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년 남성의 배드민턴 참여정도에 따른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탐색

        이태희,심윤식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배드민턴 참여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과 사회적 자아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아 개념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K도 S시에 거주하는 4·50대 중년남성 중 배드민턴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생활체육인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인구통계학적 특 성, 참여정도, 신체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남성의 신체적 자아개 념은 배드민턴 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년남성의 사회적 자아개념은 배드민턴 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배드민턴 활동에 참여하는 중년남성의 신체적, 사회적 자아개념은 자아존중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사회적 자아개념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드민턴 활동에 참여하는 중년남성의 신체적 자아개념은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중년 남성의 자아존중감은 신체적 자아개념보다 사회적 자아개념이 더 큰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년남성의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향상을 위해 배드민턴 클럽 활동 시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 치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 description and social self description according to degree of participation of badminton in middle aged men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escription and self esteem. In this study, we surveyed 176 living athletes participating in badminton activities among 40-50 middle aged men. Questionnaires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level, physical self description, social self description and self esteem. In order to derive the study results,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irst, the physical self description of middle aged men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duration of badminton activity participation. Second, the social self description of middle aged men showed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badminton activity. Third, the physical and social self description of middle aged males participating in badminton activities were related to self esteem, and the social self concept was more influential.

      • 공산성 출토 칠갑(漆甲) 명문 재고

        이태희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8 고고학지 Vol.24 No.-

        2011년과 2014년 공주 공산성 성안마을에서 명문이 있는 칠갑(漆甲)이 발견되었다. 기년(紀年)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인데다 절대적으로 부족한 백제사 관련 자료라는 점에서 국내외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칠갑의 제작지에 대해서는 오늘날까지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명문을 다시 검토하여 칠갑의 국적을 밝히고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명문의 작성 동기를 살펴보았다. 칠갑의 국적과 관련하여 단서가 되는 것은 관직명이다. 명문에서 확인되는 관직은 참군사(叅軍士), 대부(大夫), 배융부□(陪戎副□), 호군(護軍) 총 4개이다. 참군사는 다른 미늘편에서 지명 ‘익주(益州)’가 확인되는 것으로 볼 때 병조참군사(兵曹參軍事)로 추정된다. 대부(大夫)는 문산관으로 앞의 관호에 따라 종2품부터 종5품하 사이이며, 배융부□(陪戎副□)은 무산관 최하위인 종9품하 배융부위이다. 호군은 훈관(勳官) 9전으로 정3품에 비견된다. 이상은 모두 당의 관직으로 명문의 작성 주체가 당이었음을 의미한다. 기존 연구는 칠갑을 문헌 기록에 등장하는 백제 갑옷의 실물로 이해하였으며 심지어는 ‘백제 명광개’로 명명하기도 하였다. 명광개라고 추정한 이유는 표면에 옻칠[황칠]을 입혀 빛을 반사하는 효과를 냈을 것으로 추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광개는 가슴 부분에 호심경을 부착한 갑옷으로 칠의 유무에 따른 것이 아니라 형태에 따른 구분이다. 갑옷 표면에 광택을 내는 것은 동시기 유행했던 의장 효과로 광요갑이나 산문갑에서도 볼 수 있다. 당육전(唐六典)은 갑옷 13종을 열거하고 재질을 언급하였는데, 그 가운데 명광개(갑)는 광요갑, 산문갑 등과 더불어 철갑으로 분류하고 칠갑과 같이 가죽으로 만든 것은 따로 피갑으로 명시하였다. 문헌기록에 등장하는 백제의 갑옷도 대부분 금속제로 재질상 칠갑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칠갑은 명광개가 아니며 문헌기록 상의 백제갑옷과도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 당은 사적으로 주요 무기를 생산하거나 소지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는 동시기 율령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칠갑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되는 것은 천성령(天聖令) 영선령(營繕令)의 규정이다. 천성령 영선령에 따르면 갑옷 제작 후 표면에 제작연월, 장인, 담당관의 성명, 주와 감, 미늘의 수를 주칠로 명기하도록 하였다. 이는 칠갑 명문의 내용 및 형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칠갑의 명문은 생산 후 이력을 주기한 것으로 보인다. 공산성 출토 칠갑은 당 전반기 갑옷의 제작과 관리가 율령 규정에 따라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실물자료이다. 향후 명문의 추가 확인과 더불어 고고학적・보존과학적 분석을 통해 칠갑이 담고 있는 여러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remains of a suit of lacquerware armor featuring an inscription were recovered from Seongan Village in Gongsanseong Mountain Fortress in 2011 and 2014. The finds became the subject of great interest,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s the inscription featured a definite date and wa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sorely lacking corpus of written data on Baekje history. However, the place where the armor was produced continues to be a subject of debate.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provenance of the armor by considering the motives for the inscription, through a consideration of other written sources. The official title names that appear in the inscription provide a clue regarding the provenance of the armor. In total, four official title names appear: 叅軍士, 大夫, 陪戎副□, 護軍. Based on the fact that the place name ‘益州’ was found on an armor scale piece recovered elsewhere at the site, it can be assumed that ‘叅軍士’ refers to ‘兵曹參軍事’, a military post. ‘大夫’ refers to an administrative post that can span from the junior 2nd rank to the junior 5th rank, according to the title that comes before. ‘陪戎副□’ refers to the lowest military post, which is the junior 9th ranked ‘陪戎副尉’, ‘護軍’ refers to ‘勳官 9th post 銓’ which is equivalent to the senior 3rd rank. All of these ranks are those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Tang Dynasty. This indicates that the inscription had been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Tang China. Previous studies have regarded this lacquerware armor as an actual example of Baekje armor; some have even called it an example of ‘Myeonggwang’ armor, mentioned in ancient texts. The reason that the find was regarded to be an example of ‘Myeonggwanggae’ armor wa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e yellow surface of the lacquerware armor would have reflected light. However, ‘Myeonggwanggae’ armor is identified as such due to the attachment of a breastplate at the chest section, as well as based on its form, and not simply due to the use of lacquer. The addition of lacquer to the surface to produce a shine was a popular practice at the time in the case of ceremonial armor, and also took place in the case of ‘Gwangyo’ and ‘Sanmun’ armor. 13 different types of armor and the materials used to make them are presented in Tang liudian (唐六典). Of these, ‘Myeonggwangae’, ‘Gwangyo’, and ‘Sanmun’ are categorized as ‘iron armor’; lacquer covered armor made using a leather base is categorized as ‘leather armor’. References to Baekje armor that appear in texts are mainly of metal armor, and therefore can be distinguished from leather armor in terms of their material. In other words, lacquerware armor cannot be ‘Myeonggwangae’ armor, and its links with the Baekje armor mentioned in texts is also weak. The private production or ownership of key weapons was forbidden in Tang China. This fact can be established based on the known rules of the time. In relation to lacquerware armor, the Tiansheng Statutes (天聖令) and Yingshan Statutes (營繕令) of are interest. According to these rules, it was required that a record of the date and place of production, craftsperson and workshop, signature of overseeing official, and the number of scales be made on the surface of the armor.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inscription found on the surface of the lacquerware armor under study. As such, it appears that the inscription was a record of the lacquerware armor’s history, following its production. The lacquerware armor from Gongsanseong Mountain Fortress represents an important piece of evidence that demonstrates that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of armor took place in strict adherence to rules and regulations throughout the Tang Dynasty. It is hoped that further studies on the inscription, and the archaeological analysis and conservation works will make it possible to gain more information on the stories that the armor contains.

      • 3D기반의 관광단지 체험콘텐츠 개발 및 구현에 관한 연구

        이태희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14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20 No.2

        In this paper, an effective system in which user can use interactive virtual space personally is proposed by developing experience contents utilizing 3D simu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iversifying situation of digital era. In such perspective, 3D modeling system was produced on 3D satellite map platform with focus on Oeam folk village tourism complex, and after space was visualized in solid structure and menu frame was composed to provide tourism information, user interface suitable for experience contents was establishe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