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차의 전자공업 발전을 위한 제언

        이춘화,Lee, Chun-Hwa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73 과학과 기술 Vol.6 No.11

        지난 10월 10일부터 17일 까지 경복궁 특별전시장에서 열렸던 「제4회 전자 전람회」는 내적 외적으로 커다란 결실을 거두었음이 틀림없다. 전시품목만 하더라도 230종에 5만여점이었으며 이기간 동안 근 10만명에 가까운 관람객이 모여들었다. 국내는 물론 국외 Buyer들의 눈길을 끈 각종 전자제품의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은 한국 전자공업의 밝은 앞날을 내다볼 수 있었으며 다양화, 국제화 되어가는 전자공업의 투자영역을 실감할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전자전에서는 600여명의 외국투자가와 Buyer들이 내한하여 현장에서만도 3천1백만 달러의 거래상담이 이루어져 우리나라 전자업계의 희망찬 내일을 기약케 했다. 100억불 수출을 목표로 하는 전자공업의 진흥발전을 위해 우리는 이 시점에서 무엇을 어떻게 다져나가야 할 것인가? 이번 전자전을 직접 주관했던 한국정밀기계센터 이사장 이춘화씨는 우리나라 전자공업계가 지향할 길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사 양성 교육과정의 효과 분석

        이춘화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nalysis of Effects on the Training Course forPersonal Assistant of Persons with DisabilitesChoonhwa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about the degree about awareness of disabilities and acceptance of disabilities of the PAPD training course.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by 153 applicants for the education purpos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d paired sample t-test analysi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people in their 40s and 50s than other age groups, and more women than men. In the difference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observed. Gender tends to be more negative man than females. In the pre-post analysis after training, the effect of the matched sample was significant. Suggestions on the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DA, a step­by­step and systematic education process should be provid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systematize lifelong education, providing education and experience opportunities for middle­aged and edler, to improve awareness and accepting attitudes for the disables. Key Words: Personal Assistant for Persons with Disabilites (PAPD), Training Course, Disability Understanding, Disability Awareness, Disability Acceptance 장애인활동지원사 양성 교육과정의 효과 분석이 춘 화*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 양성 교육과정이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는 153명으로 선정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으로, 주요변수 차이검정은 기술통계로, 사전-사후검사에 나타난 효과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일반적 특성에서 다른 연령에 비해 40대와 50대 비율이 더 높고,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검정 분석에서는 성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사전­사후검사 분석 결과에서는 대응표본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교육적 효과로 장애인식 및 장애수용 정도의 부정적인 태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중장년층의 장애인식 및 수용 정도 제고를 위한 교육 및 경험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 평생교육 체계로 전환이 필요하다. 핵심어: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과정, 장애이해, 장애인식, 장애수용 □ 접수일: 2022년 11월 4일, 수정일: 2022년 11월2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영산대학교 겸임교수(Professor, Youngsan Univ., Email: 21chwa4806@naver.co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의 소년분류심사제도에 관한 연구 -분류심사기준을 중심으로-

        이춘화 한국소년정책학회 2009 少年保護硏究 Vol.13 No.-

        This study has taken a general view of concept and history according to change of circumstance surrounded the juvenile classification system, and considered the criterion of classification, determination of disposition, and institutional treatment around the agenda of Ministry of Justice. The issues and the improvement plans as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The first, responsible organizations on the juvenile classification system are the juvenile classification office, the juvenile reformatory, and the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center. It can be suggested the results of different diagnosis because different organizations take charge of this system. Therefore, it should be developed the standard risk assesment tool to judge protection needs of juvenile delinquents. Th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juvenile classification office takes charge of the juvenile classification system completely for professional investigation. Thus, it should be expanded facilities of the juvenile classification office. The third, it can be restricted a determination of individual treatment to juvenile delinquents that the criterion of classification is provided quantitatively. However, this criterion(agenda) of classification has meaning as reference for consistent classification because the criterion was made through classification officer worksho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old often such workshop that classification officers can exchange the informations.

      • SCOPUSKCI등재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의 Bacteriophage 내성균주 A1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춘화,강국희,배인휴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acridine orange(AO) 처리에 의해 선발한 Lc.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의 phage 내성균주인 A1의 phage 내성발현 기작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A1을 40℃에서 배양했을 때 모균주와는 달리 정상적인 생장을 나타내면서 phage 내성은 그대로 유지했으며, 이 ??의 세포형태는 모균주의 경우 연쇄상을 A1은 단쇄상의 형태를 나타냈다. 40℃에서 모균주에서의 phage 증식은 정지되었는데 A1의 경우는 미약한 phage 증식을 나타냈다. 모균주와 A1간에 있어서의 단백질 분해력은 배양온도와는 상관없이 큰 차이를 나타냈다. 40℃의 배양온도에서 A1이 나타낸 phage 내성과 세포표면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SDS를 처리한 결과 모균주는 거의 대부분 사멸되었으나 A1은 27%가 생존하였다. 1% SDS로 처리한 A1의 phage 흡착율은 모균주와 비슷한 수준(95∼98%)을 나타냈는데 이는 A1 세포벽의 흡착부를 가리고 있던 어떤 물질이 SDS에 의한 분해에 의해 흡착부가 노출됨에 따른 결과로 고려되었다. 이로써 A1의 phage 내성과 온도에 대한 내성은 AO 처리시 세포벽 구조의 변형에 의해 이루어진 현상인 것으로 인정되었다. 40℃에서의 A1에 대한 plasmid 변화를 조사한 결과 plasmid 소실이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plasmid가 A1의 온도 내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hage resistance mechanism of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A1 was investigated. When parent and A1 were incubated at 30 and 40℃, A1 grew well and multiplication of phage(MOI=1) on A1 slightly occurred at 40℃ in contrast with paren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of proteolytic activity between parent and A1, irrespective of the temperature. As a result of SDS treatment on culture broth, survival rate of A1 was 27% at the lethal concentration of parent and adsorption rate of phage was increased to 95∼97%, which was considered to come from the exposure of phage receptor site masked by an unknown compon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ridine orange (AO) treatment leads to the modification of cell wall, conferring resistance to high temperature and lytic phage. NO change in plasmid profiles of A1 at 30 and 40℃ were found, which suggests that plasmid is not relative to temperature-resistance of A1.

      • SCOPUSKCI등재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A1의 Bacteriophage 저항성 기작에 관한 연구

        이춘화,배인휴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2 No.3

        유산균 스타터의 하나인 Lact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l1602의 phage 내성균주인 A1의 phage 내성 기작과 숙주 세포벽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A1에 대한 phage 흡착시의 특성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숙주와 phage를 혼합하여 10분간 배양한 후 A1의 세포에는 phage가 흡착하지 않았고, 60분 후에도 모균주와 phage 혼합배양에서 나타나는 용균과 새로운 phage 방출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A1에 SDS를 처리한 후의 phage 흡착율은 98%로 증가하였고 Al과 모균주의 세포로부터 분리한 세포벽과 그 세포벽에서 분리한 polysaccharide(PS)와 peptidoglycan(PG)을 phage와 혼합하여 15분간 방치 후 이들 성분에 대한 phage 흡착성을 조사하였던 바 A1의 경우 PS와 PG에는 흡착되지 않았고 SDS 처리한 세포벽에만 phage가 흡착하였으며 모균주에서는 세포벽과 PS에 흡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포에 0.2N HCI과 5% TCA를(100℃) 처리하여 phage의 흡착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 균주 모두에서 phage 흡착이 일어나지 않았다. 위 결과에 따라 A1의 세포벽에는 여전히 phage 흡착부가 존재하나, SDS에 의해 분해되는 세포벽의 어떤 물질에 의해 가리워져서 phase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모균주의 phage 흡착부는 세포벽의 PS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ophage resistant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l1602-A1, the phage-resistant mutant of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602, was examined.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phage adsorption to A1 revealed that after 10 min. incubation of the host-phage mixture, A1 did not show phage adsorption, and after 60 min. did not show a real burst and the release of new phage particles which could be detected in the mixture of its parent strain and phage. However, the phage adsorption rate of A1 after SDS treatment increased to 98%. Moreover, when the cell walls from A1 and parent strain, and the polysaccharide(PS) and peptidoglycan(PG) of their cell wall were mixed with phage and incubated for 15 min., PS and PG from A1 did not bind phage, but only SDS-treated cell wall bound phage, and the cell wall and PS of parent strain bound phage. Both A1 and parent strain treated with 0.2 N HCl- and 5% TCA(100℃) did not bind phag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hage receptor is still present in the cell wall of the A1, but a cell wall constituent hydrolyzed by SDS blocks phage adsorption by masking the phage receptor. It also suggests that the phage receptor of parent strain is associated with PS of the cell wall.

      • SCOPUSKCI등재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11062-A1의 세포벽 구성분과 Phage 내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이춘화,배인휴,강국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4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2 No.3

        전통적인 유산균 스타터의 하나인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l1602의 phage 내성균주인 A1의 phage 내성과 세포벽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세포벽 성분중 phage 흡착부로 작용하는 teichoic 산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밝히기 위해 5% TCA(60℃)와 concanavalin A를 처리한 후 phage 흡착성을 조사한 결과 모균주의 phage 흡착율에는 변화가 없었다. 세포벽의 인(P) 총함량은 TCA 처리 후 A1과 모균주에 있어서 변화가 없었으나 균주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GC 분석 결과에서도 이들 균주의 세포벽에서는 teichoic 산의 구성분인 ribitol과 glycerol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A1과 모균주의 세포벽에는 teichoic 산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A1과 모균주의 세포벽 성분에는 차이가 있었다. A1의 phage 내성과 단백질과의 관련을 조사하기 위해 세포벽의 단백질 정량과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모균주의 phage 흡착에는 단백질이 관여하지 않으나 A1의 phage 내성에는 단백질이 관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1의 세포벽의 당구성은 rhamnose, glucose와 galactose로 되었고 이에 대한 SDS 처리 후 A1의 총 당함량이 모균주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위 결과로 A1의 phage 내성은 세포벽의 당함량이 모균주보다 높은 데서 기인하며 이 구성당과 단백질이 상호 작용하므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elation the phage defense mechanism of phage resistant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ATCC l1602-A1 to its cell wall component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teichoic acid which is known to be one of the phage receptor site present on the cell wall, phage adsorption was examined after treatment 5% TCA(60℃) and concanavalin A to the cell wall of A1 and parent strain. However, the adsorption rate of two strains did not change. Total amount of phosphate after TCA treatment did not change in both strains, but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rains was observed. Ribitol and glycerol, components of teichoic acid, could not be detected in the cell walls of two strains by GC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eichoic acid was not present in the cell walls of both strains, the composition of cell wall of two strains was not identical. Measurement of amount of protein and SDS-polyacryamide gel electrophoresi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volvement of cell wall protein in phage resistance, showing that protein is nothing to do with phage adsorption of parent strain, but phage resistance of A1 is related to protein. Cell wall carbohydrates of A1 contained rhamnose, glucose, and galactose. Total amount of carbohydrate of 1% SDS-treated A1 cell wall was reduced to the level of parent strain. The results suggest that phage resistance of A1 was due to the presence of a higher level of carbohydrates than parent strain, and to interaction of carbohydrate and protei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