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시스템에 대한 인지 특성

        이효녕,김승환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 양식에 따른 지구시스템에 대한 인지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24명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근거로 사고양식 측정 검사를 실시한 후, 그 유형에 따라 Type Ⅰ (입법적, 사법적, 전체적, 진보적)과 Type Ⅱ (행정적, 지엽적, 보수적)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 후 각 집단에 대해 설문지 3종(A, B, C형), 단어 연상, 그림 분석, 개념 지도, 숨겨진 차원파악하기(hidden dimension inventory), 자료해석 및 그 결과에 대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양식 유형은 입법적, 사법적, 무정부적, 전체적, 외부적, 그리고 진보적 사고 양식의 특성을 나타내어 새로운 과제를 선호하며, 창의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사고 유형에 따른 지구시스템에 대한 인지 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이해’에서 Type Ⅰ, Ⅱ 집단의 양적 측정치는 비슷하였으나,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시스템 내 관계 파악’은 사고양식 유형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Type Ⅰ집단이 보다 다각적, 역동적, 순환적으로 접근하여 보다 유리하다. 셋째, ‘시스템 일반화’에서 시스템에 대한단순 해석 능력은 두 집단 모두 비슷하나, 숨겨진 차원 요소를 가미하여 추정할 경우 일반화 경향이 Type Ⅰ집단이 우수하다. 하지만 시스템 예측 측면에서는 집단에 관계없이 미약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시스템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있어 다양한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 전략이 요구되며, 이를 통한 시스템 인지와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의 활용성과 기대 효과가 클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on the earth system based on their thinking style. The subjects were 24 science gifted students at the Science Institute for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e students’ thinking styles were firstly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Sternberg’s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And then,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ype Ⅰ group(legislative, judicial, global, liberal) and Type Ⅱ group(executive, local, conservative) based on Sternberg’s theory. Data was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type of questionnaires(A, B, C types), interview, word association method, drawing analyses, concept map, hidden dimension inventory, and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ir thinking styles were characterized by ‘Legislative’, ‘Executive’, ‘Anarchic’, ‘Global’, ‘External’, ‘Liberal’ styles. Their preference were conducting new projects and us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es. The results of students’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n earth system were as follows: First, though the two groups’ quantitative value on ‘System Understanding’ was very similar, there were considerable distinctions in details. Seco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m the System’ was closely connected to thinking styles. Type Ⅰ group was more advantageous with multiple, dynamic, and recursive approach. Third, in the relation to ‘System Generalization’ both of the groups had similar simple interpretational ability of the system, but Type Ⅰ group was better on generalization when ‘hidden dimension inventory’ factor was added. On the system prediction factor, however, students’ ability was weak regardless of the type. Consequently, more specific development strategies on various objects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ystem learning program.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practically and effectively used on various fields related to system recognition.

      • KCI등재

        중등학생의 수・과학 역량 강화를 위한 STEM 생각교실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STEM에 대한 태도 및 진로 인식에 대한 효과 분석

        이효녕,이현동,권덕기,전재돈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교사교육연구 Vol.6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생의 수・과학 역량 강화를 위하여 ‘STEM 생각교실’이라는 주제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중・고등학생들에게 적용하여 STEM에 대한 태도와 진로 인식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수・과학 중심의 차시대체용 교수-학습 프로그램과 무한상상실용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고등학생 461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동의한 학생 155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수・과학 대체차시용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은 4종으로 모두 20차시를 개발하였고, 무한상상실용 프로그램은 3종으로 모두 15차시를 개발하였다. 수업에 참여하고 설문에 동의한 155명으로부터 프로그램 투입 전과 후 STEM에 대한 태도, 진로 인식에 대하여 설문을 실시한 결과 STEM에 대한 태도에서는 하위요인인 인식과 능력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진로 인식에서는 과학, 수학, 기술/공학 교과 모두에서 진로 선택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등학생들의 과학, 수학, 기술/공학에 대한 역량 향상과 이와 관련된 진로 선택 인식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 적합한 STE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민요 달강달강의 전승과 판소리적 수용양상

        이효녕 한국공연문화학회 2020 공연문화연구 Vol.0 No.41

        This is a paper that examines the meaning and changes of how Dalgang Song, a parenting song, is accepted in pansori works and how it plays a role in the narrative of the work. In Chapter 2, Compared the lyrics of Dalgang-Dalgang in actual parenting scene and Dalgang-Dalgang in Pansori’s work. As a result, the songs in Pansori, show some differences in lyrics, but most of them kept the narrative structure intact. Among them, Gangreung-maehwa-ga maintained the phrase “Dalgang-Dalgang” in front and back, making the least changes. Simcheong-ga and Jeokbyeok-ga maintained their epic structures, but the the front and the rear phrase turned into a “Uh huh, Doong doong”. And Dalgang-Dalgang was sung mostly by its mother or grandmother at the actual parenting scene, but the song in Pansori, was all sung by men. Dalgang song in Pansori, had a mostly Gyemyeon melody due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Pansori. Also Dalgang-Dalgang for actual parenting, was sung with a leisurely, soft beat. But Dalgang song in Pansori’s works were sung rhythmical with Jungjungmori rhythm or Jajinmori rhythm to maximize joy. In Chapter 3, I discussed the roles and meanings of Dalgang song contained in Pansori. Dalgang-Dalgang of Simcheong-ga appeared in the crucial process of Sim Hak-kyu’s return to will of life through Simcheong after the death of his wife. In Jeokbyeok-ga, Dalgang song also appeared as a tool to recall the happy memories with his son. On the other hand, Dalgang-Dalgang of Gangreung-maehwa-ga played a role of expressing affection for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no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is is beyond the original meaning of parenting, which means the hedonistic and excessive affection of Mr. Gol. The desire to change a relationship between a man and a woman into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lso found in Kim Yeon-soo’s Chunhyang-ga. This change is an example of how the role and meaning of Dalgang song has changed dramatically as it was inserted into pansori. And the reason why Dalgang-Dalgang was so important in the narrative of Pansori was because of The lyrics of the song contain the love of the baby. 본고는 아기 어르는 소리 ‘달강달강’이 판소리 작품에 어떻게 수용되고, 작품의 서사 안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의미와 변모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2장에서는 육아 현장에서 불렸던 달강달강의 지역적 분포, 아기 어르는 소리로서의 성격, 서사구조, 음악적 특징 그리고 현재적 전승에 대해 살폈다. 3장에서는 민요 달강달강의 가사와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의 가사들을 함께 비교하여 그 수용양상을 살폈다.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은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육아현장에서 불리던 민요 달강달강의 서사구조를 대부분 간직하고 있었다. <심청가>와 <적벽가>의 달강달강은 서사구조는 비슷했지만, 앞뒤의 구절에서 “어허둥둥 내 딸(아들)이야”로 차이가 있었으며, ‘도리도리’나 ‘쥐얌쥐얌’ 같은 <단동치기십계훈>의 내용이 추가됐다. <강릉매화타령>에서는 민요 달강달강의 서사구조는 물론 “달강달강”이라는 앞뒤 구절까지 유지되어 민요와의 차이가 가장 적었다. 실제 육아현장에서 달강달강은 주로 엄마나 할머니에 의해 불려졌지만,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은 모두 남성에 의해 불려졌다는 점도 특징이다. 민요 달강달강은 지역에 따라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 경토리 등 다양한 선법으로 불리며 자장가처럼 단순한 구조가 반복되는 선율이지만, 판소리의 달강달강은 판소리라는 음악양식의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 평계면의 선법과 서사맥락에 따른 극적인 선율로 짜여졌다. 아기를 어르기 위한 민요 달강달강은 여유있고 나긋한 박자로 불렸지만, 판소리 작품 속 달강달강은 서사적 맥락에 의해 속도감 있는 ‘중중모리’나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불렸다. 4장에서는 판소리에 수용된 달강달강이 작품 안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의미, 그리고 변모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달강달강은 각 판소리 작품 속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서사 맥락과 극적 상황에 따라 사설과 선율이 변용되면서, 새로운 역할과 의미를 수행하고 있다. <심청가> 속 달강달강은 곽씨 부인을 잃고 슬픔에 잠긴 심봉사가 심청을 통해 삶의 의지를 되찾는 과정에서 등장했으며, <적벽가>에서는 어린 아들을 어르던 위나라 군사의 추억 회상 장면에서 달강달강의 사설이 사용됐다. <강릉매화타령>에서 달강달강은 부모자식관계가 아닌 남녀의 애정관계로 변모했다. <강릉매화타령> 속 달강달강은 육아의 현장에서 불린 ‘아기 어르는 소리’의 의미에서 벗어나 골생원이 가진 향락적인 삶의 태도와 지나친 성적 욕망을 이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판소리에서 달강달강은 대부분 환희의 장면에서 수용됐는데, 이는 아기를 어르는 지극한 애정의 감정이 판소리의 서사 맥락과 극적 상황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라 하겠다.

      • KCI등재

        융합형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천문 분야 용어 분석

        이효녕,강용희,송미진,조현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rms of astronomy area used in six convergence science textbooks by 2009 curriculum re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the first, the contents about astronomy occupied about 18.6% account of science contents. There were the terms which all textbooks used, but some terms were not used other text book, and the others were used in only one textbook. And the second, there were some terms of having certain concept which had described differently. It wa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the effort to prevent to descript same meaning terms differently and to make guideline for the depth and width of the terms.

      • KCI등재

        학교 과학교육에서의 과학적 논증활동을 위한 탐구학습 지도방법 탐색

        이효녕,조현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eaching method for scientific inquiry including scientific argumentation to increase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For this study, the detailed guideline including assessment frame for students' argumentation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eventh and ninth grade students. From this appli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tudents' views by pre, post questionnaire and the teachers who had taught to their students by questionnaire including students' attitudes change and applicability. From this study, the result were following. The change of students' perceptions was revealed by questionnaire and the teachers' descrip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this teaching method was indicated by the teachers' opinion. From these findings, the method was found as applicable teaching method to teach scientific inquiry including scientific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 KCI등재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

        이효녕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2 No.7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과 중학교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기초적인 인식을 조사하였다. 1219명의 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 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지구계와 관련된 23개의 개념(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과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지구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결과를 살펴보면 약 67%의 학생들이 지구계에 대한 용어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지구계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대기권과 수권을 가장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빙권에 대해서는 지구계의 구성요소로서 낮은 이해 수준을 보였다. 23개 지구계 관련개념(내용)에서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ESU#4, 5, 6에 관련된 주요 개념에서 남학생들이 이해 수준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학년별로는 23개 중에 10개의 개념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 차이를 나타냈다. 교육과정의 실행과 학교 현장을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earth systems in order to implement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ffectively. A total of 121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sked to determine their basic understandings about earth systems, self-reported knowledge level, and perceived significance level of the 23 earth systems concepts (contents). In relation to students’ basic understandings about earth system, approximately 67% students reported that they didn’t know about the term of the earth system. Atmosphere and hydrosphere were highly perceived as major component of earth system. However, cryoshere was perceived to be least familiar by the subject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students’ self-reported knowledge level and significance level about major ESU#4, #5, #6 related concepts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Most of male students were more knowledgeable and perceived more significant than female students. Regarding the difference of the perceived significance level by grade, 10 out of 23 concep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om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e revised curriculum and school fields were discussed.

      • KCI등재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n Exemplary Science Teacher’s Earth Systems Education Experiences

        이효녕 한국지구과학회 201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1 No.5

        The purposes of this case study were (1) to explore one experienced teacher’s views on Earth Systems Education and (2) to describe and docu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Systems Education (ESE) curriculum provided by an exemplary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Dr. J. All the essential pieces of evidence were collected from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the experienced teacher and his eighth grade students, informal conversations, document analysis, and field notes. The NUD*IST for MS Windows was used for an initial data reduction process and to narrow down the focus of an analysis. All transcriptions and written documents were reviewed carefully and repeatedly to find rich evidence through inductive and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ESE provided a conceptual focus and theme for organizing his school curriculum. The curriculum offer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rn relevant local topics and to connect the classroom learning to the real world. The curriculum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students’ value and appreciation of Earth systems and concern for the local environment. His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very compatible with recommendations from a constructivist theory. His major teaching methodology and strategies were hands-on learning, authentic activities-based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e.g., mini-projects), and science field trips. With respect to his views about benefits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ESE, the most important benefit was that the curriculum provided authentic-based, hands-on activities and made connections between students and everyday life experiences. In addition, he believed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teach using ESE. However, the lack of time devoted to field trips and a lack of suitable resource materials were obstacle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 검증과 선호 과목에 따른 시스템 사고 비교

        이효녕,전재돈,이현동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verify the systems thinking factor struc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 to compare systems thinking according to their preferred subjects in order to get implications for following research. For the study, pre-tests analyze data from 732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STMI (Systems Thinking Measuring Instrument) developed by Lee et al. (2013).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the expert group council revised the STMI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respond to the 5-factor structure that STMI intended. In the post-test, 503 data were analyzed by modified STMI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e-te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e STMI with a test paper consisting of two factors (personal internal factors and personal external factors). The total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932 and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analyzed as .857 and .894. Second, for modified STMI,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ded a 4-factor instrument. Team learning, Shared Vision, and Personal Mastery were derived independent factors, and mental model and systems analysis were derived 1-factor. The total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886 and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analyzed as .686 to .864. Finally, a comparison of systems thinking according to preferred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ho selected science (engineering) group and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could be obtained using STMI modified by term and sentence structure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 is a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 of systems thinking with various student variables such as the preferred subjects.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등학생의 시스템 사고 요인 구조를 검증 하고 초등학생의 선호 과목군에 따른 시스템 사고를 비교하여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전 검사에서는 Lee et al.(2013)이 개발한 STMI로 초등학생 732명의 데이터를 수집 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이 STMI를 어떤 요인 구조로 인식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전 검사 결과를 기초로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생들이 STMI가 의도한 5요인 구조에 응답할 수 있도록 검사지를 수정하였다. 사후 검사에서는 수정된 STMI로 초등학생 503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검사에서 초등학 생들은 STMI를 2개 요인(개인 내적 요인, 개인 외적 요인)으로 구성된 검사지로 응답하였다. 검사지에 대한 전체 신뢰도는 .932였으며 요인별 신뢰도는 .857과 .894로 나타났다. 둘째, 수정된 STMI에 대해 서는 초등학생은 4개 요인으로 구성된 검사지로 응답하였다. 초등학 생은 팀 학습, 공유 비전, 개인 숙련은 각각 독립된 요인으로 응답하였 으며 정신 모델과 시스템 분석을 하나의 요인으로 응답하였다. 전체 검사지에 대한 신뢰도는 .886이었으며 요인별 신뢰는 .686∼.864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선호 과목군에 따른 시스템 사고를 비교한 결과 자연과학(공학) 과목군을 선택한 학생들과 예술(예체능)을 선택한 학생들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 생에게 적합한 용어와 문장 구조로 수정된 시스템 사고 검사지를 활용할 경우 시스템 사고를 비교하는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선호하는 과목군 등 여러 학생 변인들과 시스템 사고와의 관련성 연구도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