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행증의 작업치료

        이희령(Hee-Ryoung Lee),우희순(Hee-Soon Woo)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서론: 실행증이란 운동 및 감각 저하, 이해력의 손상, 협응의 문제가 없음에도 이전의 친숙한 과제나 학습된 행동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광범위한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이러한 실행증은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 사회 참여 및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에 부정적 영향을 유발하기 때문에 작업치료의 대상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증 클라이언트의 효과적인 작업치료 시행을 위해 실행증과 관련된 포괄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론: 실행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지시에 따라 흉내 내기, 흉내 내는 것 보고 모방하기, 다단계 작업 완료하기 등 임상 관찰을 통한 평가와 Test of Upper Limb Apraxia (TULIA) 및 Apraxia Screen of TULIA (AST)와 같은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실행증을 위한 대표적인 근거 기반 중재로는 제스처 훈련과 전략 훈련이 있고, 아직까지 근거는 부족하나 가상현실이나 거울을 이용한 중재도 실행증 치료에 도입되고 있다. 최근 작업치료의 인지재활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기능적 인지 개념을 이용한 중재 역시 실행증의 치료로 적용할 수 있다. 기능적 인지 중재로는 작업수행기반의 실행증 평가와 과제/습관 훈련, 전략 훈련, 보호자 교육 및 활동/환경 수정과 같은 간접 중재 등이 있다. 결론: 실행증은 의도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유발하여 클라이언트의 기능적 활동 수행능력을 저하시킨다. 이에 실행증이 있는 클라이언트의 개별 중상에 맞춘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정보는 실행증에 대한 근거 기반 작업치료 시행에 의미있게 사용되길 기대한다. Purpose: Apraxia is a target of occupational therapy because it negatively affects a person ability and independence in performing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person’s social participation. We aim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related to apraxia to effectively provide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apraxia. Subjects: Diagnosis of apraxia involves evaluation through clinical observation, such as the ability to pantomime, imitate, and complete multi-step tasks, and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such as the Test of Upper Limb Apraxia (TULIA) and the Apraxia Screen of TULIA (AST).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apraxia include gesture and strategy training. Although evidence is still lacking, interventions using virtual reality or mirrors are also being introduced to treat apraxia. Interventions based on functional cognition concepts can also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apraxia. Functional cognitive interventions include tasks/habits and strategies and indirect interventions. Conclusion: Apraxia can cause difficulties when attempting to perform intentional movements, thereby reducing a participant's ability to perform functional activities. Accordingly, implementing pat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tailored to the special needs of patients with apraxia is necessary.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for the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apraxia.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워드 클라우드 분석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 혼합설계

        주유미(Yumi Ju),김영근(Young-geun Kim),이희령(Hee-Ryoung Lee),홍승표(Seung-Pyo Hong),한대성(Dse Sung H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4 재활치료과학 Vol.13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론과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인지재활에 대한 부모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 5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아울러 Python을 사용하여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하였고, 출현 빈도 수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5명의 연구자가 의미 단위와 주제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재활의 현상에 대한 의미 단위 43개 및 구성요소 9개를 도출하였고, 이로부터 총 3개의 주제를 최종 도출하였다. 도출된 중심 주제는 인지재활의 정의, 인지재활의 문제점, 인지재활 기관 선택 시 고려사항이었다. 인지재활은 발달장애 아동의 학습, 일상생활 기능, 인지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치료라는 인식이 있었다. 인지재활의 문제점으로는 치료방식, 치료사의 전문성, 치료비용에 관한 문제인식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지재활 기관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치료사의 전문성, 입소문, 비용과 시간의 적정성이 있었다. 결론 :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는 인지재활을 통해 아동의 실질적인 기능 향상을 기대하고 있었고, 이와 더불어 임상에는 현실적인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한 보다 나은 인지재활 서비스로 발전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al perspectives on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a combinati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word cloud analysis. Methods :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rd clou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ython, and five researchers analyzed the meaning units and theme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Words with high frequency were considered as a heuristic tool. Results : A total of 43 meaning units and nine components related to the phenomenon of cognitive rehabilitation were derived, and three themes were finalized. The main themes encompassed the definition of cognitive rehabilitation, challenges associated with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institute. Cognitive rehabilitation emerged as a treatment focused on improving learning, daily functioning, and cognitive abiliti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erceived issues with cognitive rehabilitation pertained to treatment methods, therapist expertise, and associated costs. In addition, paren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rapist expertise, humane personality, and affordability of cost and schedule when choosing a cognitive rehabilitation institute. Conclusion : Parents expressed expectations for substantial improvements in their children's daily functioning through cognitive rehabilitation. However, challenges were identified in clinical practices. Going forward, we expect that cognitive rehabilitation will evolve into a better therapeutic support service addressing the concerns raised by parents.

      • 작업기반실천측정(Occupational Based Practice Measure)의 한국어 번역 및 내용타당성 검증 연구

        정주희 ( Jeong Juhee ),김영근 ( Jeong Juhee ),이희령 ( Lee Hee Ryoung ),주유미 ( Ju Yumi ),한대성 ( Han Dae Sung ),홍승표 ( Hong Seung Pyo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2 No.2

        목적: 본 연구는 Khayatzadeh-Mahani(2022)의 작업기반실천측정(Occupational Based Practice Measure, OBPM)을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한국어로 번안하고 내용타당 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OBPM의 문항을 한국어로 번역-역번역을 수행하고 작업치료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내용이해도를 측정한 후 번역위원회에서 토의를 거쳐 최종 한글 판을 완성하였다. 아울러 임상 경력 10년 이상의 작업기반실천을 시행하는 치료사 19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과 Excel 2016을 이용하여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OBPM 문항 중 5, 9, 14, 16, 30, 36번 문항에서 번역-역번역본 간의 차이가 있었고, 전문가 번역위원회를 통해 재조정하였다. 2차 수정까지 논의가 되었던 용어에는 ‘playful and joyful activities’와 ‘occupational therapy domain of practice’가 있었고 이는 최종적으로 ‘놀이답고 재미있는 활동’과 ‘실행영역’으로 번역하였다. OBPM 전체 문항의 CVI는 0.681이고, 안정도는 0.16, 수렴도는 0.43, 합의도는 0.81로 나타났다. CVI가 0.42보다 낮은 항목은 12, 13, 14, 15, 18, 19, 20, 25번 문항(총 8문항)이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OBPM의 국내 적용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한글판 OBPM은 임상에서 사용되기에 타당하나 일부 문항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국내 작업 기반 임상의 문화 특이성을 반영한 평가항목 수정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translate Khayatzadeh-Mahani’s (2022) Occupational Based Practice Measure(OBPM) in Korean and verify content validity. Method: The OBPM items were translated and back-translated into Korea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items was test by 5 Occupational Therapy(OT) experts, and the final Korean version was finalized after discussion at the translation committee. In addition, a content validity was tested on 19 occupational therapists who implemented occupation-based intervention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content validity index (CVI), stability, convergence, and agreement using SPSS 29.0 and Excel 2016. Results: Among the OBPM question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ranslated and back-translated versions in items of 5, 9, 14, 16, 30, and 36, which were re-modified through an translation committee. The terms discussed until the second revision included ‘playful and joyful activities’ and ‘occupational therapy domain of practice.’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of all OBPM items was 0.681, stability was 0.16, convergence was 0.43, and agreement was 0.81. Items that were found to be invalid based on the CVI cutoff level(0.42)included items 12, 13, 14, 15, 18, 19, 20, and 25. Conclusion: The OBPM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n Korean. The overall Korean OBPM was found to be valid for clinical use, but some items were still found to be invali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modify the items to reflect the cultural diversity of occupation-based clinical practice in Korea.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에서 인지재활 현황 및 미래발전방안 조사연구: 임상현장 작업치료사 중심으로

        김영근(Young-Geun Kim),홍승표(Seung-Pyo Hong),이희령(Hee-Ryoung Lee),주유미(Yumi Ju),한대성(Dae-Sung Han)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에서 과거와 비교하여 인지재활의 발전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인지평가와 인지중재에서 문제와 제도적 난제를 밝히며, 한국의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정책 제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최초 조사대상자는 현재 작업치료 현장에서 직무수행을 하고 있고, 인지재활에 관심 있는 대한인지재활학회 정회원 3,448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이루어졌다. 이들 중 본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성실하게 답변한 154명의 참가자가 최종 조사대상이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인지재활 발전현황과 문제점 및 향후 발전방안을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타당성을 갖춘 104개 항목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정량화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인지재활은 작업치료에서 지속적 발전을 거듭하였다. 법적으로 작업치료 업무범위로 보장을 받았고,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전문 교육이 강화되었으며, 인지재활을 시행하는 기관과 치료사가 늘어났다. 그러나 작업수행 기반 인지재활 평가도구와 작업치료 시간 내 평가가능한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는 인지재활 의료보험 수가 확대와 인지재활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임상현장의 작업치료사들은 인지요소별 중재보다 작업수행 기반의 기능인지가 임상현장에서 실현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결론: 인지재활은 작업치료사의 주요 직무이고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인지재활 발전을 위해 지난 과거부터 해결하지 못하고 난제로 남아있는 의료보험 수가 등의 제도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 작업치료 현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지평가도구, 중재기술, 기능인지 중심 인지재활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CR) and provide policy suggestions and future directions. Methods: From September 2022 to February 2023, a survey was distributed to currently working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A total of 154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contained 104 items about the development,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of CR, which were validated from the previous Delphi pilot study, and a 5-point scale was used for scoring. Results: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OT) in CR has been legally covered. Post-professional education has improved, and the number of organizations and therapists providing CR has increased. However,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occupation-based cognitive assessments and intervention tools for short practice sessions. Institutionally, medical insurance reimbursements for CR and guidelines for the therapist’s role should be developed. The OTs recognized the need for functional occupation-based CR rather than a bottom-up approach for implementation in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CR is one of the major specialties of OT, therefor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address systemic issues such as medical insurance reimbursement and support clinical profess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