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직후 유교단체들의 성격에 관한 연구

        이황직(Yi, Hwang-Ji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4 현상과 인식 Vol.38 No.1·2

        이 연구는 그동안 학계의 무관심 속에 방치되었던 해방정국의 유교 단체에 대한 조사를 통해 당시 유교계의 흐름을 실증적으로 재구성하려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미군정 자료를 비롯한 각종 원자료와 비공식 자료를 확보하여 이 분야 연구에 필요한 기초 사료 확대를 시도했고, 이를 통해 당시 활동했던 유교 단체의 성격 규명과 참여자의 목록 작성 작업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당시 유교계가 여러 분파로 나뉘어 경쟁 또는 협력하면서 반탁독립운동과 통일국가건설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러한 기초 조사를 통해 이 연구는 해방정국을 주도한 유교인들의 대부분이 독립운동가 출신으로 대중의 높은 신뢰를 받았고 이들이 주도했던 유교 단체들도 각각 좌우파의 정치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입증했다. 유교계의 최고 지도자인 김 창숙은 일제하 최고 유학자 정 인보와 무정부주의 계열 인사(이 회영 휘하였던 이 정규, 이 을규)의 지지를 통해 유도회총본부를 구성하여 김 구의 반탁노선에 큰 힘을 실었다. 의병운동과 파리장서사건에 참여했던 유림과 그 후손들도 위 단체들의 대표급으로 활동했다.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유교계 독립운동에 관여한 최고 학자 3인에 해당 하는 유 인석, 곽 종석, 김 복한의 후손ㆍ문인들이 모두 해방정국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했다는 점에서, 유교 단체와 유교계의 건국운동의‘정통성’과‘연속성’이 입증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Confucian organizations during 1945~1948 in Korea and correct the commonly admitted ‘myth’, that is, Confucianists were indifferent to found new democratic state. Most scholars regard confucianism as a reactionary ideology which supports authoritative regime, on the contrary some regard it as a pro-democratic value for providing sources of thought to overcome the egoistic culture of modern society. But nobody researches the modern Confucian political movements and nobody gives attention to Confucianists’ strong contributions for modern Korea. According to this research, Confucian group activities at the time was very active and its’ influence was strong too. Confucianists have the support of the public in ‘Post-Liberation period’and had high confidence of all political parties including leftist groups. Confucian organizations at that time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1) pro-Japanese Confucianists’ organization: (Ky?ng-hag-won line) Yudo-hoe. (2) leftist Confucianists’ organizations: Taedong-hoe(/Minjok-taedong-hoe), J?n-guk Yugyo Y?nmaeng. (3) rightist and centrist Confucianists’ organizations: Taedong Yurim-hoe, Yugyo-hoe, Chosun Yurim S?ng-j?ng-hoe, J?n-guk Yurim Tong-Il-hoe, Chosun Kuk-min Y?n-J?ng-hoe, (4) provincial Confucianists’ organizations: (J?n-Nam) Tae-S?ng-hoe, (J?n-Buk) My?ng-Ryun-hoe.(Tae-gu) Tae-S?ng-hoe. This results teaches the historical continuity between Confucianists’ independence movements and their national foundation ones. Confucianists who participated in organized activities of the time were mostly prominent fighters for independence or their descendents, especially ‘Paris Jang-s? Movement’(the petition of the Korean Confucians to the Versailles Peace Conference).

      • KCI등재

        토크빌의 제도와 습속의 방법론 연구

        이황직(Hwang Jik Yi) 한국사회이론학회 2009 사회이론 Vol.- No.36

        이 논문은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의 서술 구조와 연구방법의 핵심적인 특징에 대해 탐구한 결과이다. 그가 발전시킨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정치학"의 핵심은 토크빌의 저술 전체를 통괄하여 분석할 때 비로소 드러난다. 그것의 핵심은 크게 두 차원에서 나타난다. 하나는 개별 사례를 분석할 때 미시적 차원에서 합리적 심리학에 기초한 방법론적 개인주의의 설명 논리이다. 다른 하나는 저서 전체의 논리적 질서를 부여하는 제도와 습속을 독립변수로 연구하는 방법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과제를 점검하였다. 첫째, 「미국의 민주주의」저술의 전반적인 서술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둘째, 토크빌의 설명틀에 기초하여 그의 연구 방법의 핵심을 점검하였다. 제도와 습속의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토크빌의 방법의 핵심을 짚어냈다. 토크빌은 「미국의 민주주의」저술을 위해 가능한 모든 분석적인 방법을 모두 활용하였다. 최초 작업을 위해 그는 직접 미국 사회를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분석의 출발점으로 사회상태를 포착하였다. 다음 단계로는 이런 경험적 사실들을 기초로 귀납 추론을 통해 민주주의의 일반적 원칙과 특성들을 추출하였다. 마지막 단계로는 그것을 기초로 민주주의의 이념형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다시 구체적 체제의 특징과 차이를 분석하고, 실제 세부 분석 대상의 서술 방식에까지 적용하여 선명한 비교를 완성시켰다. 이러한 방법론에 대한 탐구를 통해 토크빌의 사상의 성격이 더욱 잘 드러날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has been at issue in Korean academic community. In this article I tried to make clear that Tocqueville`s focus on democracy with his methodology. Achieving this purpose, I noted Tocqueville`s very notable articles, especially his masterpieces on political sociology: Democracy in America(vol. I(1835), vol. Ⅱ(1840)). Through reading these, I found out Tocqueville`s major contributions for developing "a new political science". First, He gave emphasis on considerable influence of institutions and mores, especially it`s ability to maintain democratic society. For elucidating it, he applied various sociological method to analyzing American political system. Second, against the abstractive idea of `social contract` theorists, Tocqueville preferred a method of generalization by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His sociological logic was designed by way of combining inductive reasoning with deductive reasoning. Third, Tocqueville, the precursor of `ideal-type` method, compared American democratic political system with French`s. Even though Tocqueville used various terminology, his concerns about setting up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democratic community were in consistency. In conclusion, we should be cautious of perilous side of democracy and should be very considerate to way of making community of political freedom. Democracy requires praising moral greatness of political freedom as safeguard against `tyranny of the majorities`.

      • KCI등재
      • KCI등재

        위당 조선학의 개념과 의미에 관한 연구

        이황직(Hwang-Jik Yi)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4

        지식인의 과제를 ‘자기 시대의 절실한 문제를 개념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 볼 때, 일제강점기 지식인의 1차적 과제는 일본 지배 정책의 핵심인 조선인 정체성 말살에 맞서 조선의 문화유산을 발굴 정리하여 그 특성을 개념적으로 체계화하는 데 있다. 이러한 지식계의 움직임을 대표하는 것이 1930년대의 ‘조선학 운동’이다. 이 연구에서는 안 재홍과 함께 이를 이끈 대표적인 인물인 위당 정 인보의 학술 업적을 분석하여, 위당 학문은 ‘조선학’개념을 정립 발전시키는 것으로 일관했다는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위당의 ‘조선고전해제’ 작업을 토대로 위당 학술의 핵심을 ‘위당 조선학’이라는 개념으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재발견하였다. 위당 조선학의 형성 과정을 준비기, 모색기, 완성기의 3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위당 조선학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음이 밝혀졌다. 첫째, 위당은 본격적으로 근세 조선학술사를 조감하며 이 학풍에 ‘조선학’이라는 용어를 붙였다. 이러한 용례는 최남선이 지역학으로서 ‘조선학’ 명칭을 사용한 것과 완전히 구별되는 것으로서, 시대와 민족과 간격이 없는 실심과 사유의 주체성이야말로 조선학의 조건임을 분명히 했다. 둘째, 위당 스스로 조선 후기의 ‘근세 조선학’의 학통을 게승하여 당시의 상황에서 부흥시키겠다는 책임 의식을 천명하였다. 셋째, 위당 조선학은 무엇보다도 학문의 자세 자체를 강조하는 학문 방법론이었다. 맑스주의의 사이비 과학론과 실증주의 역사학의 친일성에 맞서 위당 조선학은 학문하는 자세로서 ‘사념을 버리고 실심을 추구’하는 학풍 자체를 강조했다. 이러한 위당 조선학의 성과에 의해 오늘날 한국사상사의 정체성이 확립되었고, 그 결과는 민족주의의 쇠퇴와 무관하에 진실된 학문의 전범으로서 기능할 것이다. Chos?n-Hak movemen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enhance the self-recognition of Korean culture and for Korean to resist against Japanese Occupation. although it has been overlooked by socialist circles. Focusing on Ch?ng In-Bo(1893~1950)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hinker of this movements, this paper tries to explain how his resistant thoughts were linked to the concept of Chos?n-Hak. Ch?ng In-Bo, the champion of Chos?n-Hak in colonial Korea, was the last successor of Kanghwa-hak(Chosun Yang Ming school). Not only he learned the history of Chosun Silhak, but also associated with the modern historian, e.g., Paik Nak-Jun and Paik Nam-Un. Ch?ng In-Bo revitalized the reform-oriented ethics of Confucianism into a foundational idea for modern nationalistic movements. Throughout his life Ch?ng In-Bo invented and developed the concept of Chos?n-Hak against pro-Japanese academic circle and Marxist scholars. To bring out his concept of Chos?n-Hak clearly, this paper focuses on two analytical points: its origin and meaning. First, he discovered the property of late Chosun academic traditions and named ‘Chos?n-Hak’, which succeeded the idea that every individual has morality in one’s mind, converted the transcendental individual justice into the concrete nationalistic justice. Second, Ch?ng In-Bo developed Chos?n-Hak into the core concept of resistant cultural movement. He adapted Ch?nmy?ng(the Heaven’s decree as an alternative theodicy) into national-ethical ?l(spirit), in his view, which should be cultivated by combining moral autonomy and resistant nationalistic consciousness. His earnest efforts to revitalize the national spirit intrinsic to Chosun Confucianism made a great contribution toward constructing Korean modernity. Such efforts made Korean modernity different from the western one. The concept of Chos?n-Hak reinforced individual responsibility and inner-worldly activism in connection with nationalism, which were generally taken as the cultural seed of modern Korea.

      • KCI등재

        서 재필 시민 정치론의 형성과 구조에 관한 연구 - 시민 중심 정치사 정립을 위하여

        이황직(Hwang-Jik Yi)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3

        이 논문은 정치사 서술의 상대주의 문제를 극복하고 기존의 권력 정치와 이념 정치를 극복할 수 있는 사상적 자원을 찾으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대안으로서 ‘시민 정치’ 개념을 탐구하고 이를 분석적으로 재구성했으며, 우리의 근대 시민 정치론의 기원으로서 서 재필 정치관의 형성 과정과 논리 구조를 탐구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론, 갈등론, 전통론, 구원론 등의 경쟁하는 정치 개념이 모두 권력 정치의 속성을 전제한다는 것을 밝혀내고 그 대안으로 일상의 정치 과정에서 시민의 의사소통적 참여를 강조하는 시민 정치론을 개념화했다. 둘째, 서 재필의 시민정치론은 과거 갑신정변 전에 김 옥균과 후쿠자와 유키치의 영향하에 형성되었던 엘리트와 국가 주도의 개혁론에 대한 반성과 미국 망명 과정 중 자치의 시민 문화 체험과 교육등을 통해서 숙고한 결과 형성되었다. 셋째, 서 재필 시민 정치론의 핵심은 정치 주체로서 시민이 연합하여 정치 과정에 참여하는 데 있다. 계몽된 시민의 탄생 전까지는 시민정치론에 시민 교육론의 성격이 부가되었다. 넷째, 계몽과 정치를 계기적으로 결합한 서재필의 시민 정치론은 공론장에서 토론과 숙의의 훈련을 통해 정치 개혁의 주체를 양성해낸 시민 운동론으로서, 1차 만민공동회를 통해서 한국사에서 조숙한 시민 정치의 출현을 가능하게 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aim of criticizing the relativism of political history and finding the theoretical resources to overcome power politics and ideological politics involving teleology. To this end, the paper first explored the concept of ‘civic politics" as an alternative and reconstructed it analytically, and then expla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Seo Jae-Pil(徐載弼)"s political view as the origin of modern Korean civic political theory, finally analyzed the nature and structure of his civic political theory based on his activities and ide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eting political concepts of functionalism, conflict theory, traditional theory, salvation theory, etc. all predicate the nature of power politics. But this paper conceptualized civic politics emphasizing citizens’ communicative participation in daily politics as an alternative power politics. Second, Seo Jae-Pil"s civic politics theory had been formed after experiencing and contemplating the self-governing cultural experience and discussion education during the process of exile in the United States. This theoretical shift resulted from reflections on elitism and state-led reform such as Gapshin Coup(甲申政變), which was carried out under the influence of Kim Ok-Gyun(金玉均) and Yukichi Fukuzawa (福澤諭吉). Third, this study analyzed Seo Jae-Pil"s activities and thoughts during his first return to Korea and revealed that the core of his civic political theory lies in the united citizens" influence on the political process. Until the birth of enlightened citizens, civil education was added to the theory of civil politics. Fourth, Seo Jae-Pil"s theory of civic politics, which combines enlightenment and politics, enabled the emergence of premature civil politics in Korean history through the first General People"s Meeting(萬民共同會).

      • KCI등재

        해방 이후 유교 근대화 시도에 대한 분석과 평가

        이황직(Hwang-jik Yi)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사회이론 Vol.- No.50

        기존의 한국 `유교-근대` 논의가 갖는 추상성을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는 1947년부터 1950년까지 유도회총본부의 유교 근대화 작업의 경과와 참여 세력들에 대해 역사적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46년 3월 유교계의 통합 조직으로 출범한 유도회는 김창숙의 지도하에 유교 복원과 부흥을 목표로 한유교 근대화 작업에 착수했지만, 추진 과정에서 유교계의 여러 분파들과의 갈등을 낳았다. 유교의 민족화의 상징적 작업이었던 성균관의 중국 유현 위패 매안 조치는 보수 유림의 이반을, 유교 대학 설립 과정에서는 좌파 유교인의 이탈을, 향교 재산관리 합리화 방안에서는 지역 유림의 반발을 각각 야기했다. 그 결과 유교계 단체들을 통합하여 출범했던 유도회는 창립 후 얼마 되지 않아 다수의 세력들이 이탈하여 유교계 대표성과 조직장악력이 약화되었다. 약화된 유도회 조직을 새로 채운 것은 당시 유교계와 연대하여 임시정부봉대운동을 추진했던 해외 망명독립운동가들과 아나키스트들이었는데, 이들은 김창숙과 함께 유교계 친일 세력 청산과 유교 민족화에 적극 나섰다. 이는 1950년경의 유도회 임원 명단을 통해서 확인 가능했는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창기의 각파 연합체의 성격에서 벗어나 1947년 이후 유도회는 유교계 독립운동가와 후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고, 특히 실무 부서와 감찰위원회에 이들이 적극 참여하였다. 둘째, 유도회의 가장 강력한 후원 세력이었던 정통 유림은 근대적 유교 조직화에 소극적이어서 군 단위 지부에만 참여했고 중앙 및 각 도 본부에는 참여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유교 근대화의 대상인 정통 유림은 유도회와 무관하게 존재하게 되었다. 셋째, 유도회는 본래 비정파성을 강조했지만 해방정국의 좌우 대립이 격화되면서 임시정부 계열의 우파 민족주의 정치에 깊이 개입했는데, 내부의 사상 논쟁 없이 서둘러 정치에 개입하여 유교와 근대 정치 이념 사이의 논리적 학문적 연결 문제를 등한시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결국 유도회의 유교 근대화 노력은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잠정적인 중단 상태로 들어갔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confucian projects for modernization during 1947∼1950 in Korea. Leaders of Yudo-hoe(儒道會總本部),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organization since founding itself in 1946, were prominent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especially participated with `Paris Jang-so Movement`(巴里長書運動). Reforming Korean confucian circles, Kim Chang-Suk(金昌淑), the chairman of Yudo-hoe, moved forward with modernization plans: (1) nationalization of confucianism, (2) establishment of confucian university, (3) construction of stable income. These projects of Yudo-hoe inadvertently aroused conflicts within confucian circles and resulted in division. In support of this thesis, this article verified it by researching the executives list of Yudo-hoe in 1950. The summary of analysis is as follows: (1) Casting off the character of factional consociation, Yudo-hoe was run by new mainstream group, confucian independence activists and anarchists since 1947. (2) Traditional confucian group(儒林) joined only provincial organization of Yudo-hoe. (3) Kim Chang-Suk kept neutrality and fought only for complete independence, so Yudo-hoe mainstreams held out their doctrine suppor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ut, this caused the lack of religious and academic interests on confucian reform. In the end, the attempt for modernization of Yudo-hoe was interrupted and didn`t bear fruit.

      • KCI등재

        4ㆍ19혁명 전후 유교 계열 지식인의 동향

        이황직(Yi, Hwang-Jik)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

        이 연구는 유교 계열의 지식인들이 4ㆍ19혁명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논증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까지 유교계는 부흥운동의 좌절과 정치적 시련 속에서 조직적으로는 붕괴되었지만 전통적인 유교 네트워크를 유지한 채 사회적 명망을 유지하고 있었다. 해방과 더불어 유교계는 김창숙을 중심으로 부흥운동을 펼쳤고, 특히 임시정부 계열을 지지하면서 민족통합과 자주독립 노선을 분명히 했다. 단정 수립 후에도 계속된 이러한 노력은 6ㆍ25전쟁 기간의 인적 손실과 이어진 이승만 정권의 탄압에 의해 거의 붕괴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하지만 조직적 손실에도 불구하고 김창숙 중심의 유교 네트워크는 유지되고 있었고, 여전히 유교 계열의 지식인들은 다양한 소집단 형식으로 잔존하면서 대의명분과 도덕성에 바탕한 재야 투쟁과 학문 활동을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네트워크하에서 결속된 유교 계열 지식인들은 4ㆍ19혁명의 전개 과정과 결과에 상당히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들은 1950년대말을 기점으로 이승만 정권과 대립각을 분명히 한 채 4ㆍ19혁명을 맞이했고, 특히 교수단 데모는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를 이끌어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교수단 데모의 기획과 주동에는 특히 김창숙 후원하의 성균관 네트워크와 독립운동가들의 네트워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는 참여자들의 결속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운동의 도덕성을 고양시키고 사회적 영향을 확산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끝으로 주요 참여자들의 내면적 동기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참여 동기와 실천 과정의 적극성을 이끌어낸 것은 유교적 가치였음을 분명히 입증했다. 이처럼 유교의 지성적ㆍ비판적 전통을 계승한 4ㆍ19혁명 과정의 대의의 관념과 실천이야말로 유교가 민주화와 민주주의 정치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한 모범적 사례이다. 이러한 자료들이 축적될 때 유교 민주주의론은 담론을 넘어 현실적인 이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onfucian democracy discourse has caused considerable controversy in Korean academic society during last two decades. Most scholars regard confucianism as a reactionary ideology for authoritative regime, on the contrary some regard it as a pro-democratic value for providing sources of thought to overcome the egoistic culture of Korean society. But nobody researches the Confucian strong contributions to democratize modern Korea. This thesis aims co explain how sincere Korean Confucian intellectuals contribute co succeed April revolution in 1960 from the point of religious commitments.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ly, Korean Confucian intellectuals could preserve traditional networks despite governmental controls and oppressions during the First Republic. Secondly, Confucianism-based Korean intellectuals including leading writers contribute to organize 'April 25th professors demonstration' evaluated as decisive factor for success in ensuring hasty retreat of dictatorship. In conclusion, This thesis claims that Confucian democracy discourse debaters should give thought to empirical and historical documents further. Intensifying the interpretation on Confucian intellectual's inheritances, We could make confucian democracy theories rooted deeply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서 재필 2차 귀국기 정치 활동의 주도성 연구

        이황직(Hwang-Jik Yi)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서 재필의 2차 귀국기 활동이 단지 계몽적인 것에 그쳤고 정치적인 활동조차도 소극적이었다는 기존 평가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어서 당시 관련 자료를 재검토하고 새 자료를 추가하여 그의 활동의 정치성과 주도성을 논증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47년 서 재필의 2차 귀국은 이 승만 견제를 위한 미군정의 의도에 부응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이 승만과 미 국무성의 반대를 뚫고 이뤄낸 능동적인 행위였다. 서 재필은 해방 전부터 동아시아 정세를 분석하면서 해방 후 조국의 민주정 건설을 자신의 소명을 삼고 있었다. 둘째, 귀국 직후 정세가 급변하여 분단 위기로 치닫자 서재필은 공개적으로 단선단정파를 비판하고 남북협상파를 지지하여 분단을 막기 위해 노력했는데, 이는 미군정 고문으로서의 중립적 역할 대신 특정 정파를 위한 적극적인 정치 개입에 해당하는 행위였다. 셋째, 1948년 총선 전부터 대통령 선거 전까지 흥사단계 중심의 서 재필 대통령 추대 운동에 대해 서 재필은 공개적으로 거부하면서도 이를 방치하는 방식으로 중간파의 결집과 각성을 이끌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약 14개월간의 2차 귀국 활동에서 서 재필이 민주적 시민 문화 형성을 위한 교육·계몽에 머물지 않고 재야 원로로서 지위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민주주의와 통일을 위한 정치적 활동을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수행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llenge the existing view that Seo Jae-Pil"s activities had only been illuminating and passive, arguing the political initiative of his second homecoming practices in 1947-1948.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o"s second return in 1947 was reportedly in line with the U.S. government"s intention to check Syngman Rhee, but in reality it was only possible thanks to Seo"s struggle for overcoming opposition from the U.S. State Department. He analyzed the situation in East Asia before liberation and prepared to build a democratic government in his country. Second, immediately after his return to Korea, the situation was rapidly changing and the two Koreas were on the verge of division, and Seo tried to prevent division by openly criticizing single-election supporters and supporting negotiators. Instead of playing a neutral role as a consultant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 actively intervened in politics. Third, In 1948, a campaign was held by Heung Sa Dahn and the neutrals to elect Seo Jae-pil as president, who openly refused to do so. Through such a disturbance, Seo tried to rally the neutrals.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conclude that in his 14-month second homecoming campaign, Seo Jae-pil was not limited to education and enlightenment projects for the formation of democratic civil culture, but rather led political activities for democracy and unification.

      • KCI등재

        초기 근대 유교 계열의 민족주의 서사에 대한 연구

        이황작(Yi, Hwang-Ji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1 No.-

        이 연구는 민족주의를 다양한 서사들이 중층으로 직조된 담론체계로 인식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화서학파의 의병전쟁론을 계승한 유인석의 후기 저술에 대한 서사분석을 통해 한국의 전통적 서사 요소들이 한국 민족정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유인석은 자신에게 전수된 유교 서사의 마스터플롯인 소중화론을 1905년 이후의 정세를 바탕으로 변화시켜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서사담화를 구성했음이 밝혀졌다. 소중화론의 핵심 테마였던 춘추대의론을 뒷받침하던 주요 모티프였던 복수를 대체하는 새로운 용서와 화해의 모티프를 활용하였고, 소중화론에서 목적론적이고 위계적이었던 기자-단군 관계를 해체하여 동등한 인물로 재설정하여 중국을 종교의 중심으로만 존중하고 현실 정치에서는 대등한 국가로 인식할 수 있는 서사의 틀이 갖춰지게 되었다. 유인석의 후기 저술에 대한 이러한 서사분석의 결과, 이 연구는 정통 유림의 초기 민족주의 서사가 유교적 보편주의였던 중화론을 반복한 것이 아니라 국망 전후의 새로운 정세를 바탕으로 유교적 이상을 국권회복을 위한 현실적 과제에 연결시켜 최초 형성기의 민족주의를 대중의 심원한 의식세계의 기반 위에 정초하게 한 담론상의 시도였음을 논증했다. Studies on nationalism had regard it as pure logical form on the basis of academical activity, or focused on it"s function of political mobilization. But nationalism as public memories cannot be discerned from the constructing process of it"s own narratives. Lew In-Seok, the last successor of Hwaseo school, transformed So-Junghwa narrative (an old confucian narrative which regarded Korea as the only successor of Orthodox Chinese civilization) into Korean initiative narrative applicable to modern nationalism. I suggest that cultural sociologist should regard narrative analysis as an indispensable research method for elucidating the peculiarity of Korean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