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학기공 명상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주의집중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집중력과 기감과의 상관관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학기공 명상 프로그램이 부적응 여고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주의집중력과 기감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문제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J시 여자상업고등학교 야간생을 처치집단으로 하고 동일 지역의 인문계 여고생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각각 17명과 14명을 최종 통계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사전-사후 주의집중력 검사에서 처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문제행동 검사에서는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처치집단의 기감, 주의집중력, 문제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비교집단의 문제행동 사전-사후 검사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처치집단의 기감과 주의집중력은 정적인 상관관계 즉 기감이 높을수록 주의집중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감을 높이는 국학기공 명상 프로그램이 부적응 여고생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 국학, 기공, 명상, 주의집중력, 기감, 문제행동

      • KCI등재후보

        한국선도문헌의 연구사 소고 - 전승과정과 위작논쟁을 중심으로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09 선도문화 Vol.6 No.-

        1940년대까지 『천부경』81자 전문이 전해져 오는 문헌은 12종이 있으며, 해방이후에도 『천부경』에 대한 연구나 해제가 꾸준히 지속되었다. 현전하는 『천부경』은 노사 기정진본, 태백일사본, 농은유집본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계연수가 1917년 단군교당에 전한 묘향산석벽본은 여러 정황상 그 출처에 의문점이 있으며, 태백일사본과 그 전문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묘향산석벽본과 태백일사본은 동일한 전승과정인 것으로 보인다. 『천부경』과 함께 한국선도경전에 속하는 『삼일신고』는 발해석실본, 태소암본, 신사기본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시대순으로 구분하면 신사기본이 신시개천시대 이후 전해진 『신고』의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석실본, 이암이 분장한 태소암본 순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선도사서중의 하나인 『규원사화』는 조선 숙종원년(1675년)에 북애자가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 사학계에서는 위작논쟁 중에 있다. 『규원사화』에 내포된 사상이 근대의 단군민족주의 사상과 유사하다고 해서 후대의 위작으로 보는 것은 적절치 못한 견해이며, 『규원사화』는 고려 말 이후 지속적으로 계승된 선가의식에서 저술된 문헌으로 봐야 할 것이다. 『규원사화』에 대한 진위논쟁과 단군 실존성의 대해서는 실증사학적인 측면의 편향된 논쟁에서 벗어나야 하며, 이제는 한국고대의 역사의 한 단면으로서 그 사상과 철학적 체계를 살펴보는 것에 연구 의의를 가져야 할 것이다. 『환단고기』는 1911년 계연수가 『삼성기』, 『단군세기』, 『북부여기』, 『태백일사』 네 종류의 책을 하나로 묶어 인쇄한 후, 1949년에 이유립이 오형기를 통해 정서시킨 것이 1979년에 와서 공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전승과정에 다소 의문점이 있고 후대에 가필한 흔적이 있을지라도, 그 속에는 우리 나름의 사유 방식과 세계 이해의 틀이 내재되어 있기에, 역사적․사료적 가치로만 재단할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문화․정치․철학․사상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규원사화』와 『환단고기』의 내용은 선도경전인 『천부경』과 『삼일신고』에 일관되게 보이는 한국선도의 특징인 ‘삼원론’이라는 공통적인 사유체계를 보이고 있다. 두 문헌에 보이는 선도계통의 역사인식은 조선조의 유교적 역사인식과는 큰 차이가 있고, 조선조 지배세력을 형성하지 못했기에 산간에 숨어서 생명력을 이어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비록 은둔해 있었을지라도 그 존재를 현재까지의 연구성과를 통해 선명히 확인할 수 있다. 한국선도의 전승과정은 선도사서의 성립을 가능케 한 사상적 모태가 되었으며, 선도사서의 존재는 한국선도의 존재를 증명해주는 자료이기도 한 것이다. 선도사서에 대한 위서론은 이 같은 사실을 간과한데서 나온 잘못된 판단이라고 보여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