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이중도약과제를 사용한 공간의 확장감과 축소감 연구

        김경한 ( Kyung Han Kim ),이춘길 ( Choong Kil Lee ) 한국감성과학회 1997 연차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7 No.-

        안구의 운동은 시각 환경에서의 진행중인 정보처리와 관련된 지각적, 인지적 과정을 밀접히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특히 공간 지각과의 상관은 비교적 명확히 확립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에 관여하는 안구운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공간지각을 반영하는 안구운동 지표를 개발한다는 목표 아래, 피험자가 느끼는 공간의 확장과 축소의 특성을 이중도약과제(double-step paradigm)를 사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이 중도약과제는 도약(saccadic)안구운동의 오차를 유발시키는 실험기법으로, 두개의 시각자극을 하나씩 연속적으로 보여주되, 두번째 자극은 안구운동이 일어나는 도중에 제시하는 것으로서, 인위적으로 왜곡된 공간에 대한 피험자의 공간적응을 관찰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과제는 다시 자극의 이차도약 방향에 따라 축소감 조건과 확장감 조건으로 나뉘었고, 머리운동의 역할을 판별하기 위해 머리를 고정한 조건과 머리를 자유롭게 한 조건으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머리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축소감 조건에 대한 적응이 확장감 조건에서보다 더 빨리 일어나고, 그 적응후의 시선이동의 변화량 에서도 축소감 조건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머리를 자유롭게 할 경우 공간 지각의 정확성이 증가하며, 축소감과 확장감 경험속도의 차이가 약 49.2%까지 해소 되었으나, 여전히 축소감의 경험이 더 잘 일어났다.

      • 능동시각시스템의 인지신경 기전 연구 Ⅱ

        이춘길 한국뇌학회 2003 한국뇌학회지 Vol.3 No.1

        본 과제는 뇌 정보처리에 기반한 능동시각모델 및 시스템 개발을 위해 인간 안구의 3차원적 제어 원리의 이해와 시각계로 유입되는 안구 운동 신호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1차년도에는 안구운동이 운동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밝힌데 이어서, 2차년도에는 두 가지 측면에서 능동시각시스템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첫째, 인간 참가자를 대상으로 안구와 머리가 협조하여 시선을 이동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둘째, 시각운동의 지각을 위한 안구 운동 신호의 통합 과정에서 주의의 역할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The goal of the current project is to understand the cognitive and neural mechanisms by which thee extraretinal signal modulates the visual processing. In the first year, we investigated the way that execution of a saccadic (rapid) eye movement systematically modulates visual motion perception. In the second year, we studied three aspects of active visual system. First, we determined and compared the parameters of the eye and head coordination during horizontal and vertical gaze control tasks such as reading or tracking. Second, we examined the roles of attentive processes on visual motion perception.

      • 뇌 정보처리 메커니즘에 기반한 능동 시각 연구 Ⅱ

        이춘길 한국뇌학회 2003 한국뇌학회지 Vol.3 No.1

        뇌 정보처리 메커니즘에 기반한 능동 시각 연구 과제는 능동 시각의 인지신경 기전 연구와 이에 기반한 인공안구 시뮬레이터의 개발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인지신경 기전과 관련하여 2차년도에는 두 가지 측면에서 능동 시각시스템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첫째, 인간 참가자를 대상으로 안구와 머리가 협조하여 시선을 이동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둘째, 시각운동의 지각을 위한 안구 운동 신호의 통합 과정에서 주의의 역할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인간 안구의 3자유도 운동을 구현하는 시뮬레이터 개발과 관련하여 회전식 병렬기구 구조를 적용한 안구 운동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인간 안구의 성능을 갖도록 제작되었으며, CCD 카메라가 곡면의 뒤쪽에 존재하여 실제 휴먼로봇에 적용 가능하도록 제작되었다. 이를 위해 회전식 병렬구조를 적용하였고 링크구조를 설계 제작하였다. This project consists of two specific aims : 1) understanding the cognitive and neural mechanisms of active human visual system, and 2)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eyeball simulator based on them, In the second year. in relation to the first aim, we studied two aspects of active visual system. First, we determined and compared the parameters of the eye and head coordination during horizontal and vertical gaze control tasks such as reading or tracking. Second, we examined the roles of attentive processes on visual motion perception. In relation to the second aim, we developed an eye movement simulator using parallel structure type to mimic human eye movements with 3 degrees of freedom. The simulator closely mimic the performance of human eye movements. The results confirmed the potential use of the device for humanoid artificial vision system with neck movement.

      • 개의 행동유전 : 고등동물 행동특질 유전의 연구 전략 Investigative strategy for the inheritance of behavioral traits in higher mammals

        이인아,이춘길 한국심리학회 1996 한국심리학회지 생물 및 생리 Vol.8 No.1

        신경과학과 분자유전학의 연구 기법의 발달로 인하여 이제 사람의 성격을 포함한 행동특질의 원인을 유전자 수준까지 추적하고 있다. 특히 1996년은 인간의 성격과 관련한 유전자를 최초로 규명하기 시작한 해였다. 본 논문은 행동의 기술을 토대로 행동의 다양성에 관한 유전적 배경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던 일련의 동물 행동유전에 관한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였다. 개의 행동유전연구가 인간을 포함한 고등 동물의 행동특질의 유전적 바탕과 이의 생리적 표현 과정에 관한 연구의 전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우리는 믿는 바, 개의 행동유전에 관한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동시에 행동유전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제기될 수 있었던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논의하였다: 1) 동물의 지각 체계에 관한 불충분한 이해와 이에 따른 결과 해석의 타당성 결여, 2) 동물행동 측정 절차의 주관성과 비정밀성, 3) 행동의 측정에 영향하는 동물과 실험자 간의 상호작용.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통하여, 고등동물의 행동유전학 모델로서의 개-행동유전학이 보다 과학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1) 유전적 영향이 큰 행동특질과 그에 맞는 행동지표의 선정, 2) 행동측정의 정밀성 확보, 3) 개의 게놈에 대한 지식 축적 등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Following the seminal reports on genes affecting human personality in 1996, explosive number of reports relating genes and behavioral traits in higher mammals are expected to be witnessed in the near future. Successful genetic explanation of behavioral variablity should include mechanisms by which genotypes affecting behaviors are expressed. We reviewed controlled studies on canine behavioral genetics and proposed that canine behavioral genetics can be used as an experimental model for investigating the expression mechanisms of genes in determining the variablity of behavioral phenotypes in higher mammals. Problems in establishing inheritance factors in previous studies were discussed: 1) insufficient information on perceptual mechanisms of animal subjects, 2) subjective and imprecise measurement of animal behavior, 3) uncontrolled interactions between animals and experimenters. Suggestions were made for more rigorous studies of canine behavioral genetics: 1) identifying behavioral traits and indices reflecting genetic background, 2) precise measurement of behavior, 3) accumulating informations on dog gen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