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랑수련활동과 국제성취포상제 및 수련활동인증제와의 연계 가능성 모색

        이채식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문제연구소 2010 청소년행동연구 Vol.- No.15

        청소년기는 변화의 시기이다. 청소년은 급격한 성장을 경험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독립성과 존재감을 높여가면서 책임있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자라나게 된다. 청소년은 기존 사회규범안에서 사회화를 이루기도 하지만, 제한된 사회규범에 맞서 새로운 도전과 욕망을 꿈꾸기도 한다. 청소년의 존재와 도전은 특정사회가 지닌 맥락(context)과 변화요구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지게 된다. 안정을 지향하는 사회에서는 청소년을 결핍적이나 위험한 존재로 설정되는 반면 새로운 변화를 지향하는 사회에서는 청소년은 가능성과 대안적 존재로 이해되어진다. 산업사회를 거쳐 지식기반사회로 변화하는 우리 사회는 청소년에 대한 문제중심접근(problem based)에서 벗어나 청소년의 긍정적 성장을 지원하고 사회적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더 높이기 위한 청소년개발접근(development approach)으로 전환과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이채식ㆍ김상욱 2010; Lerner, 2005; Pittman et al. 2003). 이제 청소년의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된 역량을 발전시켜 조화로운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기반의 조성과 기회제공은 우리 사회의 중대한 과제이다(한상철, 2009).

      • KCI등재

        인터넷 비이용 장애인의 이용 의도 영향요인 연구 : 자발적, 비자발적 비이용 집단 비교분석

        이채식,문영임,김지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2 GRI 연구논총 Vol.24 No.2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취약계층인 장애인 집단 내 인터넷 비이용자를 ‘자발적 인터넷 비이용’ 유형과 ‘비자발적 인터넷비이용’ 유형으로 구분한 후 향후 인터넷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집단별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연령, 성별, 거주지역, 학력, 월평균소득, 경제활동상태와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장애유형 및 정도와 같은 장애 요인, 사회적지지 관계 변수로 구성된 사회적 지지 요인,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 신기술에 대한 태도 및 지각된 위험으로 구성된심리적 요인에 따른 인터넷 이용의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19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터넷 비이용 장애인 463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발적 인터넷 비이용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 의도에는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 경제활동 상태, 사회적 지지가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자발적 인터넷 비이용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 의도에는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만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장애 정도 및 유형에 따른 맞춤형 정보활용 유입 정책 설계, 디지털기기 이용률 제고를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 인터넷 이용 동기 함양을 위한 디지털정보 인식 개선 교율 실시 등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 의도 제고 및 실질적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이채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검증하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들의 서비스 질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4월부터 6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활동보조서비스 이용 장애인이 지각한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 서비스 질이 활동보조서비스를 받은 후 개인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변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 참여적 효과성에는 자기결정권,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에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장애인들이 활동보조서비스를 받은 후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한 자신감이나 잠재능력 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들에게 활동보조서비스 선택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많이 주고, 활동보조인의 자질 및 역량을 강화하며, 활동보조서비스의 질을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quisitively verify the effect on a personal assistan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y, service quality, and self-determination perceived by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on service efficacy, and based on research data,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in order to enhance the service quality of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this, we collected data from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rom April to June, 2011 for around 2 months. As a result of an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r the effect on a personal assistan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y, service quality, and self-determination perceived by the disabled us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on individual efficacy after receiving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ey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all of the variables, and that for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self-determination, and personal assistan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t. Theses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give the disabled self-determination very much in select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in order to enhance potential abilities or self-confidence etc. in something or certain circumstances after receiv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o strengthen personal assistan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and to improve quality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 KCI등재

        장애인의 일자리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채식,김명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6 장애와 고용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nfluencing factors to the job satisfaction of disabilities. Accordingl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economic activity status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ability & employment service characteristic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social suppor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regards to the analysis data, source data of the first - seventh disabled employment panel research (2015) established by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ere use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7,752 workers with disabilities (21.74% of the first - seventh research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out of 35,644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responded to the entire seven sessions of research.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gender, disability type, basic pension receipt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disability level and health condition wer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as demographical factors. As for variable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as economic activity status, they were the reason for work, the type of job, monthly average wage, benefits & welfare, work type and continuous work status. In regards to the variable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as occupational ability & employment service factors, they were aptitude, job security, the use of knowledge & function, employment service experience and certificate type. As for the variable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 social support factors, they were the use of leisure and socio-political rights. Based on such results, policy &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through discussion.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일자리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경제활동상태 특성, 직업능력과 고용서비스 특성, 대인관계와 사회적 지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구축한 제1-7차의 총 7년간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 통합자료(2015)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에 응답한 전체 장애인 35,644명에서 근로장애인 7,752명(총 7차 응답자의 21.74%)을 연구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일자리만족에 미치는 변수는 성별, 장애유형, 기초수급여부, 최종학력, 장애등급, 건강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상태 변인이 일자리만족에 미치는 변수는 근무이유, 일자리종류, 월평균임금, 복리후생, 지속근무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능력 및 고용서비스 변인이 일자리만족에 미치는 변수는 적성, 일자리안전, 지식기능활용, 고용서비스경험, 자격증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및 사회적지지 변인이 일자리만족에 미치는 변수는 여가활용, 사회정치적 권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일자리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정책적·실천적인 함의에 대해 논의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사회연결망과 리더십기술의 관계분석

        이채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4

        이 연구는 청소년리더십기술과 사회연결망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및 충청지역의 2개 대학을 임의로 선정하여 2개 학과의 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리더십기술의 빈도, 집단차이분석은 SPSSWIN/ver 12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교우관계를 통한 사회연결망의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 내외지향성 등의 중심성 분석은 UCINET/ver6과 Netminer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청소년의 리더십기술은 여자청소년에 비해 남자청소년이 높았으며, 학업성적이 높은 청소년의 리더십기술이 학업성적이 낮은 청소년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연결망은 리더십기술과 관련하여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연결망의 매개중심성은 성별과 낮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발신근접성, 수신근접성, 발신중심성, 수신중심성 등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연결망과 리더십기술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leadership skill of youth. The data gathered from 165 youths of university. SPSSWIN/ver 12, UCINET/ver6, and NETMINER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data. Technique for analyzing for data was adopted Frequency, Factor analysis by SPSS program and n-Betweenness, Closeness, and Degree of Centrality with UCINET and Netmin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degree of male youths' leadership skill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youths. And degree of high-graded youths' leadership skill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ow-graded youths. Secondly, Centrality in social network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youth leadership skill. Betweenness in youth group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oup activity skill, communication skill, self understanding skill. Thirdly, Closeness in social network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x and academic grade. The study concludes that social network of youth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youth leadership skill.

      • KCI등재

        근로장애인의 사회생활능력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이채식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interpersonal skills, daily living skill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working disabled affect employment. For this goal, 3,995 people with wage work disabiliti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urvey data on the employment panel for the disabled establish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ou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highest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average monthly income and degree of disability, sex, highest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average monthly income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but age and degree of disability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Second, in the sub-factors of ability for social life of the working disabled, results show that interpersonal competency, ability for daily life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Political ·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first, a specialized employment support program for women and middle-aged with disability must be prepared, second,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 plan for practical ·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supported employment system and personal assistance system in workplace are necessary for improving ability of the disabled for their social life.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을 대상으로 근로장애인의 사회생활능력인 대인관계능력, 일상생활능력, 사회활동참여가 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21)에서 구축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임금근로장애인 3,99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혼인상태, 월 평균소득, 장애정도가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최종학력, 혼인상태, 월평균 소득이 유의하게 취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과 장애정도는 취업에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장애인의 사회생활능력의 하위변인에서 대인관계능력과 일상생활능력, 사회활동참여가 취업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근로장애인의 취업향상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은 첫째, 여성장애인과 중고령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특화된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고, 둘째, 장애인의 사회생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원고용제도, 근로지원인제도 등에 대한 실천적·제도적 개선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정신지체인의 이직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이채식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5 장애와 고용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actically examine for the factors which number of seperation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by the variables which related to factors of seperation was divided general characteristics, conceptual skills, social skills, vocational skills, social supports. Here is summary of the important study findings. Firstly, the differences which number of the seperation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are found. The each variables which number of the seperationthe lower are found. Those are the older age, the disability level 2, the type of housing which the boarding house, the lower or higher average monthly wage, the typ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which the pre-employment is the public vocational training, the existence of jod coach. Secondly,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of the number experience seperation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he each variables whice number of the experience seperation the lower are found. Those are the higher daily living ability, the better vocational living attitudes, the better vocational activity characters. This study findings have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irstly,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pre-employment for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to be run with a focus on the occupational skills. Secondly,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cused on the actual(company) work tasks. 본 연구는 정신지체인의 이직경험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서 이직요인과 관련된 변인을 일반적 특성, 개념적 기술, 사회적 기술, 직업적 기술, 사회적 지지로 구분하여 이직경험횟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주요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경험횟수의 차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장애등급이 2급일수록, 주거형태가 기숙사일수록, 직종이 단순생산직일수록, 평균임금이 낮거나 높을수록, 입사전 직업재활프로그램 유형이 공공직업훈련일수록, 작업지도원이 배치되어 있을수록 이직경험횟수가 각각의 변인에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정신지체인의 이직경험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업생활태도와 직업생활태도와 직업적 행동특성이 좋을수록 이직경험횟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실천적 함으로는 첫째, 정신지체근로자의 이직을 최소화하기 위한 취업 이전의 직업재활서비스는 직업적 기술 중심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하고, 둘째, 현장(사업체) 직무중심의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면 현장의 직무중심의 직업재활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