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timation of trade exhibitions by foreign organizers in Bangladesh and lessons for Korean organizers’ business expansion

        익발 뷰얀,윤기관 한국무역전시학회 2016 무역전시연구 Vol.11 No.2

        최근들어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은 급성장하였다. 현재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의 발 전은 비록 초기 단계에 놓여 있지만 비약적인 발전 가능성 측면에서는 큰 잠재력을 보 여주고 있다. 전시산업은 관광 및 오락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국 민경제의 발전에 있어서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국내외 무역전 시주최자들이 방글라데시에서 많은 무역전시를 개최하였다. 무역전시회 관련 다른 무 역 기관이나 협회들도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의 발전을 위해 무역전시주최자로서 역할 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는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의 전반적인 상황 을 분석하고, 국내외 전시주최자들의 무역전시회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며, 둘째는 한국 의 무역전시주최자들이 방글라데시에서 성공적인 무역전시회를 론칭하기 위하여 필요 한 몇가지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전시주최자들이 방글라 데시에서 이루어 놓은 무역전시 활동에서의 커다란 기여를 제시하였다. 역사적으로 한 국은 방글라데시의 좋은 무역파트너이고, 방글라데시의 기성복 의류산업의 초기단계 발전에 있어서 독보적으로 기여하였다. 따라서 한국 무역전시주최자들이 방글라데시에 서 무역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방글라데시에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많은 한국 기업 들이 혜택을 입어 방글라데시의 전시산업 발전에 있어서 인상적인 발자국을 남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방글라데시 정부가 방글라데시 무역전시 산업의 발전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을 현실화시켜 방글라데시 무역전시산업이 더욱 선진 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원조직과 프로그램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Bangladesh’s exhibition industry has witnessed tremendous development in the recent years. Although the industry is currently at a nascent stage in terms of developmental typology, it has huge potential to develop. Having the direct impact on the tourism and hospitality sector, the industry was already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national economy. Throughout the years, a significant number of trade exhibitions are organized by both local and foreign organizers. Different trade bodies and associations are also working as exhibition organizers to develop this important industr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raw out an overview of Bangladesh’s exhibition industry, analyze trade exhibition activities of local and foreign organizers, explore the conditions for launching successful trade exhibition opening in Bangladesh, and provide suggestions for Korean organizers to expand their organizing business in this market. The paper finds out that foreign exhibition organizers have a great role in the recent development of exhibition activities in Bangladesh. Historically Korea is a good trading partner of Bangladesh and contributed solely in the first phase development of ready-made garments (RMG) industry of Bangladesh. Thus, Korean exhibition organizers have also great opportunities to make a strong foot print in Bangladesh’s exhibition industry realizing the benefits from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Korean companies in Bangladesh. In particular, the analysis suggests that Bangladesh Government should develop a variety of supporting systems and programs for making the country’s trade exhibition industry more advanced through realizing its own potential and growth feasibility.

      • KCI등재

        국제사회의 대최빈국 원조 평가와 한국원조정책의 새패러다임 모색

        윤기관(Ki-Kwan Yoon),임소선(So-Sun Lim),익발 뷰얀(Iqbal Bhuyan) 한국아프리카학회 2015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6 No.-

        선진국들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원조를 통한 개도국들의 경제사회발전을 시도한 이래 큰 진전이 없자 국제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원조방식의 모색을 시도하였으나 여전히 성과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국제사회는 원조 수원국이었던 한국이 공여국들로부터 제공받은 원조를 통하여 ‘무역을 통한 경제발전’(AfT)의 성공으로 말미암아 원조공여국으로 국격이 바뀐 그 경험을 공유하도록 요구하여 한국은 현재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ECD의 ODA효과성 증진 동참의무, 한국 스스로의 KSP효과성 증진의 필요성 제기, 통일한국 2020∼2030년 비전달성을 위한 에너지자원 및 6대전략광물자원의 안정적 확보 그리고 이머징마켓은 물론 프로티어수출시장 확보를 위해 추진중인 FTA의 활용성 제고 등을 연계시킨 융·복합형 개도국 원조 방식으로 〈ODA-KSP-무역보험-FTA연계형 AfT모델〉을 구축하자는 〈새로운 원조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Since the Second World War, most advanced counties had been working to assist the developing countrie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rough aid, but unfortunately there has not been big progress as expected. Therefore they had tried to draw and apply several other types of aid and/or methods, their performance is still very insufficient. Hereupon, international society demands that Korea as an OECD/DAC member share its success experience with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based on Aid for Trade (AfT). Korea responds accordingly and is currently implementing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in many least developing countries. Under this background, the authors suppose that Korea should establish a new aid policy model of “ODA-KSP-Insurance Trade-FTA Linkage Type” on a feasibility assessment basis like in the case of D.R. Congo. The new paradigm of aid model is a fusion and complex type of aids currently available to all developing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