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합 근연수분 및 종간 교잡종 F1 여교잡시 종자형성

        이지용,임용표,Lee, Ji-Yong,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근연수분인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은 9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1개였다 화주절단수분시에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3%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22개로 적었다. (L. longiflorum 'Gelria'${\times}$L. ${\times}$formolongi 'Raizan')의 경우 주두수분에서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11개를 얻었다. 그러나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47%이고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34개로 주두수분에 비해 11%밖에 미치지 못했다. (L. longiflorum 'Raizan'${\times}$L. ${\times}$formolongi 'Como')의 경우 주두수분은 종자형성 삭과율이 40%이고 삭과당 종자수가 14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 ${\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여교잡에서 화주절단수분된 15개체 중에서 9개의 성숙삭과를 얻어 삭과 형성율은 60%,배형성 삭과수는 53%,삭과당 평균배수는 14개였다. 그러나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times}$L. longiflorum 'Lorina']와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hicago')]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또한 [(L. longiflorum 'Lorina'Lorina'L. Asiatic hyhbrid 'Corsica') ${\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경우도 수분된 15개체 중에서 삭과 형성률은 80.0%,배형성 삭과수는 67%,삭과당 평균배수는 11개였다. 하지만 [(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times}$L. longiflorum 'Lorina']와 나팔백합에 종간잡종을 교잡한 [L. longiflorum 'Lorina'${\times}$(L longiflorum 'Lorina${\times}$L. Asiatic hyhbrid 'Corsica')]의 교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 We studies seed set in the interspecific F1 /backcross hybrids of Lilium species. In the interspecfic hybrid of L. longiflorum cv. Gelria with L.${\times}$ fomolongi cv. Raizan,93% fruit set was obtained by stigmatic pollination in comparison to 53% from cut-style pollination. Accordingly, the number of seed set resulting from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was 147 and 53, respectively. Pollination o( both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47% fruit set in the hybrid of L. longiflorum cv. Lorina with L.${\times}$ fomolongi cv. Raizan. However, stigmatic pollination formed 413 seeds, whereas only 24 seeds were obtained by cut-style pollination in this cross. The hybrid of L.${\times}$ fomolongi cv. Raizan with L. longiflorum cv. Come set 40% fruit with a total of 43 seeds by stigmatic pollination. However, no fruit set was observed in cut-style pollination in this hybrid. Backcrossing the F1 hybrid by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Lorina ${\times}$ Asiatic hybrid cv. Chicago with the latter parent led to 53% fruit set, and 109 embryos were obtained. Likewise, backcrossing following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Lorina ${\times}$ Asiatic hybrid cv. Corsia with the latter parent formed 67% fruits and 107 embryos. However, in the remaining interspecific hybrids, cut-style pollination set no fruit.

      • KCI등재

        Oriental, Martgon 및 Trumpet Group을 화분친으로 사용한 백합의 종간수분

        이지용,윤의수,임용표,Lee, Ji-Yong,Yoon, Eui-Soo,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4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1 No.2

        L. longiflorum cv. Gelri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98조합 2,380개체에 대한 종간교배 결과 삭과 형성수는 7조합에서 11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L. 'Vettorea'를 화분친으로 한 1조합에서만 1개체를 얻어 그 비율은 미미했으나 1개의 삭과에서 11개의 미숙배를 획득했다. 같은 나팔백합인 L. longiflourm cv. Lorina를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74조합 1,265개체의 교배결과 삭과 형성 수는 8조합에서 9개체를 얻었다. 배형성 삭과율은 1.3%를 나타냈으며 전체 24개의 배를 얻었으며 삭과당 평균배수는 3.0개였다. L. ${\times}$formolongi cv.'Raizan'을 자방친으로 하고 Oriental group를 화분친으로 한 85조합 1,065개체 교배결과 삭과 형성수는 36조합에서 62개체를 얻었다. 그중 미숙배를 형성한 삭과수는 12조합에서 17개체를 얻었고 여기에서 얻은 전체 배수는 68개로 삭과당 평균배수는 4.0개였다. 같은 Longiflorum group인 L. ${\times}$formolongi과 L. ${\times}$formolongi 자방친으로 한 종간교배 결과를 비교해 보면 배형성 삭과율은 L. ${\times}$formolongi cv. Raizan (3.1%) 이 ㅣ. longiflorum cv. Gelria (0.1%)와 L. longiflorum cv. Lorina (1.3%) 보다 높은 편이었고, 삭과당 평균배수는 L. longiflorum cv. Gelria(11.0개)가 L. longiflorum cv. Lorina (3.0개), L. ${\times}$formolongi cv. Raizan (4.0개) 보다 높은 편이었다. 한편 Longiflorum group인 L. longiflourm cv. Gelria 및 L. longiflorum cv. Lorina와 L. ${\times}$formolongi cv. Raizan를 자방친으로 하고 화분친을 Martagon group인 1. distichum, L. hansonii, L. tsingtauense, L. martagon, Trumpet group인 L. 'Black Beauty', 1. henf, L. henry, regale 등으로 화주절단수분을 한 결과 (L. ${\times}$formolongi${\times}$L. henryi)의 조합에서만이 15개의 교배개체 중에서 2개의 성숙 삭과를 얻었을 뿐 배를 형성한 삭과는 얻지 못했다. 이러한 교잡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본 시험에서 시행한 화주절단수분법 이외에도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 of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and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with Oriental, Martagon and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by cut-style pollination.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with Oriental group as the male parent, the corresponding fruits obtained immature embryo were 1, 8,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 per fruit were 11.0, 3.0, respectively.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of L. ${\times}$formolongi cv. Raizan, the corresponding fruits obtained immature embryo were 17,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 per fruit were 4.0.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specific pollination between L. longiflorum and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and Martagon and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the pollination of L. ${\times}$formolongi as the female parent and L. henryi of Trumpet group as the male parent were obtained only 2 fruits, however no embryo.

      • KCI등재

        백합의 자가 및 품종간 종자형성에서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

        이지용,임용표,Lee, Ji-Yong,Lim, Yong-Py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법으로 나팔백합 (L. longiflorum)과 신나팔백합 (1. ${\times}$ ormolongi)을 자방친으로 한 자가 및 품종간 수분을 통하여 교배 조합간 종자 형성율 등을 구명하고 교잡종 육성범위 확대를 위한 기본자료를 얻고자 수행했다. 나팔백합인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의 자가수분에서 주두수분의 경우 각각 10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189개, 70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각각 87%, 40%였다.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53개, 20개로 화주절단 수분법보다 주두 수분에 의한 종자 형성률이 훨씬 높았다. L.${\times}$formolongi의 자가수분에서도 주두수분은 8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597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47%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81개였는데 형성된 종자도 주두수분보다 충실하지 못했다 품종간 수분에서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을 자방친으로 한 전체에서 주두수분의 종자형성 삭과율은 6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8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2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개로 주두수분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신나팔백합의 품종간 교잡인 (L.${\times}$formolongi 'Raizan'${\times}$L. formolongi 'Nobia')에서도 주두수분시 종자형성 삭과율이 75%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79개인 반면 화 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63개로 주두수분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주두수분이 화주절단수분보다 결실률이 높았다. This work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 of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on self seed set in Lilium longiflorum and L. ${\times}$ formolongi, and their crosses as the female parent with other cultivars/genotypes. Stigmat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resulted in cent per cent fruit set with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189 and 70, respectively. However,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87% and 40% fruit set in Gelria and Lorina,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mean number of seeds/fruit was 53 and 20. In L. ${\times}$ formolongi, stigmatic pollination set 80% fruits with 736 seeds/fruit. On the other hand, cut-style pollination resulted in 47% fruit set with 81 seeds/fruit. The intraspecific stigmatic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v. Gelria and Lorina with other cultivars formed 60% fruits with a mean number of 18 seeds/fruit. However, only 20% fruit set with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7 was recorded when cut-style pollination of L. longiflorum cultivar were pollinated with other cultivars/genotypes. In the intraspecific pollination of L. ${\times}$ formolongi cv. Raizan with Novia, fruit set resulting from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was 75% and 50%, respectively with the corresponding mean number of seeds/fruit of 579 and 98. It was concluded that self as well as intraspecific seed set in the two species of Lilium gets considerably reduced as a result of cut-style pollination.

      • KCI등재

        진주지역 약선요리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지용(Ji Yong Lee),김경묘(Kyoung Myo Kim),황영정(Young Jeong Hwang) 한국조리학회 2013 한국조리학회지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s of medicinal foo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attitude in Jinju area. A survey was conducted to 300 people who live in Jinju area, and 252 completed copies of questionnaire was returned.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20.0`` was used to analyze the sample data,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for the hypothesis, ``selection attributes of medicinal foo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food quality, health food and servic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with medicinal foo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visit. Third, customer satisfaction leads to recommendation to othe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medicinal food restaurants in Jinju area should provide healthy food menu, high-quality food and high-class services, which could be effective to promote the specialty of medicinal food restaurants for costumers.

      • KCI등재

        쇼핑성향에 따른 해외패션제품 직접구매 위험지각과 구매의도

        이지용 ( Lee Ji Yong ),황진숙 ( Hwang Jin-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6 No.-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해외 브랜드의 상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하기 위해 해외직접구매를 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구매를 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쇼핑성향에 따라 느끼는 해외직접구매의 위험지각을 살펴보고 그것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구매 경험이 있는 20-40대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346부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고, AMOS 18.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표과시 쇼핑성향과 할인지향 쇼핑성향이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상표과시 쇼핑성향은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미체험, 결제, 배송, 교환환불)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할인지향 쇼핑성향은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 중 미체험 위험지각만을 제외한 모든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결제, 배송, 교환환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해외직접구매 위험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결제 위험지각과 배송 위험지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쇼핑성향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상표과시 쇼핑성향에서 배송 위험지각의 간접적인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라 인지하는 해외위험지각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패션 관련 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실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Consumers have been increasing who use overseas direct purchase to buy foreign brand goods at affordable price ow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perception of overseas direct purchase that the consumers, subjects of this study, feel depending on their shopping orient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overseas direct purchase on the purchase intent. Six people who had overseas direct purchase experience before this study was interviewed; a total of 346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using AMOS 18.0.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s of brand-oriented shopping and discount-oriented shopping, the brand-oriented shopping showed positive impacts on every risk perception (inexpedience, payment, shipping, exchange and refund) for overseas direct purchase. The discount-oriented shopping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very risk perception (payment, shipping, exchange and refund) of the overseas direct purchase except for the inexpedience risk perception among overseas direct purchase risk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overseas direct purchase risk percept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showed that payment risk perception and shipping risk percep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Finally,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n the effect of shopping orientat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shipping risk perception showed the biggest indirect effects in the case of the brand-oriented shopp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help in the building and implementation of a marketing strategy for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overseas risk perception recognized by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shopping tendencies and thus their impacts on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한국 SF 서사와 문화사회학 - 근대를 위한 서사에서 탈근대의 서사로 -

        이지용 ( Lee Ji-y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5 No.-

        근대 과학기술과 함께 태동한 장르인 SF는 구한말 한국에 서구화의 상징으로 인식했던 과학기술의 계몽을 위해 도입되었다. 그러기 때문에 한국의 SF는 단지장르로서 서사적인 의미와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사회적인 현상과 상호작용하면서 그 의미를 만들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기 때문에 한국 SF의 서사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보는 것과 동시에 과학기술에 의해서 변화해온 문화와 그로부터 파생된 인식의 변곡점들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론이기도 하다. 한국 SF 서사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다른 면모를 보이는데, 구한말 도입기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계몽의 도구로 작용하던 것이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후 식민지와 전쟁을 거치면서 크게 확장되거나 변화하지 못하고 청소년에게 과학지식과 학습을 위한 교보제나 프로파간다의 역할을 하는 서사적 특징을 보인다. 또한 과학에 대한 인식의 지체와 분단 상황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현상의 영향으로 장르 특유의 다양한 시도들이 제한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21세기에 접어들면서 한국의 SF 서사는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그것이 일상화된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으로 이전과는 다른 가능성을 부여받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오히려 한국이 근대 이후로 나아갈 수 있는 다양한 가치들을 견지하면서 전위적인 문화예술 장르로서 자리매김하려는 모습까지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향후 한국의 SF 서사들에 대한 의미작용의 개진은 한국의 문화의 지향점을 확장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The genre of SF that began with the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was introduced for the enlighten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recognized as a symbol of westernization in Korea,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o, Korean SF not has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narratives as a genre, as well as meanings by interacting with social phenomena. Thus,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SF narratives could be a methodology of viewing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in Korea, while also verifying the culture changed by scientific technology, and inflection points of the perception derived from it. Changes in Korean SF narratives, show different aspects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s. Working as a tool for the enlighten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s a remarkable characteristic. After that, it was not largely expanded or changed, by going through colony and war. It shows narr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playing a role as propaganda, or training aids for scientific knowledge, and learning for adolescents. Also, due to delayed perception of science and influence of special social phenomenon such as the state of division, diverse attempts of the genre were limited. However, in the 21st century, owing to influence of rapi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institutionalized scientific technology, Korean SF narratives started showing possibilities different from the past. Sticking to diverse values to move forward after the modern age, Korean narratives are evolving towards becoming an avant-garde culture and arts genre. So, the statement of the expanded significance of Korean SF narratives will play an integral role in expanding the boundaries of Korean cultur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주체와 미디어 몸들의 세계 -소셜미디어의 사용자와 게임 유저들의 세계가 가지는 의미

        이지용 ( Lee Ji-yong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0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5 No.-

        인공지능은 필연적으로 모든 관심 영역에서 인간의 능력을 상회하는 지능을 지향하고, 그렇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인공지능에 대해서 단순히 성찰의 맥락에서만 담론을 전개하기엔 실제 현상적인 부분의 변화폭이 너무 크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변화양상을 통해 나타나는 인공지능 사회의 변화 양상을 소셜미디어와 게임 유저 경험의 확대인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첫 번째로 소셜미디어에서는 주체의 다양성과 의미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사이버스페이스의 확장과 일상화로 인해서 나타난 게이미피케이션의 확대가 현대 사회의 특징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들은 이미 현실에 구현되고 있는 모습들이다. 특히 멀티미디어의 일상화는 주체의 문제와 정체성, 그리고 다양한 의미들을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우리의 생활과 인식의 층위들을 해체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의 전회를 위해서는 먼저, 현상들의 변화 추이를 명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I continues to outsmart humans in all areas of interest and is constantly developing. It has deeply transformed in terms of actual phenomena. Hence, it is not enough to simply discuss the topic in the context of introspection.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posits that the changing patterns of AI society can be verified by studying gamification, which is the expansion of social media and game user experiences. Firstly, in social media, the diversity and meanings of entities have changed remarkably. Secondly, the growth of gamification (caused by the expansion and universalization of cyberspace) has occurred in society. These shifting patterns are already implemented in reality. In particular, the everyday habits of using multimedia enable us to disassemble the levels of our lives and our perceptions, by modifying the issues and identities of entities, as well as their diverse meanings,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In addition, for a cognitive change, it is important to clearly identify the trends of variations in phenomena.

      • KCI등재후보

        『드래곤 라자』의 이야기가치 재고를 통해 본 한국장르문학의 가능성

        이지용 ( Ji Yong Lee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1 한국문화기술 Vol.12 No.-

        The discussion on Korean genre literature began in 20002. However, there has been no clear definition on the term. Furthermore, public discussion on genre literature is very little as it is regarded as non-mainstream or border area. Such problems are also caused both by environmental factor of literary group and intrinsic factor of genre literature itself. Nonetheless, this study entitles the “possibility” of genre literature as it may have positive influence on our literature circle. This study would like to focus on “Dragon Raja” by Lee Young Do as a representative text for Korean genre literature. It is not only highly appreciated by the public, but also embodies storytelling method in its text. For example, it contains non-realistic background and world view,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by accepting humanity factors. Such can be an approach not only to ‘Dragon Raja’ but also to genre literature itself considering that genre literature has a characteristics of obtaining identity by creating many epigonens. The story value of genre literature from Dragon Raja suggested a development method of Korean genre literature. The genre literature equips reader receptivity and stories in familiar norms which may provide a solution to crisis of Korean literature. It has been already demonstrated from TV dramas or film by receiving genre literature factors actively. Accordingly, the discussion of genre literature must be carried out more actively and the story value must be continually received. Technical development by theoretical approach must be made so that stories in familiar norms do not become a cliche. To accommodate various stories in accordance with the media development, the boundary of closed literature must be re-established and borderline literature must be received. It is because there is a clue that literature can establish and develop own territory in the rhizome of ‘media’. And, it must be not overlooked the fact that value in genre literature is developed to the great extent among such receptive factors.

      • KCI등재

        싱글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패션제품 구매실태

        이지용 ( Ji-yong Lee ),황진숙 ( Jin-sook Hw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5 No.-

        연구배경 최근 혼자 사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중요 소비자로 부상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싱글 1인 가구의 확산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다른 가구와 달리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고 혼자 쇼핑을 하거나 혼자 모든 문제를 해결해야하기 때문에 다른 가구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이는 다른 가구와는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싱글 1인 가구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요인을 추출하여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도출하고 집단 간 차이를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법적으로 혼인상태 있지 않고 거주형태가 단독세대로 이루어진 20~40대 남녀 싱글 1인 가구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이후 20~40대 남녀 싱글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남녀 717명을 최종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K-평균군집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층면접 결과, 싱글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의 요인으로 안전추구, 건강추구, 사교활동, 경제추구, 유행추구, 자기중심, 시간부족, 자기개발의 8개의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싱글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집단을 `경제/안전 추구집단`, `활동적 유행사교집단`, `비경제적 소극적 집단`, `비사교적 무관심집단`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4개의 집단 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패션구매 실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향후 싱글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된 세분화된 소비자 마케팅 활동과 학문적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Recently, single person households are receiving much attention from many fields as it creases as the main consumer target. Also, it is not only spreading in the country but also quickly increasing overseas. Unlike other households, these households spend a lot of their time by themselves and have a different lifestyle that demands more time to shop or solve all their problem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the lifestyle factor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the lifestyle segments. Methods This study carried out focused interviews with 14 single person households of both men and women from the ages of 20~40 and who were not legally married or lived in single generation residence. After, a survey of both men and women from the ages of 20~40 were taken and a result analysis of 717 people was made. The analysis used SPSS 18.0 to analyze frequency, primary factor, dependability, K-clustering and cross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focused interview the reason for a single person household were due to 8 factors pursuing stability, health, social activity, economic, trend, self-centrism and self-development. With this, the single person household was classified into the 4 groups `economic/stability focused group`, `active trend/social group`, `non-economic/passive group`, and `nonsocial/ apathetic group`. By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shion purchase conditions of the 4 groups, it was verified that there is notable difference in all factors except age. Conclusion This study will later be considered to be useful in the usage of detailed consumer marketing activities and basic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life style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