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농촌농민의 사회적 가치와 먹거리 시민권

        이해진,김철규 한국사회학회 2021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21 No.12

        이 연구는 농업농촌농민의 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문제설정으로 농과 사회의 관계 회복과 농과 시민사회의 연대를 의미하는 농의 사회화라는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농의 사회화는 농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에 대한 시민들의 인정과 사회적 지지의 확대를 의미하는 동시에 사회가 농의 사회적 가치를 활용하는 것으로 의미화했다. 이러한 농과 시민사회의 연대를 구축하기 위해서 농의 사회적 가치에 주목하고 기존의 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공익적 가치 개념을 대체하여 농의 사회적 가치를 개념화했다. 농의사회적 가치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위해 농이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한다는 의미를 중심으로 농의 사회적 가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국민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누가 농의 사회적 가치를 지지하는지, 어떤 요인들이 농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였다. 특히, 농과 사회의 관계를 매개하는 먹거리와 시민권을 중심으로 농의 사회적가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먹거리에 대한 관심과 먹거리 시민권 의식과 행동을 중심으로 농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먹거리 시민권의 행동으로 연결된 먹거리 시민일수록 농의 사회적 가치 인식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요리, 채식주의와 같은 먹거리 행동이나 자연 친화적인 대안가치를 지닌 시민일수록 농의 사회적 역할을 높게 평가한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먹거리를 매개로 농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려준다. 먹거리 시민권이 농의 사회적 가치를 구축하는 시민사회의 토대로서 농과 사회의 관계를 회복하고 농과 시민사회의 연대를 강화할 수 있는 유의미한 조건임을 밝혀냈다. 농과 사회의 지속가능성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비주의를 넘어서 농의 사회적 가치를 지지하는 먹거리 시민권을 지닌 먹거리 시민을 확대하는 사회운동과 정책들이 요구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학교 교육 환경에서의 공간 요소 제안

        이해진,권호창,허정윤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4

        Background The prolonged pandemic induced widespread use of remote education using video conferencing in many schools. However, there are restrictions like limited communications and the lack of spatial experience and presence. The metaverse could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avoid those limitations. We emphasize the need for educational space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and reflecting the learners' requirements beyond the simple duplication of school space. Methods Adopting the Quality Function Deployment, we investigated the suitable structure and functions when developing educational space in the metaverse. First,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find the requirements and importance of both educators and learners. The educational space was classifi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House of Quality was developed by synthesizing user requirements,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derived priorities. Results When designing an educational space on the metaverse platform, we find the necessity of space separation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rocesses. We defined three types of space; waiting for space before the class, learning space and a space for both rest and play during the class, and space for sharing and communication after class. Conclusion This study could find the possibility of the metaverse as an educational space. To make it real, elaborated space design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requirements of both educators and learners. We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be a foundation work for educational space design in the metaverse. We will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r suggestions by conducting a usability evaluation on the metaverse platform targeting actual users. 연구배경 팬데믹 장기화로 인해 많은 학교에서는 실시간 화상회의 방식의 교육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 방식은 의사소통이 제한적이고 공간감과 실재감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이런 문제의 대안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현실의 학교 공간을 메타버스 상에 단순 재현하는 수준이기에 가상 공간의 특성과 학습자의 요구를 고려한 교육 공간의 설계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품질기능전개 방법론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상에서 학교 교육 공간을 구현할 때 어떤 구조와 기능이 적합한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심층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강의 전문가와 학습자의 요구사항과 그것의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토대로 교육 공간을 분류하고 각 공간의 기능 및 기술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요구 사항과 기술 특성을 종합하고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품질의 집을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메타버스에서의 학교 교육 공간 설계 시 교육이 진행되는 과정에 따른 공간의 구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는 대기 공간이 필요하며, 수업 중에는 학습공간과 놀이 및 휴식 공간이 필요하다. 수업이 끝난 후에는 학습 공유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공간과 학습자 개인 공간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 교육 공간으로서 메타버스가 갖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가능성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교수자 및 학습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메타버스의 특성을 반영한 정교한 교육 공간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가 그 기초 작업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실사용자를 대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효용성을 검증할 것이다.

      • 피부장벽 연구의 최신 동향- 2016년 상반기

        이해진 한국피부장벽학회 2016 한국피부장벽학회지 Vol.18 No.2

        한국피부장벽학회 학술팀에서는 최근 6개월간 출간된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피부장벽 분야의 최신연구 동향을 요약하였습니다(. 각 연구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해당 참고문헌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표피분화와 피부장벽과 관련하여 올 상반기에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Celli 등<sup>1</sup>은 exvivo 피부모델을 이용하여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의 칼슘이온농도를 변화시켜 이에 따른 피부장벽기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칼슘이온 농도에 따라 피부장벽기능과 부착반(desmosome)의 형태가 변화하여, 소포체가 표피분화와 장벽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의미 있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Ishitsuka 등<sup>2</sup>은 loricrin 단백질이 감소되었을 때 late cornified envelope 1 단백질 (Lce1) 이 보상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것을 통해 Lce1 family member가 Nrf2 target 유전자임을 확인하였으며, 표피 분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Transcription factor인 MafB가 소개가 되었다<sup>3</sup>. 항균펩타이드와 관련한 연구도 많이 발표되었는데, Transglutaminase 1의 결핍이 있는 경우 항균펩타이드를 비롯한 선천면역계가 활성화되는데, 이는 피부장벽이 손상되었을 때 방어역할을 할 수 있는 기전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Haneda 등은 제안하였다<sup>4</sup>. Natsuga 등<sup>5</sup>은 Galectin-6 가 피부장벽과 microbiome에 영향을 주는 항균펩타이드라고 소개하였고, psoriasin (s100A7)은 NF-kB신호전달을 통해 IL-6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표피 분화를 억제하여 건선의 병인에 기여한다는 보고가 있었다<sup>6</sup>. 피부장벽기능과 연관된 사이토카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보고되었다. IL-31은 Th2와 관련된 만성염증질환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으로, 피부의 증식과 비후를 유도하나 피부장벽 기능의 저하를 유발한다고 Sinqh 등이 보고하였다<sup>7</sup>. Li 등은<sup>8</sup> corneodesmosin (Cdsn)결핍 동물 모델을 통해 피부장벽이 손상되었을 때, TSLP와 IL-23이 증가하면서 Th2, Th17 면역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며, Cdsn이 없을 때 IL-1β가 증가되지만, IL-1신호를 차단하였을 때 두 면역반응이 억제된다는 보고를 하였다. 이를 통해 IL-1신호의 차단이 아토피피부염을 포함한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단서를 주었다. PAR-2와 관련된 연구논문으로는 Joo 등<sup>9</sup>은 PAR-2 길항물질인 Lobaric Acid가 피부장벽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PAR-2와 색소병변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논문도 발표되었다. Lee 등<sup>10</sup>이 표피에 존재하는 epidermal VEGF가 각질세포에 존재하는 PAR-2를 upregulation하였는데, 이를 통해 기미와 같은 색소 병변에 혈관 확장과 홍반이 주로 관찰되는 병변에서 PAR-2가 증가되는데, VEGF가 PAR-2의 발현 증가에 대한 원인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 외에도 약물 투과도를 확인하기 위한 피부장벽모델에 관한 보고가 있었으며<sup>11</sup>, polarity protein인 Par3가 피부장벽기능이나 분화, 모낭지선단위(pilosebaceous unit)에 존재하는 줄기세포의 유지에 중요한역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었고<sup>12</sup>, 표피 지질의 glycation이 피부장벽손상에 기여한다는 보고와<sup>13</sup>synthetic C16 omega-hydroxyphytoceramide나 ascorbic acid유도체 중 하나인 3-O-Laurylglyceryl ascorbate가 피부장벽기능을 호전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sup>14,15</sup>. 아토피피부염과 관련한 연구도 활발히 발표되었다. Nakatsuji 등<sup>16</sup>은 포도상구균이 아토피피부염에서 피부장벽기능저하에 기여하고,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시작하게 한다고 보고하였고, Lee 등<sup>17</sup>은 아토피피부염은 corneodesmosin의 감소와 연관되어 있고 이것이 바이러스의 피부 침투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과 환자에서 각질층을 산성화시키는 것이 피부장벽기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천식과 같은 아토피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었다<sup>18,19</sup>. Shin등<sup>20</sup>은 혈장 내의 비타민C와 표피의 세라마이드가 감소될수록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가 올라간다는 보고를 하였는데, 이를 통해 다양한 인자가 아토피피부염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단서를 제공해 주었다. 손 습진과 연관된 연구논문도 발표되었다. 최근 출시된 alitretinoin의 경구 복용이 만성 손습진환자에서 피부 장벽과 연관된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을 정상화 시킨다는 보고가 있어 <sup>21</sup>, 만성손습진환자에서 피부 장벽의 회복을 기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아토피피부염과 연관된 치밀 연접(Tight junction, TJ)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발표되었다. 아토피피부염 피부와 ex-vivo 피부모델을 통해 IL-17이 TJ를 감소시키고<sup>22</sup>, TJ 유전자인 Claudin-1유전자가 에티오피아의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FLG유전자보다 유의한 연관성이 있으며, 아토피피부염에서 claudin-1이 용량 비례적으로 아토피피부염환자의 임상 양상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를 통해 아토피피부염에서 Claudin-1 유전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sup>23,24</sup>. 아토피피부염 외에도 비늘증에 대한 연구보고도 많이 발표되었다. 비늘증은 아토피피부염과 더불어 피부장벽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질환으로, 피부장벽연구에 발전에 있어 많은 도움을 준 피부질환이다. Pallor 등<sup>25</sup>은 비늘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선과 유사하게 IL-17-dominant 면역반응이 관찰된다는 보고를 하여, 이에 대한 면역반응을 막아줄 경우 비늘증이 호전될 수 있다는 단서를 제시해 주었다. Lee 등<sup>26</sup>은 우리나라의 X-연관 비늘증환자에서 피부 장벽은 손상되지 않으면서 Kallikrein7 유전자의 다형성이 높은 빈도로 관찰된다는 보고를 하였다.

      • KCI등재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산수유 열매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 연구

        이해진,임현지,김동희,심부용,임미혜 대한피부미용학회 2015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13 No.4

        Cornus officianalis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many functions such as reduction of melanin production, anti-cancer, antibacterial function, and etc..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duc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cosmetic products from the 80% ethanol extract of Cornus officianalis fruit (CEE). We performed MTT assay for cell viability. Major inflammatory factors was measured by nitric oxide (NO) inhibition assay, immunoassay, and reverse transcription factor (RT-PCR). The cytotoxicity of CEE did not appear in the range of 125 μg/mL, 250 μg/mL, 500 μg/mL on RAW 264.7 cells. Inflammatory response on RAW 264.7 cells were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LPS), followed by CEE treatment at indicated concentrations (0 μg/mL, 125 μg/mL, 250 μg/mL, and 500 μg/mL). The CEE showed inhibitory effect on production of NO by 5.9%, 21.3%, and 34% at 125 μg/mL, 250 μg/mL, and 500 μg/mL concentrations. In addition, production of prostaglandin E2 (PGE2) was decreased by approximately 3%, 15%, and 39%, upon the CEE treatment at concentrations of 125 μg/mL, 250 μg/mL, and 500 μg/mL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 (IL)-1β,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were decreased by approximately 57%, 52% and 34%, respectively upon CEE treatment at 500 μg/mL. Also, CEE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IL-1β, IL-6, and TNF-α genes on LPS-induced RAW 264.7 cells. From the results above, we conclude that CEE indicated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these results will b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ology in skin care and improvement of skin problem.

      • KCI등재

        판소리 문학의 ‘비극적 상황’ 관리 전략

        이해진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7

        Pansori literature depicts various tragic situations encountered by an ordinary protagonist and their emotional reactions to it, strongly evoking empathy from ordinary people who read i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ragic situations in Pansori literature and discusses several discourse strategies used to manage them. The tragic situation in Pansori literature always frustrates the ordinary protagonist, and has irrational and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ir immense emotional reaction to it intensifies the tragedy. However, Pansori literature does not leave such an emotional state unattended and includes internal discourse strategies to manage it,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emotional management method of the readers. The “humorous relaxation strategy,” “moral comfort strategy,” and “precognitive alternative strategy” discussed in this paper all correspond to a kind of internal defense strategy that makes the situation less sad and painful by turning one’s eyes elsewhere in tragic situations. However, this is differentiated from simply avoiding the problem. When a good individual cannot change their life immediately on their own, it allows them to imagine an optimistic future instead of being overwhelmed by negative emotions. Management strategies of tragic situations in Pansori literature are thus significant as comfort and encouragement strategies for people and for providing ideas for the ways we live and create stories today. 판소리 문학에서는 특별히 고상하지도 저열하지도 않은, 보통 사람을 인물로 내세워서 여러 비극적 상황과 그에 대한 인물의 감정적 반응을 그려낸다. 그래서 그것을 지켜보는 일반 서민들의 감정이입과 공감을 강하게 불러일으킨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여 판소리 문학에 형상화된 비극적 상황의 특징을 알아보고, 그러한 상황을 관리하는 데 종종 동원되는 몇 가지 담화 전략을 살펴보았다. 판소리 문학에서 비극적 상황은 대개 평범한 서민 주인공이 스스로의 의지나 능력으로 극복할 수 없는 성질을 지니고 있는데, 무엇보다 주인공이 해당 상황을 쉽게 납득하고 수용할 수 없게끔 만드는, 부조리하고 모순된 성격을 띠는 점이 특징이다. 그래서 상황에 대한 인물의 감정적 반응 역시 매우 확장된 형태로 제시되면서 비극성이 한층 고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상태를 마냥 방치하지 않고 때때로 그것을 관리하는 담화 전략들을 마련해두고 있으며, 이는 감상자들의 감정 관리 방식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본고에서 논의한 ‘해학적 완화 전략’, ‘도덕적 위안 전략’, ‘예지적 대체 전략’은 모두 비극적 상황에서 시선을 다른 데로 돌리거나 주목의 방향을 재설정함으로써 그 상황을 덜 슬프고 덜 고통스러운 것으로 만드는 일종의 ‘내적 방어 전략’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를 두고 단지 문제 상황을 회피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만은 없다. 선량한 개인이 당장 자신의 힘만으로 세계를 바꿀 수 없을 때, 삶을 지속하면서 사필귀정의 미래를 기약하게 하고, 부정적 감정에 완전히 함몰되어버리지 않도록 돕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판소리 문학의 ‘비극적 상황’ 관리 전략은 당시 판소리 향유층을 위해 그리고 판소리 향유층에 의해 마련된, 삶에 대한 위로와 격려의 전략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아울러 이는 지금의 우리에게 필요한 삶과 이야기 방식을 고민하는 데에도 울림을 주는 부분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