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원내감염과 그 균의 약제내성

        이창,김중명,김재식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6 慶北醫大誌 Vol.27 No.4

        1985년 1월부터 동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한 9,1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Study of Efficac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SENIC)-project Ⅲ의 algorithm for dia-gnosing infection의 방법으로 조사하여 그 성적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원내감염율은 4.8%이고, 그 건수비는 5.8이었으며, 요로감염증이 41.6%으로 가장 많았으며, 창상감염(37.6%), 폐렴(14.6%), 패혈증(6.2%) 순이었다. 수술환자의 원내감염율은 6.7%이었고, 수술환자에서는 창상감염이, 비수술환자에서는 요로감염증이 매우 많았다. 남여별 원내감염비는 2.4(남 ; 309, 여 ; 130)이었는데 남자에서는 창상감염이, 여자에서는 요로감염증이 더욱 많았다. 원내감염은 내과계 영역(1.9%)보다는 외과계 영역(7.0%)이 훨씬 많았으며, 외과계 영역에서는 정형외과가 가장 많았고(18.1%), 다음이 성형외과(11.6%), 신경외과(11.5%)등의 순서였고, 내과계 영역에서는 내과에서 가장 많았다. 감염 증후별로는 정형외과와 일반외과는 창상감염이, 신경외과는 요로감염증 등이 많았다. 도뇨관 사용의 경우 원내감염의 발생은 비사용의 경우보다 3배 가까이 많았고 특히 요로감염증이 가장 많았으며, 또 기존질환이 있는 경우에 원내감염의 발생을 그 질환별로 보면 화상(30.3%)과 만성 신부전증(22.9%)이 가장 많았다. 원내감염의 원인균 549주 중 Pseudomonas Sp. 119주, Escherichia coli 73주, Acineobacter calcoaceticus 73주, Enterobacter Sp. 43주, Serratia marcescens 41주, Proteus Sp. 23주, Klebsiella Sp. 15주, Citrobacter Sp. 8주, Staphylococcus aureus 50주, Enterococcus 39주, Staphylococcus albus 23주, β-hemolytic Streptococcus 23주, Candida Sp. 15주, Aspergillus fumigatus 4주였다. gram 음성에 속하는 원내감염균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획득율 50% 이상을 보면, Escherichia coli는 cephalothin, amikacin, carbenicillin, colistin, chloramphencol이었고, Pseudomonas Sp.는 The risk of nosocomial infection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was investigated by bacteriologic and retrospective studies from January to December, 1985. Of the 9,116 patients screened by bed-side examination, 439(4.8%) were found to be have active nosocomial inections. The incidence of nosocomial infections by clinical types was found to be highest in urinary tract (41.6%), followed by wound of 37.6% and pneumonia of 14.2%. The least frequently encountered was sepsis of 6.2%. Certain operations and urinary catheterizations, underlying diseases such as malignancy, diabetews mellitus, chronic renal failure and burn, and categories of sex and age were found to be risk factors for nosocomial infection. When nosocomial infection was classified by hospital services, the infection was more common in surgical services than in medical measures. Of the srugical services, it was most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orthopedic surgery. A total of 549 strains of nosocomial pathogens were isolated.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strain was Pseudomonas species 18.9%, followed by E. coli 13.3%, Acinetobacter calcoaceticus 13.3%, Staphylococcus aureus 9.1%, Enterobacter species 7.8%, Serratia marcescens 7.5%, and Enterococci 7.1%, respeceively. The antibiotic sensitivity patterns of isolates of nosocomial pathogens showed multi-drug resistance. Almost all of gram-negative bacilli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cephalothin and chloramphenicol. Of which, some isolates of Pseudomons species, E. coli and Acinetobacter calcoaceticus were resistant to both aminoglycosides and ce[phalosporins. The isolates of gram-positive cocci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G, moxalactam, amikacin, erythromycin, clindamycin and lincomycin. The isolation rate for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as 60%, amikacin resistant 54%, and β-lactam and aminoglycoside resistant 48%, respectively.

      • KCI등재

        한미조세조약상 ‘거주자’ 관련 법적 쟁점 ― 서울고등법원 2014.6.27. 선고 2012노594 판결을 중심으로 ―

        이창 한국세법학회 2015 조세법연구 Vol.21 No.2

        납세자가 소득세법상 거주자로 인정되고, 미국 영주권 보유 등의 사유로 미국법상으로 전세계소득에 대한 납세의무를 부담하고 있는 상황에서 홍콩 등 제3의 국가에서 배당을 받을 경우 한미조세조약의 해석․적용과 관련한 특별한 법적 쟁점들이 발생한다. ① 한미조세조약상 납세자가 어느 체약국의 거주자인지를 어떤 기준으로 판정해야 하는지(특히 ‘항속적 주거’의 해석문제), ② 제3국 원천소득에 대하여는 한미조세조약상 ‘기타소득’에 관한 규정이 없어 조약의 적용범위 밖에 있다고 보아야 하는지, ③ 납세자가 대한민국 국적자라면 한미조세조약의 이른바 ‘유보조항’을 적용하여 한미조세조약과 무관하게 소득세법의 요건에 따른 과세가 가능한지의 문제이다. ①에 관하여 한미조세조약에서는 항속적 주거 여부를 판정할 때 “가족과 함께 거주”라는 특이한 요건을 부기하고 있으므로 OECD 모델상의 항속적 주거 개념과 한미조세조약의 위 문언이 조화되는 해석론이 필요하다. 한미조세조약상 주거가 인정되려면 납세자가 한미 중 어느 곳에 늘 사는 집을 두고 있을 뿐 아니라 가족과 함께 산다고 인정되기 위해 필요한 정도의 최소한의 납세자 및 가족의 공동 체류기간도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의 항속적 주거가 한미 양국에 모두 있다고 볼 수 있거나 어느 곳에도 없다고 판단되면 제2순위 판단기준으로 넘어가야 하며, 항속적 주거와 관련하여 한미양국의 상황을 비교할 것이 아니다. ②에 관하여, ‘제3국 원천소득’에 대해 한미조세조약 제4조 제1항이 거주지국 아닌 체약국의 과세권을 그 체약국의 국내원천소득에 한정하고 있다고 규정하나 이 문언만으로 거주지국의 과세대상이라고 볼 수도 있을지는 의심스럽다. 오히려 한미조세조약이 제3국 원천소득에 대하여는 따로 규율하고 있지 아니하여 제3국 원천소득에 대하여는 조약상 제한을 받지 않는다고 해석될 여지가 적지 않다. 마지막으로 ③에 관하여 한미조세조약상 유보조항은 미국 세법상의 배경으로 인해 도입되기는 하였으나 상호 적용되는 문언으로 도입되었고, 단순한 선언적인 조항이 아님이 명백한 이상 대한민국 국적자에 대하여도 적용된다. 납세자가 대한민국 국적자라면 한미조세조약의 제한을 받지 않고 소득세법을 적용하여 과세하는데 적어도 법리상으로는 지장이 없다. There are some special legal issues on interpreting the Income Tax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reaty”), when a taxpayer is a resident by the law of both contracting states. First, the issue concerns the paramount question that what would be the proper test for ascertaining which contracting state is a taxpayer’s residence and thereby such taxpayer is considered as resident of such contracting state (especially, how to interpret “permanent home” in the Treaty)? Second, by which of contracting states may a taxpayer be taxed regarding income from sources of a country other than contracting states. Third, if a taxpayer is Korean citizen, is it possible for Korean National Tax Service (“NTS”) to tax him by virtue of the Saving Clause of the Treaty regardless of certain provisions which limit certain taxation in the Treaty? As for the first issu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 “permanent home” includes an additional element of “a place where he dwells with his family” in the Treaty which is clearly not in conformity with the model tax treaty rules of OECD (the “OECD Model”) that have been adopted by many other jurisdictions and states worldwide. In light of the abov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certain theory of interpretation for Article 4(2) of the Treaty. Considering the provision of Article 4(2) of the Treaty, “permanent home”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express definition provided thereof together with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a “permanent home” under the OECD Model. That is, the length of stay with a taxpayer’s family member should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contracting state can be deemed as a place of his permanent home. Where a place of permanent home cannot be clearly or easily determined, we should look to the next test that is stipulated in the Treaty rather than comparing the factors which each contracting state considers in determining a permanent home. As for the second issue, notwithstanding Article 4(1) of the Treaty, as the Treaty is moot on the issue of “Other Income” as provided in the OCED Model, it is rather ambiguous whether the Treaty should be deemed as to cover the income from sources of a country other than contracting states. Considering the above,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Treaty is not applicable to such “Other Income” and in such event, NTS can tax on such “Other Income” upon determination that such taxpayer is a resident under the applicable tax laws of Korea. As for the third issue, “Saving Clause” in the Treaty should be applied reciprocally between the contracting states even though the clause was introduced by the will of only one contracting state, the United States. The technical explanation of the Treaty provides the same opinion and guidelines for the interpretation. Therefore,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reasons and analysis, it can be said that if taxpayer is a Korean citizen, NTS should be able to tax him according to the tax laws of Korea regardless of the Treaty by virtue of the Saving Clause.

      • KCI등재

        국내은행 해외지점 계좌 관련 예금채권에 대한 체납처분-서울고등법원 2013.4.18.선고 2012나63832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이창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1

        Account seizure shall enter into force upon delivery of the notice of attachment to the third obligor, the bank. Main office of a bank, as well as its branches, is merely a business place that belongs to a corporation; therefore, deposit seizure shall be effective regardless of whether the notice of attachment was delivered either at the main office or the branch office. It is enough to specify the content of the claim on the notice, so that the bank is able to apprehend and suspend the payment of the bank account. This legal principle is equally applicable for the bank’s foreign branches. According to judgments of Korean lower court, it was held that the deposit in the account that was opened in foreign branches is outside of Korean territory so that it is not subject to coercive collection, and foreign branches shall be treated as independent legal entity.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deposit in question also belongs to the obligor’s claim vis-à-vis the domestic bank, there is no legal ground to determine the said deposit as the property outside of Korean territory. If it is indispensable to determine the aforementioned deposit as so, it shall be duly analyzed and settled by treaties or legislation; however, it is unjust to igno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ercive collection and consider deposit in foreign branches as foreign property, based on current legal interpretation. Also, the separate entity doctrine, which regards foreign branches as separate legal entity only because the branches are regulated by local administration where the branches are situated, is not reasonable so that 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legal entity are two distinct issues. Delivering the notice of attachment to foreign branches to attach the deposit may be controversial considering the sovereignty of the foreign countries; however, this issue shall be dealt through legislation. The court's decision, den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notice of attachment which otherwise would be deemed proper service of process under the local laws of Korea, appears to be unjustifiable. 예금채권에 대한 체납처분은 압류통지서가 제3채무자인 은행에게 송달될 때 효력이 발생한다. 은행의 본점과 지점은 하나의 법인에 속한 영업소에 불과하므로 본점에 대하여만 압류통지서의 송달이 이루어지거나, 취급지점에 대하여만 송달이 이루어지더라도 예금채권에 대한 체납처분의 효력이 인정된다. 압류통지서의 기재는 은행이 어느 계좌를 지급정지하여야 할 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정도로 피압류채권의 내용이 기재되면 충분하고 반드시 취급지점까지 기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법리는 은행의 지점이 해외에 있다고 하여 달라질 이유는 없다. 최근 우리나라 하급심 판결에 의하면 해외지점에 개설된 계좌에 관련된 예금채권은 장소적으로 우리나라 영역밖에 있는 것이어서 체납처분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며, 해외지점은 본점과 독립된 법적 주체로 취급되어야 한다는 취지로 판단한 바 있다. 그러나, 해외지점에 개설된 예금계좌에 관련된 예금채권 역시 체납자의 국내은행에 대한 채권이라는 점에 비추어 이를 굳이 우리나라 영역 밖의 재산이라고 단정할 법적 근거는 없다. 굳이 그렇게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면 이는 합당한 검증을 거쳐 조약이나 입법을 통하여 해결되어야 할 것이지 현행법의 해석론을 내세워 해외지점 계좌관련 예금채권을 국외소재 재산으로 보아 체납처분의 효력을 부인하자는 입장은 부당하다고 본다. 또한, 은행의 해외지점이 진출국의 행정 규제를 받는다는 이유만으로 이를 독립된 법적 주체로 보아야 한다는 이론은 행정규제와 사법상 법인격 문제는 각각 고유의 영역이라는 점에 비추어 현행법상 법적 근거 없이 어떤 현실적 필요만으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고 본다. 해외지점 개설계좌 관련 예금채권을 압류하기 위해 압류통지서를 국제등기우편을 통해 해외지점으로 송달하는 것은 해외지점 소재국가의 주권침해 여부와 관련하여 논란의 여지는 있을 수 있으나, 조약체결 또는 외교적 수단에 의한 해결방안 도모는 별론 국내법에 따라 이루어진 압류통지서의 송달을 반드시 부적법하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인지는 의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