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택담보대출 규제 변화에 따른 가구별 차입제약 영향 분석

        이태리,김태환 한국감정원 2018 부동산분석 Vol.4 No.2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s of collateral constraints based on regulation changes in LTV, DTI and DSR on mortgage loan,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ge, asset, region, and housing tenure status, Korea Housing Survey data in 2016.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o minimize undesirable effects, on actual demand, of mortgage loan regulation tightened to manage household debts, micro approach and analysis that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demand are needed, and appropriate regulation should be imposed according to them.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mortgage loan regulation has great effects on those in their forties who are the key group of housing demand. Secon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LTV constraint is more powerful than DTI and DSR constraints in Korean mortgage loan market, and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level of LTV regulation will continue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households’ successful borrowing in the future. Third, the effects of DSR regulation on collateral constraint of mortgage loan are determined depending on calculation methods and criteria. Especially, it is deemed important to prepare loosened conditions lest they have negative effects on actual demand for housing and changing demand for housing. 이 연구는 2016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의 소득, 연령, 자산, 지역, 소유여부 등에 따른 특성별 분류에 따라 LTV, DTI, DSR과 같은 규제의 변화에 기인한 차입제약분석을 통해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세 가지의 주요 결과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부채관리를 위한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 기조 속에서 실수요자의 구매수요에 미치는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수요자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미시적 접근과 분석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적절한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규제는 주택수요 비중이 높은 40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 시장에서는 LTV 제약이 DTI, DSR 제약보다 강한 것으로 분석되므로 LTV 규제 수준이 향후에도 가구의 대출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주택담보대출의 차입제약에 대한 DSR 규제의 영향은 산정방식과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실수요와 교체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완화조건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전문가 세션 :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한 부동산 금융의 과제와 전략 ; 통화정책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이태리,송인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5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는 이론 모형의 설정과 해석을 통해 주택시장을 실물경기 및 금융 전반에 영향을 주고받는 주요 원동력 중의 하나로 인식하고, 주택시장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통화정책의 충격과 이에 반응하는 주택시장과 경제 전반의 관계를 거시적 시각에서 검토했다. 또한, 주택시장을 지역별, 주택유형별로 세분화한 단일 모형을 구축하여 같은 틀 안에서 대상이 되는 많은 관심 변수들에 대한 영향을 추정하는 과정을 통해 미시적 주택시장으로의 통화정책 파급경로를 분석했다. 이론적 모형에서 기간간예산제약식에 따르면, 금리는 미래의 기대주택가격에는 일종의 할인율로 연결되고 현재의 주택가격에는 순자산을 결정하는 데에 연결되어, 금리가 낮을수록 기대주택가격을 높이고 현재의 순자산을 증가시켜, 결국에는 주택수요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주택가격의 상승은 주택가격의 부의 효과(wealth effect)로 작용하여 결국 소비의 증가를 가져온다. 이때 주택가격에 의한 소비의 증가가 결국 경기변동과 연계되어 명목금리의 변동을 가져오는 요소로 작동한다. 이러한 금리하락은 주택가격과 전세가격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비용 상승으로 인하여 전세가격은 하락한다. 동적일반화최소자승법(DOLS)과 요인활용다변수자기회귀모형(FAVAR)를 이용한 실증분석에서도 금리상승충격에 주택매매 가격과 전세가격이 전국적으로 또는 주택유형별로 모두 하락하는 반응이 나타남으로써 이러한 사실은 실제 데이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recognizes the housing market as a key engine with underlying effects that interact with the real economy and overall financial market. Based on this recognition and in a macroeconomic context, it shows the relation between the impulse brought by monetary policy.which exert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housing market.and the response from the housing market and the economy. Furthermore, it constructs a single housing market model with subcategories of region and housing type, and then it estimates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on numerous macro-variables and analyzes the spillover channel of monetary policy. In a theoretical model, the inter-temporal budget constraint shows that interest rates are linked as a discount rate to a future house price and as a determinant of net asset to a current house price, meaning that the lower the interest rates are, the higher the expected house price rises and the larger the current net asset grows, consequently bringing positive influence on the rise in housing demand, which eventually leads to raising house prices. Meanwhile, the rise in house price causes a wealth effect, resultantly raising consumption. At this time, the increased consumption caused by house prices affects interest. When interest rates rise, costs will be heightened and hence Jeonse prices will decline.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Dynamic Ordinary Least Square (DOLS) and Factor-Augmented Vector Auto-Regression (FAVAR) model finds that a shock of interest rate rise causes both of house prices and Jeonse prices to drop nationwide as well as in all housing types. The same result is also observed in actual data.

      • KCI등재

        부동산 간접투자 활성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태리,변세일,황관석,박천규 한국부동산연구원 2016 부동산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2001년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라 도입된 리츠, 2004년 간접투자자산 운용업법에 따라 도입된 부동산펀드가 속한 부동산 간접투자시장 활성화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부동산 간접투자시장 활성화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부동산 간접투자시장 활성화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을 고려하여 설정한 연립방정식모형 형태의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하여 주거용 및 비주거용건물건설투자와 소비의 최종수요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이후 거시계량모형에서 도출한 결과를 부동산산업의 분류를 조작적으로 재정의 한 산업연관분석모형에 대입하여 부동산산업 및 국민경제 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근 5년간의 연평균 증가규모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부동산 간접투자시장의 활성화로 인한 최종수요 증가분은 주거용건물투자 3,436억 원, 비주거용건물투자 9,860억 원, 민간소비지출 1,784억 원 등 총 1조 5,080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최종수요를 산업연관분석에 적용하여 분석한 국민경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3조 4,278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 945억 원, 고용유발효과 2만 2,525명, 임금유발효과 6,385억 원으로 분석되었다. 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was introduced in 2001 according to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y Act and REF (Real Estate Fund) also introduced in 2004 according to Indirect Investment Trust Act with great anticipation. However, their performance of last 15years fell short of expectations. Thus,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the importance of activating the Korean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market by analyz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 due to activating the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market and by investigating the macroeconomic growth stem from the growth of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market. To analyze the economic ripple effect and to estimate an increase in housing transactions on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due to activating the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market, empirical test was conducted using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in advance at the first stage. At the second stage, input-output analysis was adopted to investigate the economic effect on the real estate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using the result of the first stage. We found that net growth of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causes 343.6 billion won in residential building construction investment, 986.0 billion won in commercial building construction investment, and 178.4 billion won in private consumption spending. We also found that these increase of final demand induces production of 3,427.8 billion won, the value-added of 1,094.5 billion won, the employment of 22.5 thousand people and wages of 638.5 billion won.

      • KCI등재

        CoLTV 지표를 이용한 임대차주의 상환위험 분석

        이태리,송연호,황관석,박천규 한국부동산연구원 2018 부동산연구 Vol.28 No.1

        This paper analyzes the redemption risk of renters by estimating the LTV and CoLTV with finance market big data (individual credit information) and housing market big data (actual housing transaction data). The analysis showed that when using LTV, the redemption risk was higher in the case of the monthly renter than of the chonsei renter.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CoLTV, the chonsei renter had a higher redemption risk than the monthly renter.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activate a guarantee system, such as risk management using the CoLTV index and the chonsei deposit return guarantee because it is possible for renters to experience losses on their chonsei deposits due to the higher redemption risk. Another implication is that the risk manager should consid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renters because of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redemption risk stemming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ntal contract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nters. CoLTV was just a concept until this study calculated it using housing big data and actual housing transaction information. It helps identify the redemption risk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renters and their contracts. 이 연구는 금융시장 빅데이터인 개인신용정보와 주택시장 빅데이터인 주택실거래데이터를 연계하여 LTV 뿐만 아니라 CoLTV 지표를 추정하여 임대차주의 상환위험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LTV로만 상환위험을 파악하는 경우, 전세임대차주보다 월세임대차주의 상환위험이 더 컸으나, CoLTV를 이용하면 전세임대차주의 상환위험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주택담보대출이 있는 전세의 임대차주의 상환위험이 높아, 임차인의 보증금에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CoLTV지표를 통한 위험관리, 전세금반환보증과 같은 보증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임대계약의 특성과 차주의 개인 특성에 따라 임대차주의 상환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임대차주의 개별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위험을 관리해야 함을 밝혔다. 이 연구는 개념적으로 논의되던 CoLTV를 금융빅데이터인 개인신용정보와 주택빅데이터인 주택실거래 정보를 결합하여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임대차주들의 계약 및 개인적 특성별로 상환위험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실시간 비침습적 뇌전기 자극이 양손 힘 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태리,이준호,강년주 한국운동역학회 2022 한국운동역학회지 Vol.32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tential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n bimanual force control capabilities in healthy young adults. Method: Eighteen right-handed healthy young adults (10 females and 8 males; age: 23.55 ± 3.56 yrs) participated in this crossover design study. Al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both active-tDCS and shamtDCS conditions, respectively. While receiving 20 min of active- or sham-tDCS interventions, all participants performed bimanual isometric force control tasks at four submaximal targeted force levels (i.e., 5%, 10%, 15, and 20% of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MVC). To compare bimanual force control capabilities including force accuracy, variability, and regularity between active-tDCS and sham-tDCS conditions, we conducted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s (2 × 4; tDCS condition × Force levels). Results: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eline MVC between active-tDCS and sham-tDCS conditions. Moreover, our findings revealed that providing bilateral tDCS including anodal tDCS on left primary motor cortex (M1) and cathodal on right M1 while conducting bimanual force control trials significantly decreased force variability and regularity at 5%MVC.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viding bilateral tDCS on M1 areas may improve bimanual force control capabilities at a relatively low targeted force level.

      • KCI등재

        진로와 직업 교과 연계 직업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태리,김라경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a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linked vocational program on vocational readiness and career maturity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the 「Curricular Transition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pre-and post-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for 6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 experimental groups, 3 control groups) who are attending special classe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 Job Readiness Test and a Career Maturity Test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ere conducted. The period of study was conducted for 15 periods at a session each of 50 minutes dur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the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and both job readiness and career matur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a subject-linked vocational program that improves the vocational readiness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confirm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장애학생 교과연계 전환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진로와 직업 교과 연계 직업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소속된 지적장애학생 6명(실험집단 3명, 통제집단 3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인인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진로성숙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환능력검사(NISE-TH) 중 직업준비도 검사와 장애청소년 진로성숙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진로와 직업 교과 연계 직업프로그램은 진로와 직업 교과 시간에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회기당 50분씩 총 19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을 사용하여 맨 휘트니 유(Mann-Whitney U)검정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전후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통제집단에 비해 직업준비도와 진로성숙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직업준비도와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 교과 연계 직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여성인물과 서사 분석

        이태리,진성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4

        This paper compares the narrative of the movie <Kim Ji-young Born 1982> with the novel to analyze the elements and structure of the cinematic narrativ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ight elements of Nutshell Technique and the point where each element was placed to reveal the box office factors based on the running time. This study presents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must be equipped to adapt into a successful story when producing a film based on a novel. In addition, the analysis using the schematic diagram along with the eight elements of Nutshell Technique is valuable as the first attempt in a domestic study. The main theme of this paper’s narrative analysis with woman character in the movie <Kim Ji-young Born 1982> stems from the increased rating of male netizens after its release despite of controversy over gender conflicts. This is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novel and the movie’s narrative having a clear difference. Therefore,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is difference was more effective in arousing sympathy from the audience and was consistent with the box office style remarked in Nutshell Techni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