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적 정신치료의 개념적 명료화를 위한 물리주의적 시도

        이재숭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4 No.-

        21세기 한국철학계의 새로운 화두는 인문치료, 더 구체적으로는 철학치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인문치료의 전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개념들과 이론들이 명료화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인문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을 불식시키고 학문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필자는 그 개념적 명료화의 한 가능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제기하는 문제는 먼저 인문치료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이 가치의존적인 것이기 때문에 흄과 무어가 제기하는 사실/가치 간극의 문제에 연루되어 ‘열린질문논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문치료의 진단 및 그 치료의 과정과 결과에 있어 인식론적 불투명성을 물리주의적인 인식론적 관점으로 객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본 논문에서 현대심리철학의 개념적 수반을 통해 인문치료의 개념들을 명료화하고, 그 치료의 과정과 결과가 인식론적으로 투명하게 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통해 필자는 치료 대상자의 심적 상태의 속성들과 이 경우 존재하는 토대 속성들(물리적 속성들)이 자연스럽게 드러날 것이라 주장한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ew topic of Korean philosophy in the 21st century is humanities therapy, more specifically philosophical therapy. However, criticism that the concepts and theories that make up humanities therapy are not clear can be raised. Therefore, I think that the conceptual clarification is necessary to establish this therapy academically against the this negative criticism. The problem, I have argued, is that because the concepts used in humanities therapy are value-dependent, they are not free from the Open Question Argument implicated in the matter of fact-value gap elaborated by G. E. Mo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bjectify the epistemological uncertainty as a physicalistic epistemological perspectiv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ss of humanities treatment. To this end, I try to clarify the concept of humanities therapy through conceptual supervenience of mental causation, and to make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therapy cognitively transparent.

      • KCI등재

        중국의 공학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이재숭 대한중국학회 2023 중국학 Vol.84 No.-

        Modern engineering technology has a very important impact on human life and future, societ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he issue of engineering ethic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prominent, and the importance of engineering ethics is being highlighted due to the social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for engineers will play a very key role in helping them to recognize and understand social and ethical issues related to engineering, and to clarify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ir future engineering practices and ethical issues in engineering professions. In this paper, I examine the approach to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n China, which currently produces the most engineers in the world. To this end, I first examine the trends of global engineering ethics in many advanced countries, and then analyz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tents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n China. Then, I argue that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e integration of Marxist ideology and political courses, and engineering ethics course are the main features of Chinese engineering ethics. Finally, while differences and diversity must be respected, I will end the discussion by arguing the need for reform in a way that China's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can meet the global standards of engineering ethic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왜 윤리인가?

        이재숭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w foretelling fundamental changes in human life, and is emerging as an urgent human task on the ethical issues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technologies will bring about. Therefore, the content and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and prepare for potential ethical problem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aper, as a method of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technology (Chapter 2) and diagnose ethical issues that may threaten humanity (Chapter 3). In conclusion, if we do not diagnose and prepare for the ethical problems that can be caused by the dysfunction and side effec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ity can face the ‘ontological risk’ of human existence, as Nick Bostrom warned. 4차 산업혁명은 이제 인간 삶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초래될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검토는 시급한 인류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의 연구내용과 목적은 4차 산업혁명의 잠재적인 윤리적 문제들을 진단하고 그에 대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연구의 방법으로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이 기존의 기술혁명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고(2장), 이 기술들로 인해 인류에게 위협이 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윤리적 문제들을 진단(3장)할 것이다. 그리고 결론부에서 4차 산업혁명의 역기능과 부작용이 야기할 수 있은 윤리적 문제들을 미리 예상하고 대비하지 못한다면 인류는 닉 보스트롬이 경고한 인간 실존의 ‘존재론적 위험’에 직면할 수 있음을 보이고, 그 세부적인 방안에 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함을 주장하며 논의를 마무리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인공지능(AI) 윤리 정책에 관한 연구

        이재숭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80 No.-

        As part of its goal of becoming a world leader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by 2030, the State Council of China has announced the “Next Gener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Plan”.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China’s current position in relation to AI technology and to attempt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AI governance and ethical principle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where China is currently located in the field of AI in order to realize China’s ambition of ‘The Rise of AI(AI 崛起)’. I argue that although China has reached a significant technological level through national-level efforts in AI research and development,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In Chapter 3, I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AI-related ethical principles and norms proposed by the Chinese government, business, and academia for AI. To this end, I reveal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AI ethical principles by comparing the EU’s AI ethical principles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I claim that while the Chinese government is aware of the potential benefits of AI and the risks and challenges of AI, in the interplay of these factors, the Chinese government supports AI ethics principles for the benefit of the government and public security. Naturally, in Chapter 4, I define the concerns and side effects that are currently observed by the use of AI for the benefit of the Chinese government as ‘technical use of AI for the surveillance state,’ and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I argue with the conclusion that China’s AI governance can only achieve its universality as a true AI leader country that China wants, only if it moves in a direction that can earn global trust and build desirable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 철학에서 삶의 형식의 의미

        이재숭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7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forms of life’ which plays a major role in Wittgenstein's later work,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nd On Certainty. However, because this ‘forms of life’ has not detailedly been explained by Wittgenstein himself, the interpretations of it are controversial among many Wittgensteinian. Among these interpretations, especially, I focus on the vertical or biological interpretation and the horizontal or ethnological interpretation. The former is a position to interpret the form of life focused on the part of natural facts, and the latter is a position to interpret by focusing on cultural aspects of the human. Form(s) of life as a natural history is provided to all human beings inherently, and that of the cultural life is consistent to human being by being ·aspects of the form of life, it is impossible to communicate through language. Also, if we accept only the form of life as natural history, a description of the variety of our human cultural and linguistic aspects will become impossible. With regard to this interpretation, I argue that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orm of life is possible, when we eclectically accept the two positions. Because this ‘forms of life’ is the basis of our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presupposition of language-game in Wittgenstein’s later philosophy. If we exclude the one between these two interpretations, the right explanation of this concept is impossible. 비트겐슈타인 철학에서 ‘삶의 형식’(form of life)은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언어가 작동하기 위한 전제(presupposition)이자 토대(foundation)이다. ‘언어게임’은 ‘삶의 형식(form of life)’을 토대로 해서 가능해지며, 또한 그 자체가 이미 실천적인 맥락에서 삶의 형식의 한 부분이다. 최근까지 여러 철학자들에 의해 비트겐슈타인의 ‘삶의 형식’ 개념의 의미와 역할에 관해서 다양한 견해가 주장되어 왔다. 이러한 해석들은 삶의 형식을 ‘자연적 사실들’이라는 부분에 초점을 두고서 해석하고자 하는 입장(수직적 혹은 생물학적 의미(vertical or biological sense))과, 특정한 개별언어들의 해석을 위한 준거틀로서 작동하는 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두는 입장(수평적 혹은 인종적 의미(horizontal or ethnological sense) 두 가지로 집중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 두 가지 삶의 형식에 대한 절충적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연사로서의 삶의 형식은 모든 인간에게 본래적으로 구비되며, 문화적 삶의 형식은 학습이나 훈련에 의해 습득됨으로써 일치한다. 즉 인간은 인간종(種)으로서 동일한 삶의 형식을 본래적으로 가지고 태어난다. 그러나 삶의 문화적 형식은 학습이나 훈련에 의해서 습득되는 것이다. 그런데 문화적 삶의 형식만을 옹호하게 되면 언어의 의사소통 가능성은 막혀 버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자연사로서의 삶의 형식만을 우리가 인정하게 된다면 우리 인간들의 다양한 문화적․언어적 양상들에 관한 설명은 불가능해질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에 대한 정당한 이해를 위해서는 삶의 형식을 한 단면에서 볼 것이 아니라, 양면성을 지니고 있는 개념으로서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 KCI등재

        AMA의 도덕적 지위의 문제

        이재숭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2 No.4

        Until now, the discussion of morality has been limited mainly to humans, animals and ecosystems.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artifacts with autonom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ome philosophers now argue that the discussion of moral status should be extended to artificial agents. The more complex and more realistic the application of autonomous artificial systems capable of self-judgement and dicision-making, the more complex moral decisions will become In this paper, I expose the concept of agency and moral agency to discuss issues related to the moral status of the artificial agents, and examine the criteria by which an entity can be recognized as a moral agent. And I will argue that ‘Artificial moral agents’ can meet some of these criteria, and thus can be some level of moral agents. To this end, I review the arguments of Floridi, Sanders, Moor, and Bostrom and Yudkowski, which argue the standards and possibilities of the moral status of the artificial agents. And I will finally confirm the level of moral status possible foe AMA in Torrance’s srgument to extend the moral circle to artificial agents through the possibility of Machine Ethics. 지금까지 도덕에 관한 논의는 주로 인간과 동물 그리고 생태계에 한정되었다. 하지만 인공지능에 기반하고 있는 자율성을 가진 인공체들의 등장으로 인해 도덕적 지위에 대한 논의에 인공적 행위자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능력이 있는 ‘자율적인 인공시스템들’의 응용이 더 복잡해지고 더 현실적이 될수록 이와 관련한 도덕적 결정의 문제들도 더 복잡해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인공적 행위자들의 도덕적 지위와 관련된 문제들의 논의를 위해 먼저 ‘행위성’과 ‘도덕적 행위성’의 개념을 드러내고, 어떤 존재가 도덕적 행위주체로 인정될 수 있는 기준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인공적인 도덕행위자들(AMA)’이 이러한 기준들과 관련해서 어떤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어느 수준의 도덕적 행위주체로 인정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인공적 행위자들의 도덕적 지위의 기준들과 가능성을 논증하는 플로리디와 샌더스, 무어, 그리고 보스트롬과 유드코프스키의 논변들을 검토하고, 기계윤리의 가능성을 통해 도덕적 원을 인공적 행위주체들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토런스의 논증에서 AMA에게 가능할 수 있는 도덕적 지위의 수준을 확인할 것이다.

      • KCI등재

        개인동일성: 심리적 연속성 대 신체적 연속성

        이재숭 새한철학회 2023 哲學論叢 Vol.114 No.4

        개인동일성은 우리가 사람으로서 시간을 가로질러 지속하는 조건에 관한 형이상학의 오랜 논제이다. 개인동일성에 대한 지속 조건들의 문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개인동일성 문제’, 혹은 ‘지속성 질문(the Persistence question)’이라 불린다. 지속성 질문에 답하기 위한 몇 가지 시도들이 있다. 개인동일성과 관련한 지속성 질문에 대한 가장 인기 있는 답변은 심리적 연속성 견해(psychological-continuity views)이다. 이 견해는 심리주의로 알려져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개인의 지속은 어떤 심리적 속성들로 구성된다. 또 다른 영향력 있는 답변은 동물적-신체적 견해(brute-physical views)이다. 인간 존재를 생물학적 유기체로 보고 동물적-신체적 조건들이 인간의 지속 조건이라고 보는 이러한 입장은 우리에게 ‘애니멀리즘(animalism)’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심리적 연속성과 연결성이 우리의 지속 조건이라고 보는 심리주의와 동물적-신체적 연속성을 지속의 우선순위에 두는 애니멀리즘 혹은 생체주의의 논증들의 핵심 쟁점들을 검토하고, ‘무-사실 논제’를 통해 사실 지속성의 조건에 문제가 되는 사실이 없음을 보일 것이다. Personal identity is an old thesis in metaphysics about the conditions under which we, as persons, persist through time. The problem of persistence conditions for personal identity is called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over time’ or ‘the persistence question’. There are several attempts to answer the persistence question. The most popular answer to the continuity question regarding personal identity has been the psychological-continuity view. This view is known as psychologicalism. According to this view, the persistence of a person consists of certain psychological(mental) properties. Another influential answer to the persistence question is the brute-physical view. This position, which understands human beings as biological organisms and asserts that animal-physical conditions are the conditions of human existence, is known to us as ‘animalism.’ This paper examines the core issues of the arguments of psychologicalism, which views psychological continuity and psychological connectivity as conditions for the persistence of a person, and animalism or biologicalism, which places brute-physical continuity as a priority for persistence, I will then show that there is, in fact, no problem with the persistence condition for personal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