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Impacts of Biofuel Production on Water Quality and a Mitigation Methodology to Reduce the Impacts

        Taesoo Lee(이태수)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1

        대체에너지로써의 바이오 연료 작물과 그 경제성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새로운 작물의 생산에 따른 수질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바이오 연료 작물은 그 경제적 효율성 때문에 많은 양의 비료를 필요로 하므로 농경지 부근과 하류지역의 수질 오염이 예측된다. 이 논문에서는 바이오 연료 작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을 이용하여 작물의 전과 후의 시나리오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수질 악화를 줄이는 방안으로 30미터 넓이의 필터 스트립을 모델에서 시뮬레이션 하였다. 바이오 연료 작물 생산에 필요한 농경 일정은 이 전의 연구를 강고하였다. 모델 예측 결과, 농경지 주변에서는 연간 250-1,150%의 총질소가, 그리고 100-1,100%의 총인이 각각 증가하였다. 유역의 유출구 (호수)에서는 연간 40-50%의 총질소와 총인이 증가하였다. 필터 스트립을 설치한 후 농경지 주변에서는 연간 58.0-67.9%의 총질소와 57.7-68.2%의 총인이 각각 감소하였으며 유출구에서는 연간 28.5%의 총질소와 29.4%의 총인이 각각 감소하였다. Biofuel crops and their economical benefits have been recently researched as one of the alternative energy sources. Very few studies, however, have brought an issue about the impacts of the new cropping on environment, especially water quality. Because biofuel cropping requires more crop production with more fertilizers for cost-effectiveness, water quality near the new crops as well as downstream is expected to be degraded. In this study, the impacts of biofuel crop production on water quality was estimated by scenarios between pre-biofuel cropping and post-biofuel cropping using the previously calibrated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in a watershed in Texas, USA. Then, 30 meter filter strips were implemented on each biofuel ropland as a mitigation method. The economical and agricultural aspect and requirements of biofuel cropping was also previously investigated. The on-site impacts estimation showed that biofuel cropping increased about 250% to 1,150% of Total Nitrogen and about 100% to 1,100% of Total Phosphorous annually. The off-site estimation at the reservoir (entire watershed outlet) showed the annual increase of 40 to 50% for both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ous. The on-site effectiveness of filter strips was from 58.0% to 67.9% reduction for Total Nitrogen and 57.7% to 68.2% reduction for Total Phosphorous. The filter strips reduced 28.5% of Total Nitrogen and 29.4% of Total Phosphorous at the watershed outlet.

      • KCI등재후보

        아리스토텔레스의 공간이해

        이태수(Taesoo Lee)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3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1

        아리스토텔레스는 삼차원적으로 연장된 공간의 실재성을 부인하고 물체가 차지하고 있는 자리를 이차원적인 평면으로 축소시켜 파악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와 같은 자신의 공간이론이 물체의 자리에 관한 일상적 이해로부터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게 도출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우선 아리스토텔레스가 염두에 둔 도출과정이 실제로 어떤 것이었는지 규명해 볼 것이다. 그 다음 그와 같은 공간이론에 입각하여 물체의 공간운동을 설명하는 것이 어떤 난관에 봉착하는 지 짚어볼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로서는 어떤 시도를 할 수 있는지도 논의할 것이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 자신도 그러한 시도를 한 것이 틀림없지만, 텍스트 전승의 상태 때문에 그 시도의 내용을 명확하게 읽어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도를 복원하는 과제가 문제의 난관을 극복해 보고자 하는 시도들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음을 보일 것이다. 또한 어떤 것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노선에 가장 충실한 방안인지도 함께 모색하게 될 것이다. Aristotle’s contention that the place of physical bodies should be conceived rather as two-dimensional plane than as three-dimensional space has been treated as one of the most quixotic curiosities in his philosophical teachings; it could not be heartily endorsed even by his peripatetic followers in the antiquity. However, it was Aristotle’s firm belief that the two-dimensionality of place is a necessary corollary drawn from the widely accepted ordinary endoxa about the place of physical bodies. In this paper I will try to illuminate the obscure content of argumentations which Aristotle put forth to validate his conception of space. There are certainly some difficulties which Aristotle has to overcome while endeavoring to explain the locomotion of physical bodies on the basis of his conception of space. I will try also to show how one can evaluate properly his attempt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 KCI등재

        만성질환자 가구의 실손의료보험 가입이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이태수(Taesoo Lee),백혜연(Hyeyoun Baek) 한국FP학회 202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6 No.2

        인구 고령화와 함께 만성질환의 증가는 의료비 증가를 야기해 국민건강보험의 재정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가장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아지는 40세부터는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지출이 가구의 지불 능력 대비 일정 비중을 넘어서 가구의 부담 역시 증가 시키고 있다. 2012년에 ‘간편 심사 보험’이라는 유병자 보험이 출시되고, 2018년에 ‘유병력자 실손의료보험’이 판매되기 시작하면서 만성질환이나 질병 치료 이력이 있는 유병력자도 민간건강보험에 가입이 가능하게 되었고, 보험 가입을 통해 의료비 지출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 유병률 급증으로 인해 가장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게 될 40세 이상의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만성질환자가 포함된 가구에서 실손의료보험 가입 여부가 순의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과부담 의료비가 발생한 만성질환자 가구를 대상으로 순의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실손의료보험 가입의 효과가 있는 가구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만성질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민간보험사가 정책 및 상품 개발 등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along with an aging population increases health expenditures and the financial burden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addition, from the age of 40, whe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rises the mos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defined as health expenditures for managing chronic diseases) exceed a certain proportion of a households ability to pay, increasing their burden. After simplified issue insurance was launched in 2012, and when private health insuranc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began selling in 2018,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or disease treatment history could also subscribe to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the burden of health expenditures could be reduced. In this study, patients aged 40 or older, who will have the highest health expenditures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re classified as middle-aged, late middle-aged, and elderly. The study looks at how private health insurance affects the net health expenditures of households with chronic disease patient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with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s that sign up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urance companies as basic data for preparing measures such as policy development and product development to reduce the burden of health expenditures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the future.

      • KCI등재

        SWAT 모델을 이용한 외남천 유역의 토사 및 총인 유출량 분석

        이태수(Taesoo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의 지류이자 주암호로 유입되는 외남천 유역의 수량 및 수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2년 부터 2013년까지 2년 간 수량과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수질은 부유토사와 총인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기존 연 구를 참조하여 수량 및 오염물질의 분석, 오염원과 토지이용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유출량은 일반적으로 강 수량의 크기에 따라 비슷한 패턴으로 반응하였으나 기상데이터(광주광역시)와의 지리적 차이 때문에 일부 차이를 보 이기도 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을 이용하여 유역을 모의하 였다. 2012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고 2013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델 보정 결 과 수량 및 총인의 실측값과 예측값의 결정계수(R2)는 각각 0.6644와 0.5176으로 나타났고 모델 검정 결과에서는 다 소 높은 0.7529와 0.7057을 보였다. 소유역별 토사유출량과 총인유출량을 분석하여 유역 관리에 있어 가장 중점을 두 어야 할 지역을 선정하였다. 토지이용별 총인 배출량은 전체 유역면적의 5%를 차지하는 밭이 총인배출량의 53.6%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주거지 및 축산지역이 23.5%를 차지하였다. Monitoring for water quantity and qualit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for 2 years (2012~2013) in Oenam Stream which is a tributary of Seomjin River and upstream of Juam Lake. Suspended solid and total phosphorous(TP) were monitored and analyzed, then water quantity and quality as well as their relation with landus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Flow showed the similar pattern with precipitation but some discrepancies existe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weather station(Gwangju) and study area. Watershed was modeled based on observed data using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calibration was conducted using data obtained in 2012 and validation was conducted using data in 2013.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UP>2</SUP>) between observed and modeled showed 0.6644 and 0.5176 for flow and TP, respectively for model calibration period. For validation period, R<SUP>2</SUP> was 0.7529 for flow and 0.7057 for TP, which were higher than calibration period. Hot spots were determined for watershe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amount of sediment and TP outcome from each sub-watershed. TP loading by landuse determined that cropland, of which the area takes only 5% from entire watershed, generated 53.6% of TP and residential and cowshed was responsible for 23.5% of TP loading.

      • KCI등재

        SWAT 모델을 이용한 Eagle Mountain 유역의 최적관리방안 효과 예측

        이태수(Lee, Taes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4

        최적관리방안은 유역 내의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의 악화를 줄이기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최적관리방안을 설치하기 전에 공간분포형 모델을 이용하여 그 유역 내에서 오염원이 되는 ‘핫스팟’을 찾고 가장 비용효과가 높은 최적관리방안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 텍사스의 Eagle Mountain 유역을 대상으로 수질 개선을 위한 최적관리방안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유역에서 유출되는 총인을 총 30% 감소해야 한다는 목표가 설정됨에 따라 여러 가지 최적관리방안들이 고려되었다. 이 중에서 비용효과 분석을 통하여 비용효과가 가장 높은 최적관리방안부터 순차적으로 모델에 적용하였다. 최적관리방안의 현실적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여 그 비율에 따라 최적관리방안들을 순차적으로 적용한 결과 총 13개의 최적관리방안을 유역에 설치하였을 때 31.3%의 총인 저감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예측되었다. Best management practices(BMPs) have been widely adopted to mitigate water quality degradation by non-point source pollution.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most cost-effective BMPs installed on ‘hot spots’ found by a spatially distributed model before actually installing BMPs. This study conducted a BMPs modeling for water quality enhancement in Eagle Mountain watershed, Texas in the US. Many BMPs were considered as 30% of total phosphorous(TP) reduction goal in the watershed was set in order to enhance water quality. Cost-eff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list those BMPs by the cost and they were installed in the SWAT model in order of the most cost-effective. After installing BMPs in the model based on actual adoption rate, 31.3% of TP reduction was achieved with 13 BMPs.

      • KCI등재

        근거리 고등학교 배정을 위한 ‘거주지 기점’ 배정 방식에 관한 연구

        이태수(Lee, Taesoo),김종민(Kim, Jongmin),김화환(Kim, Hwahwa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에서는 현행 광주광역시 교육청이 고등학교 배정에서 실행하고 있는 출신 중학교 중심의 배정가능고 선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거주지 기점’ 개념을 도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학생들의 주소지를 지오코딩하고 학생들이 실제 배정된 고등학교와의 거리를 분석함으로써 만약 거주지 기점 방식이 도입된다면 학생들의 통학 거리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한 학교의 예를 들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몇 명의 학생들이 거주지 기점 방식에 비해 최고 4배 정도의 거리를 통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많은 학교의 많은 학생들이 거주지 기점 방식에 비해 더 먼 거리를 통학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학생 전수를 대상으로 출신 중학교 중심 배정 방식과 거주지 기점 중심 배정 방식에 따른 평균 통학 거리를 비교 분석하여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Residential Point’ for school assignment practices and compared with currently adopted school assignment policy by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hich is based on distance from graduated middle school of each student. All students‘ addresses have been geo-coded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address and high school that each student is attending were measured. A middle school case was investigated as an example to find what the difference in commuting distance is if ‘Residential Point’ was considered in the school assignment. In the result, some of the students are commuting about 4 times longer comparing to assigning by ‘Residential Point’ and many students from many different schools are having the similar situation although they were not included in detail in this study. Therefore, commuting time for all students needs to b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wo methodologies.

      • KCI등재

        수치의 규범적 효력

        이태수(Lee, Taeso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6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6

        이 글의 과제는 수치가 어떻게 윤리의 영역에서 규범적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 밝히려는 것이다. 필자는 우선 수치가 도덕적 자율성의 개념과 근본적으로 잘 조화될 수 없다는 평가의 타당성을 검토하면서 논의를 시작했다. 이와 같은 평가의 근거로는 내면화된 도덕률의 판정기준을 따르는 죄의식이나 양심과 달리 수치는 밖으로 내보이는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타인의 부정적 반응에 주로 의존하는 것이라는 구별이 제시된다. 필자는 수치의 자의식적 구조를 분석하면서 수치 역시 내면화된 기준에 따르는 감정이나 감정적 성향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수치에 대한 부당한 평가를 바로 잡는 시도를 했다. 필자는 윤리적 행위 역시 심미적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수치와 윤리적 행위의 밀접한 연관관계도 아울러 인정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적시하였다. 필자는 이 사실을 근거로 수치의 윤리 규범적 효력이 심미적 판단 능력에서 유래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hed some light on the discussion of how shame has ethical-normative force. I start with examining the plausibility of the view that shame cannot align with the conception of moral autonomy on the ground that shame mainly depends on others’ negative reaction whereas guilt and conscience follow an internalized moral rule. Next, I attempt to discuss the structure of self-consciousness implicated in shame and to show that shame is an emotion or emotional disposition based on the internalized standard. Given this, finally I argue that the ethical-normative force of shame is derived from our capacity for making aesthetic judgment.

      • KCI등재

        효율적 재해관리를 위한 재해지도의 정확성 제고 방안 연구

        이태수(Lee, Taes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우리나라는 하계 집중형 강수 특성 때문에 홍수가 자주 발생하고 있어 침수지역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유역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침수지역을 예측함에 있어 사용되는 모델과 그 결과물의 정확성은 침수지역을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침수지역 예측에 많이 사용되는 HEC-RAS를 이용하여 전라남도 해남군의 3개 지방하천 유역에 대해 재현주기 30년, 50년, 100년의 강수를 이용하여 침수지역을 예측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많이 연구되는 침수지역의 예측에 있어서 정적모델의 사용과 또한 모델의 결과에 대해 보정과 검정을 수행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향후 재해지도 및 침수지역 예측 연구에 있어서 동적모델의 적용과 연계, 그리고 모델의 보정 및 검정을 반드시 수행해야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It is important to make a watershed management plan based on flooded area estimation particularly in a situation of larger precipitation during the summer like Korea. Accurate estimation by a model can be critical for preparation of flooding. In this study, flooded area was estimated in three watersheds in Haenam with the returning period of precipitation at 30, 50, and 100 years using HEC-RAS model. Flooded area estimation research on Korea, however, is need to be reconsidered on the facts that steady state models were used and there are no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a dynamic model is need to be used and linked and the results of models should be validated.

      • KCI등재

        The Impacts on Flow by Hydrological Model with NEXRAD Data : A Case Study on a small Watershed in Texas, USA

        Taesoo Lee(이태수)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2

        강수량 데이터의 정확성은 수리모델링에서 중요하다. WRS-88D (Weather Surveillance Radar - 1988 Doppler) 레이더 시스템에서 예측하는 NEXRAD (Next Generation Radar) 강수량 데이터는 높은 시, 공간 해상도를 갖는 데이터라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검증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을 이용한 이 전의 연구를 바탕으로 일반 기상관측소와 NEXRAD 강수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국지적 강우와 그 강우가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NEXRAD 강수량 데이터를 이용한 선행 연구에 기상관측소의 데이터를 대체하여 시뮬레이션을 함으로써 그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한 유역과 1년간의 데이터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두 강수량 데이터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기상관측소의 위치가 연구지역과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강수량의 차이를 보일 때는 그 차이가 94.5㎜ (NEXRAD 데이터가 더 큰 경우) 와 71.6㎜ (기상 관측소의 데이터가 더 큰 경우) 까지 나타났다. 이 차이는 강우가 대부분 실제로는 연구지역 밖에서 나타났거나 연구지역만의 국지적 강우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유출량의 비교에서는 NEXRAD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이 측정치에 더 가깝게 예측하였다. The accuracy of rainfall data for a hydrological modeling study is important. NEXRAD (Next Generation Radar) rainfall data estimated by WRS-88D (Weather Surveillance Radar - 1988 Doppler) radar system has advantages of its finer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In this study, NEXRAD rainfall data was test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weather station data using the previously calibrated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to identify local storms and to analyze the impacts on hydrology. The previous study used NEXRAD data from the year of 2000 and the NEXRAD data was substituted with weather station data in the model simulation in this study. In a selected watershed and a selected year (2006), rainfall data between two datasets showed discrepancies mainly due to the distance between weather station and study area.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two datasets was 94.5 ㎜ (NEXRAD was larger) and 71.6 ㎜ (weather station was larger)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indicate that either recorded rainfalls were occurred mostly out of the study area or local storms only in the study area. The flow output from the study area was also compared with observed data, and modeled flow agreed much better when the simulation used NEXRAD data.

      • KCI등재

        덕과 좋음의 추구

        이태수(Taesoo Lee)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0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5

        덕 윤리학은 특정한 행동패턴보다는 한 인간의 삶 전체를 시야에 담으려는 노력을 통해 윤리적인 문제에 관한 현대의 논의를 좀더 심화시키고 그 내용을 풍부하게 만드는 기여를 할 수 있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그와 같은 기여는 덕 윤리학이 인간 삶을 좋음을 추구하는 활동 특히 조직화된 활동을 포괄하는 또 하나의 조직화된 활동으로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해석을 제시한다. 덕 윤리학이 윤리학적 논의의 중심개념으로 부각시키고자 하는 덕은 넓은 의미에서 좋음을 추구하는 조직화된 활동에서 요청되는 기량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덕을 갖춘다는 것은 좋음을 추구하는 활동에 성공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여러 활동을 포괄하는 한 사람의 삶 전체도 또 하나의 조직화된 활동에 유비하여 파악할 수 있다. 삶 전체의 좋음을 추구하는 이 특별한 조직화된 활동에 요청되는 기량으로서 덕이 바로 다름 아닌 통상적으로 윤리적인 의미의 덕일 것이다. 따라서 윤리문제에 관한 논의에서 윤리적인 덕을 중심 화두로 삼고자 하는 덕 윤리학이 인간 삶 전체를 시야에 담아야 할 당위를 강조하는 것은 당연하다. By focusing more upon the dispositions or capacities displayed by human beings displayed in the pursuit of the good than upon any other kind of abstract moral laws or ethical principles, virtue ethics could reawaken interest in the concrete life story of individual persons; and this is, I think,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virtue ethics to the contemporary discussion of ethical problems. To assess properly this contribution, it is important to make clear what kind of relevance should be attributed to ethical virtues in the activities of pursuing the good. For the purpose of making clear this point I try to show first that the virtue, in its wide sense of the word, is nothing but a disposition or capacity needed in systematically organized various activities of pursuing the good. And then, drawing upon Aristotle's so-called function argument I tty to establish the analogy between the whole life of a good man and a successfully carried out project of an organized activity. Upon the basis of this analogy the ethical virtues can be now viewed as capacities needed in the special kind of the organized activity the aim of which is to live a whole life successfully. In this way it can be shown why from the standpoint of virtue ethics the life story of a person pursuing the good must be taken most seriously in the discussion of ethic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