise program. Results: Right leg volume was decreased by 286 ml from 1714 to 1428mL (P<.0001), left leg volume was decreased by 267mL from 1,644 to 1,377mL (P<0.0001), and total leg volume was decreased by 553mL from 3,359 to 2,805mL (P<0.0001). Urine specific gravity was decreased by 0.0047 from 1.0197 to 1.0150 (P=0.004). Maternal body weight,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fetal heart rate wer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 Water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and safe method for treating the gestational edema.

      • KCI등재

        두 공존태아와 동반된 완전포상기태

        박현종 ( Hyun Jong Park ),이문휘 ( Mun Hwi Lee ),문영진 ( Young Jin Moon ),임기은 ( Ki Eun Lim ),하창원 ( Chang Won Ha ),권자영 ( Ja Young Kwon ),박용원 ( Yong Wo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4

        Hydatidiform mole with a coexisting fetus is rare, but this condition has recently shown an increased incidence because of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In most of the reported cases, termination at diagnosis was preferred due to poor fetal survival and maternal risk factors such as vaginal bleeding, preeclampsia, hyperthyroidism, potential of malignant change. However, considering the value of pregnancy by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y, whether to continue or to terminate this condition is a dilemma. Based on currently available information, it seems that it is reasonable to allow the pregnancy to continue in the absence of maternal complications. We report on a case of the complete hydatidiform mole with two coexisting fetuses with a brief reviews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