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연구역 출입문의 차압 측정에 따른 작동패턴 해석

        이재오(Lee, Jae-Ou),최충석(Choi, Chung-Seog)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춘계

        본 연구에서는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차압 및 출입문의 폐쇄력 측정을 통해 제연구역 출입문의 작동패턴을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제연구역 출입문의 폐쇄력 측정시 정확한 측정을 위해 출입문을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서 측정을 하여야 하며, 문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폐쇄력을 고려한 제연설비 설계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 제연설비의 최적 설계를 위한 출입문 개방력 기준에 관한 연구

        이재오(Lee, Jae-Ou),최충석(Choi, Chung-Seog)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추계

        제연구역에 설치된 방화문의 개폐 기준은 현실과 괴리가 있고 상당 부분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성인 남녀가 일어서 있는 조건에서 오른손으로 미는 힘을 측정한 결과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501A)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방력과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대는 평균 103.31N이었고, 30대는 105.27N, 40대는 100.92N, 50대는 97N, 60대는 91.75N 등으로 측정 되었다. 따라서 NFSC 501A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값의 하향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네트워크 배관 해석을 통한 소방시설 배관 최적 설계에 관한 연구

        최호성(Ho-Sung Choi),이재오(Jae-Ou Lee) 대한설비공학회 202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0 No.6

        본 연구에서는 GRS 80 좌표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배관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소방시설 배관 설계에 적용하고자 한다. 플랜트의 경우 소방시설 뿐 아니라 배관계통의 설계는 대부분 네트워크 배관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소방시설의 배관 방식은 루프 시스템, 그리드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설계의 방식으로는 수리계산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노드 포인트로 구성된 네트워크 배관망의 신뢰성 있는 해석을 위해서는 수 계산이 사실상 불가능 하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배관 해석은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배관 전용프로그램인 시사이드(Sishyd)를 이용하여 실제 좌표 및 배관고와 같은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관망을 구성 후 유량 및 압력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설계에 적용된 규약배관 및 수리계산방식과 비교하여 배관경의 축소가 가능하였으며, 배관 내의 유체의 변화를 쉽계 예측할 수 있어 유연성 있는 배관 설계가 가능하였다.

      • 공공주택 화재⋅지진안전 강화 방안 연구

        이승철(Seung-Chul Lee),김학중(Hak-Joong Kim),이성은(Seung-Eun Lee),이재오(Jae-Ou Lee),문정환(Jung-Hwan Moo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5년간 국내 주택 중 공동주택의 비율은 `17년 기준 약 75.6%에서 `21년 기준 약 78.3%로 증가하였고, 전체 화재 건수 중 공동주택 화재 비율은 `17년 약 11%에서 `21년 약12%로 증가하였다. 공동주택이 주택 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화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 확보 관심 향상을 위한 국가의 정책 기조를 반영하여 공동주택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화재 및 지진 안전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공주택의 화재⋅지진 안전 강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추진 전략과제는 지진안전, 화재안전, 첨단소방, 안전문화로 총 4개로 분류하여 수행하였다. 지진안전 분야에 대해서는 현재의 내진설계 방법에 대한 고찰 및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코드화된 내진설계 대신 공학적 내진설계로 건축물 내 소방배관의 신뢰성 및 안전성의 향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화재안전분야에 대해서는 생활공간의 안전강화, 화재안전기준 개선을 목표로 공동주택 내 공간 및 거주자에 따른 소방시설 적용, 공동주택용 피난설비 개발 고도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첨단소방분야에 대해서는 첨단소방 기술개발, 화재안전시스템구축과 기술경쟁력 제고를 목표하였으며, 전기차 화재 소화시스템개발, IoT를 활용한 화재예방기술 구축, 공동주택 화재위험특성의 정량적 분석 및 화재안전인증제도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안전문화분야에 대해서는 소방기술의 지원 강화, 소방기술자 역량 강화 및 안전문화 정착을 목표하였으며, 소방기술 지원사례 및 기술백서 확산, 건설현장 및 공사 중 화재안전 관리강화 방안, 소방 신기술 발굴 및 현장 적용성 확대, 공동주택 화재안전 현장교육 강화, 모바일 및 SNS를 활용한 화재예방 활동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의 지진⋅화재안전 향상에 대한 추진전략 및 기술 로드맵을 제시하여 향후 공동주택의 안전사고 예방 및 피해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응답스펙트럼 방식을 이용한 소방시설 배관의 내진해석

        최호성(Ho-Sung Choi),이재오(Jae-Ou Lee) 대한설비공학회 202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내진 서포트 설계 적용방식을 기존 KBC CODE 및 화재안전기준에 명시된 획일화 된 비구조요소물(배관) 내진설계 방식에서 ASME B31.1, ASME B31.9, ASCE 방식을 적용하여 내진 서포트 설계 연구를 하였다. 설비 및 소방 배관 내진해석 시 배관의 하중에 등가 정하중만 고려된 1차원적인 설계 방식이 적용되어 내진 서포트가 과 설계되고 있다. 설비 배관의 내진해석을 위해서는 배관의 하중뿐만 아니라 유체의 종류, 상태(압력, 온도) 등이 고려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배관은 압력 및 온도, 하중등 여러 조건에서 Seismic Load 따라 모멘트 값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안전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Standard 방식과 ASME B31.1, ASME B31.9 Code 해석 결과 값을 비교결과 내진서포트 수량을 최대 55%까지 줄일수 있어 VE 절감효과를 극대화 할수 있다.

      • 내화충전시스템의 현장 적용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문정환(Jung Hwan Moon),이재오(Jae Ou Lee),이승철(Seung Chul Lee),손봉세(Bong Sei Son),김용성(Yong Sung Kim) 대한설비공학회 2020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0 No.6

        In this study, the field application and improvement method of firestop system were investigated. There are currently no standard specification related to through-penetration firestop system in Korea. Basically, the quality of firestop system can be different with construction site because the supplier has its own test certifi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 certificated test methods with insulation material, pipe diameter as well as standard specifications When the fire stop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enetrations of ducts are used in fire partitions, it is not legally required the additional firestop system. This means that the fire damper only can be installed instead of firestop system. However, if it is difficult to secure fire safety with only a fire damper, an automatic fire detector can be installed to prevent from fire and smoke. In addition, the fire partition areas can be installed in the sprinkler system with a quick response type head in order to secure the earlier fire safety.

      •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경화시간에 따른 연소특성

        이정훈(Jung-Hun Lee),문선여(Sun-Yeo Mun),이재오(Jae-Ou Lee),박충화(Chung-Hwa Park),황철홍(Cheol-Hong Hw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경질 폴리우레탄 폼은 경제적이면서 단열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뿐만 아니라, 스프레이 형태로 시공되는 건축물 내부 단열재로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 건축자재에 비해 화재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고 다량의 열, 연기 및 독성물질을 방출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대량 인명손실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폼의 화재위험성은 착화성, 최대 열방출률, 화재성장률, 화염확산속도, 독성물질의 방출량 등 다양한 인자에 대하여 평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실규모 화재실험을 통해 폴리우레탄 폼이 포함된 샌드위치 패널의 실규모 실험이 수행되고 있으며, 난연성능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모든 연구 및 개발은 완전히 경화된 상태의 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건축 공사 현장의 스프레이 발포 공정에서 발생되는 화재 거동의 이해, 화재원인 분석 및 재구성을 위하여 기존 연구결과의 활용은 명확한 한계를 갖을 수 있다. 특히 최근 물류 및 냉동창고의 공사 단계에서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SPF)의 시공으로 인한 다량의 가연성 기체의 발생과 빠른 화재확산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SPF의 경화시간에 따른 연소특성의 검토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건축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휴대용 2액형 우레탄 폼 분사기(Two component urethane sprayer)가 사용되었으며, 주재와 경화재의 체적비가 동일한 조건에서 SPF가 생성되었다. SPF의 연소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SO 5660-1에 근거한 콘 칼로리미터가 적용되었으며, 시편 홀더에 SPF를 생성시킨 후에 경화시간에 따른 연소특성이 검토되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열유속의 환경에서 SPF의 경화시간에 따른 점화시간, 질량감소율, 열방출률, 연소열, CO 및 Soot yields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SPF의 경화시간에 따른 연소특성의 변화는 건축현장의 SPF 시공단계에서 발생되는 점화 및 화재확산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경화시간의 변화에 따른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화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정훈(Jung-Hun Lee),문선여(Sun-Yeo Mun),이재오(Jae-Ou Lee),황철홍(Cheol-Hong Hw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Spray Polyurethane Foam, 넬)은 단열성능, 경제성 및 시공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물류창고를 포함한 건축물 내부 단열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재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고 다량의 열, 연기 및 독성물질을 방출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대량 인명손실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의 연소 및 화재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완전히 경화된 상태의 폼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시공 단계에서 SFP의 경화시간에 따른 화재특성의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화시간에 따른 SFP의 화재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3가지 유형의 화재특성이 검토되었다. 첫째, 열중량분석(TGA)를 이용하여 SFP의 생성과정에서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 비율에 따른 열분해(Pyrolysis) 개시온도 및 반응개시를 위한 활성화에너지(Activation energy)가 검토되었다. 두 번째, SFP의 두께를 변화시키면서 경화시간에 따른 휘발성유기물(VOC)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콘칼로리미터를 활용하여 경화시간에 따른 점화시간, 표면 점화온도, 열방출율, 연소열, CO 및 Soot yields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건설시공단계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대상으로 SFP의 경화시간에 따른 화재위험성의 정성적 평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SPF의 점화 및 화재확산을 포함한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화재시뮬레이션 입력인자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