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현지화 수단인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 현황과 과제 : 자발적 지역 검토(VLR)의 한국적 적용과 확산을 위한 연구 과제 제언

        이창언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4 한국융합인문학 Vol.12 No.2

        유엔과 유엔 산하 기관은 ‘지속가능발전목표 현지화(SDGs Localization)’라는 용어를 매개로 초국가적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에 관한 논의를 선도해 왔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현지화는 지역 차원의 결과로 효과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인 메커니즘, 도구, 혁신, 플랫폼 및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새로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구의 흐름은 도시와 지방정부의 자발적 지역 검토(VLR)와 많은 부분 접점을 형성한다. 도시와 지방정부는 특히 지속가능발전을 촉진하는 해법을 구현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지속가능발전 노력에서 점점 더 많은 지방 및 지역 정부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현지화, 계획, 집행과 후속 검토 단계를 구축하기 위해 자발적 지역 검토(VLR)를 귀중한 정책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는 한국 도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성취도, 혁신 과제, 나아가 한국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해명하는 데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다른 부문의 사례를 통해 간접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고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 본 연구는 자발적 지역 검토(VLR)의 한국적 수용과 확산을 목적으로 최근 전 세계 자발적 지역 검토(VLR) 연구의 핵심 주제, 한국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연구 주제, 그리고 자발적 지역 검토(VLR) 정착과 확산을 위한 과제를 제언한다. The United Nations and UN-affiliated organizations have led the discuss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ransnational SDGs using the term ‘SDG localization’. SDG localization involves specific mechanisms, tools, innovations, platforms and processes to effectively yield regional outcomes. In particular, governments both in cities and rural areas are taking the lead in implementing solutions that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ir effor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ore and more local governments are using VLRs as valuable policy tools to establish stages for localization, planning, enforcement, and follow-up and reviews of SDGs. VLR is a useful and important research area in that it is essential in explaining achievements of SDGs in Korean cities, innovation tasks, and even the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of SDGs in Korea, and it can serve as an indirect experience through cases in other sectors. For the purpose of accepting and spreading VLRs in Korea, this study proposes the core topics of recent research on VLRs around the world, along with some research topics that Korea should focus on, and tasks for VLR settlement and diffusion.

      • KCI등재

        촌락공동체신앙 전승의 현재적 의미 - 경북 문경시 부곡리 별신굿을 중심으로 -

        이창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9 No.-

        별신굿은 그 기원과 의미에 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전되기 이전까지 대부분의 촌락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행했던 동제와 관련이 있다. 별신굿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종교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많은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다. 산업화, 도시화의 진전과 농촌의 과소화와 고령화로 인해 별신굿의 전승이 어려워지고 있다.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부곡리에는 현재까지 별신굿이 전승되고 있다. 부곡리의 별신굿은 해안지역을 제외하면 경상북도 내륙에서 전승되는 유일한 별신굿이다. 이 별신굿이 현재까지 지속된 배경에는 고갈되지 않는 수자원이 촌락민들의 생존을 가능토록 한 것이 크게 작용하였다. 또한 부곡리의 별신굿은 전통사회에서 가난한 농민들 사이에서 공동체 존속의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전승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지역의 생태적 특성과 이를 배경으로 형성된 촌락의 특수성을 간직한 채 전승된 부곡리의 별신굿은 현재 그 전승을 놓고 촌락민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인구감소, 고령화, 개인주의적 가치관 및 과학적 사고방식의 만연이 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과수재배 농가가 많은 부곡리에서 농사일에 바쁜 겨울철에 별신굿 준비에 시간을 할애할 수 없는 것이 큰 요인이 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전통문화를 통한 지역판촉과 지역 활성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부곡리 별신굿의 전승도 새로운 계기를 맞이하였고, 별신굿의 전승에 관의 지원이 크게 작용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10년 마다 촌락민들의 정성에 의해 모은 기금으로 행하던 별신굿은 격년제로 시행하게 되었다. 잦은 별신굿의 시행으로 겨울철 농사일에 바쁜 촌락민들의 별신굿에 대한 반감도 증대되어, 그 지속을 놓고 촌락민간 갈등의 소지를 높이고 있다. 결국 별신굿 전승과 관련하여 탈맥락화와 촌락민간의 갈등 방지라는 새로운 과제를 남기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참나무군배충(UHLERITES DEBILE)의 若令期 生態 : HEMIPTERA, TINGIDAE HEMIPTERA, TINGIDAE

        李昌彦,朴喜千 韓國自然史博物學會 1974 生物과 自然 Vol.4 No.-

        참나무군배충의 産卵習性, 卵期, 各 幼 令期間 等을 調査하기 爲하여 졸 참나무에 寄生시켜 飼育實驗을 한 結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암컷의 産卵은 葉後面 主脈에다 行하며, 1日 1回씩 約 10日 동안에 總 産卵數 平均 96.6個를 産卵했다. 1回 産卵數는 平均 9.5個이며, 약 7∼8分間 계속된다. 2. 1日 産卵數의 變化는 2∼3日 間隔으로 增減했다. 3. 産卵 方向은 葉先과 葉柄 兩쪽으로 行한다. 4. 卵期 調査를 爲해 期間을 달리해서 行해진 各各의 實驗區에서는 비슷한 溫度 分布를 보여 주었는데, 兩實驗區에서 나타난 卵期도 거의 비슷하게 約 10日을 記錄했다. 또한 孵化率은 最低 56.6% 最高 92.3%로 나타났다. 5. 幼 의 令期는 1令에서 5令까지 1次 實驗(7.21∼8.7)에서 2, 2, 2, 2, 2.9일을 記錄했고, 溫度가 휠씬 낮은 分布를 보인 2次 實驗에서는 (8.9∼9.17) 2.7, 2.1, 2.1, 2.7, 6.3日을 나타냈는데, 이것은 溫度가 卵期 및 令期에 常當한 影響을 주고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This observation was made to investigate bionomics of the early stage of the oak lace bug, Uhlerites debile­egg laying behavior, egg duration, the period of each instar of the larvae, etc. many larvae and adults were reared on an oak branch cultured by water bottle, on the other hand, the natural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on the campus of the Kyungpook University, from July to October, 1967. 1. The females of the oak lace bug laied their eggs only at the nervure of leaves of the oak and they deposited about 96.6 eggs (avr.) for a period of 10 days; about 9.5 eggs once a day. 2. The daily number of eggs laied by the female alternately increased and decreased at intervals of two or three days. 3. The direction of eggs deposited at the nervure showed two types, some of them slanted toward the petiolar and others opposite. 4. Two observations for investigating egg duration, at interval of a month, were shown similar results­about 10 days egg duration, reasonably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during these observations were also similar and the hatching rates were calculated from 56.6% to 92.3% 5. The periods of the larval instars from the 1st to the 5th were 2, 2, 2, 2 and 2.9 days from July 21 to August 7, but 2.7, 2.1, 2.1, 2.7 and 6.3 days from August 29 to September 18. The different results between two periods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f the periods which the work continued.

      • KCI등재
      • KCI등재

        경북 동해안 지역 동제의 지속과 변화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창언 국립민속박물관 2007 민속학연구 Vol.0 No.21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nterest in what changes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relationships of villages have gone through as time went on, and in what correlations these changes have with the maintenance and change of Dongje (a village ritual). This paper chose a fishing village in the east coast and then, studied the relevant documents and investigated the local site. It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formation of Dongje, the changes in the selected group, and the maintenance and change of the local residents' recognition of Dongj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neighboring fishing villages including the subjected village area, Dongje has been well preserved and handed down compared with the areas having different ecological backgrounds. It can be said that a folk belief has been positioned deep in the residents' living cultures. Secondly, in the subjected village and its neighboring fishing villages, the division of folk customs has been quite much progressed in the field of local rituals like Dongje. This division of folk customs in fishing villages reflects that fishing villages, which are folk villages and several family names-based villages, have hierarchy and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in the social structure as serious as noble and racial villages. Third, the process of shrines'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in the subjected area reflects the existence of hierarchy related with the settlement time and the living activities, together with the process of its changes. The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of shrines in the subjected area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and economic heterogeneity in the village, and the external influence causing changes, which caused to change Dongj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a folk belief.

      • 경문군류 곤충에 대한 비교형태학적 및 계통학적 연구

        이창언,권용정 한국곤충학회 1979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Vol.9 No.1

        An explanation is needed for the phylogeny as well as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higher classifications of Korean auchenorrhynchid insects studied in the course of our investigation. Attention is focused on the structure of head and pronotum including scutellum, wings, and male genitalic characters with critical comparision. Some schematic models of male genitalia and wing venation are given. There is much difference of opinion as to the nomenclature used for the veins, that adopted here is based on K.G.A. Hamilton's extensive revision (1971-72). All the prominent and important structures of the families examined in this investigation are figured and their tentativ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