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두 지점의 지점검지기를 이용한 밀도측정방안 개발및 측정간격에 따른 신뢰성 분석

        이청원,김민성,박재영,이은규 대한교통학회 2010 大韓交通學會誌 Vol.28 No.3

        Density is the most important congestion indicator among the three fundamental flow variables, flow, speed and density. Measuring density in the field has two different ways, direct and indirect. Taking photos with wide views is one of direct ways, which is not widely used because of its cost and lacking of proper positions. Another direct density measuring method using two point detectors has been introduced with the concept of instantaneous density, average density and measurement interval.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racy and measurement interval has been investigated using the SIMULATION data produced by Paramic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unction. We analyze the affect of segment density accuracy by sensing gap each road condition such as sensing segment length, lane and LOS after gathering data by Paramic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교통량, 속도, 밀도의 3가지 교통류 지표 중 밀도는 혼잡을 잘 나타내는 지표이다. 밀도를 측정하는 방안은 직접적으로 수집하는 방안과 수집자료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수집하는 방안이 있다. 직접적인 측정법은 대상구간의 교통류를 항공기나 고층건물에서 촬영하여 밀도를 직접적으로 구하는 것이나, 기상과 도로조건 및 비용상의 문제로 인하여 광범위한 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지점검지기를 이용하여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순간밀도, 평균밀도, 측정간격이라는 개념을 정리하고 가상시뮬레이션(Paramic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능을 활용하여 자료를 생성한 후 측정간격이 도로조건(측정구간길이별, 차로별, 서비수준별)별로 구간밀도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영상검지기 교정주기 설정방안

        이청원,백남철,송영화,장진환 대한교통학회 2005 大韓交通學會誌 Vol.23 No.5

        The accuracy of a video image detector(VID) is gradually reduced due to the various environmental and mechanical factors. But there has been no systematic research about this VID accuracy decreasing. To maintain a proper level of VID accuracy for the advanced traffic management, a regular VID calibration process needs to be introduced. Because of its cost, however, the calibration cannot be performed frequently. Therefore, the method to decide the optimal calibration interval should be studied in details. This study presents two different calibration interval decision methods. Using the invented data collection equipment, some data in the fiel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hich were used for the adaptability checking. Although the data were limited, the result is pretty promising. More data needs to be investigated later and this study will help to maintain the data quality of the ITS center. 각종 환경적, 기술적 요인으로 인하여 영상검지기는 사용연한에 따라 정확도는 감소하기 마련인데 변화정도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가 없다. 영상검지기의 정확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정작업이 필수적이지만 예산적, 제도적 문제로 인해 엄밀한 교정이 실시되지 못해 양질의 교통관리에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영상검지기들을 대상으로 정확도 검사방안을 개발하였고,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최적 교정주기 설정방안을 개발하였다. 이는 정보의 질을 중시하는 ITS센터의 유지관리업무와 연계하여 정책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TIS 환경하에서 운전자경로선택 분석 시뮬레이터의 개발

        이청원,권병철,고승영 대한교통학회 2002 大韓交通學會誌 Vol.20 No.5

        This paper is aimed at presenting a new simulator for acquiring drivers' route choice behavioral data to evaluate various ATIS(Advanced Traveler Infor- mation System) in controlled laboratory. Although questionnaires based stated preference surveys have been widely used in this field, they suffer from the difficulty in making respondents fully understand complex scenarios in questionnaires and feel travel time pressure of the scenarios. Therefore, the obtained data can be depreciated. The simulator is a good alternative to resolve this since it can create more realistic understanding on the traffic situations. A prototype simulator with three modules has been developed. To verify the validity of it, a pilot test was performed for a small real network, and its data was analyzed with a discrete choice model. The result was rea- sonably acceptable. The simulator can be very effective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different information strategies, prior to as well as posterior to major investments. 본 논문은 ATIS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교통정보제공에 따른 운전자의 노선선택 행태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러한 행태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설문지에 의한 SP(Stated Preference) 설문조사가 널리 수행되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설문조사방법은 ATIS와 같은 가상의 환경을 응답자에게 이해시킬 수 있는 설문지를 작성하기가 힘들고, 무엇보다 운전중에 느끼게 되는 time pressure를 현실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뢰성있는 자료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시뮬레이터는 보다 현실적인 교통상황을 계산하고 적절한 인터페이스 구성을 통해 교통상황과 분석자의 설문의도를 응답자에게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세 가지 모듈(교통 시뮬레이션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 이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 구성된 프로토타입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제로 실시간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작은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discrete choice model을 정산하는데 사용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상당히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시뮬레이터는 교통정보전략에 따른 효과를 사전에 분석해보고, 효과적인 교통정보시스템을 설계 및 운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버스도착안내시스템(BIS)와 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의 용어개념

        이청원 대한교통학회 2006 교통 기술과 정책 Vol.3 No.2

        버스도착안내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과 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 Bus Management System)은 기존 버스운영체계에 IT기술을 접목시켜 버스운영 및 이용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지능형교통체계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한 분야로서, BIS는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노선정보, 도착예정시간정보, 환승정보, 대기시간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대중교통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시스템이며, BMS는 버스회사나 운영을 담당하는 지자체에서 버스의 운영 및 관리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보조적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BIS와 BMS는 서로 중복도가 높은 시스템으로서 수집된 정보를 어떤 목적으로 쓰느냐에 따라 BIS라고 하기도 하고 BMS라고 하기도 한다. 아래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BIS와 BMS는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정보들의 유사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BIS와 BMS를 동시에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다만, 정류장 도착안내기(BIT, Bus Information Terminal)는 유지관리의 문제가 크기 때문에 일부 도시의 경우는 1단계로 BMS를 구축하고 2단계로 BIS 기능을 강화하는 단계별 사업추진을 선택하기도 한다.

      • KCI등재

        WATiSim을 활용한 운전자의 실시간 경로선택 분석

        이청원,권병철 한국ITS학회 200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 No.1

        본 연구는 실시간 교통정보시스템 설계최적화의 핵심사항인 동적교통정보제공에 따른 운전자 경로선택 행위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개발된 시뮬레이션툴을 실제 도시부네트워크에 적용하였다. 활용의 용이성과 조사범위의 확장을 위하여 인터넷환경에 적합한 웹기반조사툴(WATiSim)을 본 연구에 활용하였는데, 웹기반조사기법은 실제통행의 time pressure와 같이 설문내용을 응답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기존 SP설문조사기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의 견고한 If기반시설을 바탕으로 한 인터넷망을 활용하여 대규모, 저비용의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례연구를 통해 서울 도심부 네트워크에 도로전광표지(VMS)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제공시스템을 구축하는 상황을 WATiSim으로 구현한 후에, 다양한 교통상황정보하에서 운전자들의 경로선택자료를 수집하여 그들의 의사결정구조를 분석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교통상활, 통행목적, 통행상태 등으로 구성된 경로선택 로짓모형을 산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운전자들은 실시간 교통정보제공에 따른 교통상황을 직관적으로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상황, scheduled delay, 통행목적과 통행료 등에 따라 선택행위를 크게 달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imulation tool for an optimal ATIS design and drivers' dynamic route choice behavior analysis is developed, which is applicable to urban networks. Due to the difficulty to make drivers feel the time pressure according to traffic conditions, current SP questionnaire survey type surveys have a limitation to capture correct driver reactions to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The simulator Is a web-based upgraded version, named WATiSim (Web-based ATIS Simulator), to quickly perform a wide population survey with a minimal cost using INTERNET Furthermore, the time pressure issue is lessened by its interface and simulation modules. After WATiSim mimicked a VMS based ATIS in a partial network of Seoul Metropolitan, reactions of drivers to various traffic conditions were surveyed through INTERNET and analyzed using a logit model. Drivers under the ATIS environment clearly understood the provided traffic information, and their reac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traffic conditions, scheduled delay, trip purposes as well as toll charge if 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