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마륨-코발트 자성 섬유 제조를 위한 환원 거동 연구 및 환원-확산 공정의 최적화

        이지민,김종렬,좌용호,Lee, Jimin,Kim, Jongryoul,Choa, Yong-Ho 한국분말야금학회 2019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6 No.4

        To meet the current demand in the fields of permanent magnets for achieving a high energy density, it is imperative to prepare nano-to-microscale rare-earth-based magnets with well-defined microstructures, controlled homogeneity, and magnetic characteristics via a bottom-up approach. Here, on the basis of a microstructural study and qualitative magnetic measurements, optimized reduction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nanostructured Sm-Co magnets are proposed, and the elucidation of the reduction-diffusion behavior in the binary phase system is clearly manifested. In addition, we have investigated the microstructural,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the Sm-Co magnets prepared under different reduction conditions, that is, $H_2$ gas, calcium, and calcium hydride. This work provides a potential approach to prepare high-quality Sm-Co-based nanofibers, and moreover, it can be extended to the experimental design of other magnetic alloys.

      • KCI등재

        인구 규모별 인구이동 특성과 인구이동률 네트워크 분석

        이지민,Lee, Jimin 한국농촌계획학회 2018 농촌계획 Vol.24 No.3

        In countries and regions pop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Recently the importance of population migration increased as population growth slowed. Researches on population migration are main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population movement factors and the region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network analysis method. Analysis of regional structure through population movement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migration of small cities and rural regions.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 limit of previou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movement rat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pulation were analyzed. Also network analysis using the population movement OD (Origin and Destination) and population movement rate OD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m were compared. As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regional population scale, the population movement by population size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 areas with more than 100 thousand people and less than 100 thousand people. Migration to the outside of the province was the most frequent in regions with 30,000~50,000 people. The population migration rate network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new area with large population inflow capacity was identified, which could not be found in the population movement network analysis because population movement number is small. The population movement rate irate is expected to be used to identify the central regions of the provinc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resident attractivenes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안전한 라이딩을 위한 자전거 보조 시스템

        이지민(Jimin Lee),심보경(Bogyeong Sim),백인성(Inseong Baek),신윤식(Yoon Sik Shin),이해연(Hae-Yeoun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8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8 No.6

        본 논문에서는 자전거의 탑승 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자전거 보조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정보와 인터넷을 통해 근처 날씨 정보를 받아와 사용자가 어떤 환경에서 자전거를 타고 있는지 알려준다. 또한 외부의 밝기에 따라 전조등 및 후미등을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on/off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을 조금이나마 높여주고, 기울기 측정을 통한 도로의 라이딩 적합성을 알려주어 이용자가 좀 더 쾌적하고 안전한 자전거 주행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bicycle assistance system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bicycle. After the system receives ex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it informs the user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bicycle is rid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outside, it does not need to manually operate the headlights and rear lights because it automatically turns on / off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user a little bit. Also, it informs the riding suitability of the road through tilt measurement and hence it helps to ride bicycle safely.

      • 미래 강수량 자료만을 이용한 SWAT모형의 유출 예측

        이지민 ( Jimin Lee ),금동혁 ( Donghyuk Kum ),강현우 ( Hyunwoo Kang ),최중대 ( Joong Dae Choi ),임경재 ( Kyoung Jae L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최근 이상기후 현상에 통해 가뭄 및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가 급증하면서 수자원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의한 미래 기온의 상승과 강수량 패턴변화는 증발산이나 토양수분 등의 변화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물 순환 변화를 초래하며 유출량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폭우와 홍수피해 등 물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 예방하기 위해서, 향후 예상되는 물 부족에 관해 수자원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관리체계 재정립 필요성이 증가됨으로 분석할 만한 미래 유출변화 기초자료가 구축되어야 가능하다. 이러한 유출변화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 중 유역 수문-수질 모의 가능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였다. SWAT모형을 이용하여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상인자 중 강수량에 대해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측 기상자료를 그대로 적용한 시나리오1과 강수량을 제외한 나머지 기상인자는 장기평균으로 적용한 시나리오2 를 비교/분석한 결과 NSE 0.99로 나타났고, 나머지 기상 인자 중 온도 및 습도를 ±2 %, ±4 % 변화 시켜 본 결과 유출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RCP 시나리오 중 강수량 자료만을 활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유출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시나리오1과 시나리오2를 홍천강 유역에 적용한 결과 유량에 대해서 보정 NSE 0.70 R2 0.73, 검정 NSE 0.80 R2 0.82로 똑같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검·보정한 결과로 기후변화정보센터(CCIC)에서 제공 해주는 기후모델인 RCP8.5 시나리오를 편이보정(Bais-correction)한 후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유량을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하여 본 결과 강수량 자료만 가지고도 수문예측을 할 수 있으며, 미래 수자원의 변동성에 대해 전망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강수량 이외의 기상자료가 없는 유역에서도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장기유출량을 산정하는데 큰 문제가 없으리라 판단된다.

      • 농가 고령화를 고려한 지역별 벼농사의 지속가능성 평가

        이지민 ( Jimin Lee ),최원,이정재 ( Jeong-jae Lee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우리나라 경지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1975년 대비 약 30%의 경지가 줄어들었다. 이러한 경지 감소는 도시화, 농가인구 감소 등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고령화로 인한 농업 포기 농가의 증가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벼경작 경영주의 연령자료를 통하여 지역별 벼농사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5년과 2010년 벼 경작기를 비교한 결과 98,341ha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상북도 지역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65세이상 경영자 대비 75세이상 경영자 비율을 통해 지역별 벼농사 지속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2015년 기준 충청 북도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과 비교한 경우 강원도가 경영자 취약성비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분석을 통해 읍면동지역(2010년 3,197, 2015년 3,244개)중 고령화 집중지역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령화에 의한 벼농사 포기 위험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고 차별화된 정책 적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농촌 정주환경과 귀농·귀촌 현황 상관분석

        이지민 ( Jimin Lee ),이정재 ( Jeong-jae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농촌 지역은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농촌을 활성화하기 위해 귀농·귀촌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귀농·귀촌의 가장 큰 걸림돌로 농촌 공간의 정주 환경이 지목되고 있으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 결과, 농산어촌에서 버킷리스트 실현이 쉽지 않은 주요 이유로 열악한 생활환경(29.5%), 열악한 문화여건(17.9%)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농촌 지역의 생활여건 개선을 위해 ‘3·6·5 생활권’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귀농·귀촌 통계를 집계하고, 삶의 질 지표, 농어촌 서비스 기준, 국토모니터링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활 및 정주환경을 진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귀농·귀촌 현황과 농촌의 정주 환경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시군구별 귀농·귀촌 인구수와 국토정책지표를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 정주 환경이 귀촌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정주 환경이 귀농과 귀촌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군구 단위로 분석한 한계를 가지므로, 향후 읍·면·동 혹은 소지역 단위 데이터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 KCI등재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민(Lee, Jimin)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4

        본 연구는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변인의 관계구조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72명의 기혼남성과 286명의 기혼여성이었으며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AMOS 22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는 자아존중감과 부부의사소통, 결혼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아존중감과 부부의사소통은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것으로 나타났다. 3)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부부의사소통, 결혼만족도의 다 집단분석에서 기혼남성과 기혼여성은 구조모형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남성은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기혼여성은 자아존중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볼 때 결혼만족도에 있어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가 중요한 변인이며, 성별에 따라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ouse emotion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men and women, to explor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and to find out gender differences on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Subjects were 272 of married men and 286 of married women.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were conducted with Amos 21.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pouse emotional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had direct impacts on marital satisfaction. 2)Self-esteem and communication did mediate between spouse emotion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3) There was gender differences on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between spouse emotion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m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ouse emotional support,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are important variable for improving marital satisfaction. Also, different approaches are need for married men and married women for their marital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