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익사업에 있어서 사인의 수용권에 관한 연구

        이재삼(Lee, Jae Sam)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3 No.1

        최근 공익사업에 대한 투자유치 필요성에 의하여 민간사업자에게도 광범위하게 수용권을 인정해가는 추세이다. 따라서 공익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사업에만 국민의 재산권을 침해할 수 있는 공익사업으로 규정하여 수용권이 남발되지 않도록 특히 사인에 대한 수용권을 제도화해야 할 것이다. 사업인정에 의하여 사인의 수용권은 개인의 재산권을 수용할 수 있는 강제적으로 취득을 부여받는 행정행위이므로, 사업인정 단계에서 사업의 완료시까지 사업인정기관은 물론 관련자 및 일반 주민에 이르기까지 공익성을 중요시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업시행자는 공익사업의 준비과정에서 타인이 점유하는 토지에 출입하여 측량 또는 조사를 하거나 장해물의 제거 또는 토지의 시굴을 하여야 할 경우, 또는 보상과정에 서 현실적으로 지역주민과의 갈등으로 사업추진에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업시행자와 지역주민간의 갈등을 중재할 자치단체의 역할이 필요하다. 또한, 사업시행자는 공익사업의 개요, 토지조서 및 물건조서의 내용, 보상의 시기·방법·절차 등을 기재한 보상계획을 신문에 공고하고 토지소유자 등에게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가 사업초기부터 사업내용을 파악하고, 보상업무에 적극 참여하며, 기타 관련 정보를 주민들에게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토지보상과 관련하여 이원화되어 있는 각종 공익사업용지취득과 손실보상에 관한 제도를 하나의 규정으로 통합하여 이에 관한 절차와 기준을 체계화하고, 중복과 불일치를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보상자의 권익보호와 원활한 공익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보상의 시행에 있어서는 보상의 전문성과 효율성이 필요하다. 즉 적극적으로 피보상자의 의견수렴 및 권익보호를 위하여 의견진술 기회를 부여와 피보상자의 권리구제를 한층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보상에 대한 전문성과 효율성을 가진 보상전문기관에 보상업무를 위탁 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업무추진과 보상대상자의 권익을 적정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보상실무분야에서의 국가보상예산의 절감과 보상업무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The recent trend is to allow a private business to extensively grant the right of expropriation for the public works in order to induce an investment. It is therefore imperative to institutionalize the private person's right of expropriation by limiting it to only the essential type of public works violating the citizen's property rights, so that it may not be abused. Since such private person's right of expropriation can be an act of administration enabling the acquisition of property, all parties involved including the citizens, not to mention the competent authorities governing such public works, should give priority to the public goo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that is, from start to finish. And those carrying out the public works often experience difficulty causing disagreement with the local residents either during the preparatory work or the compensation process, as they seek to secure access to the land owned by an unrelated person for surveying or investigation or removing obstacles or prospecting. For this reason the role of a self-governing body should be established settling the disputes between the local residents and those carrying out the public works. Also the undertaker of such public works is required to give a public notice in the paper, providing an outline of the project, details of the land/property to be expropriated, timing and procedures for compensation, along with a separate notification to be made to the individual land owners. It is therefore desirable that the competent self-governing body should actively provide the administrative service; to do this, the self-governing body should have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of the project from its early stage, actively take part in the compensation process, and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the information relevant to the project. In addition, the current dual system of the land acquisition and compensation for the public works should be united into a single system, systematizing the procedures and the standards while eliminating overlapping and inconsistency. In other words it needs to be ensured that rights of those compensated are protected and that public works are successfully completed. And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should be given priority in the dealings of compensa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ose to be compensated be given an opportunity to state their views, along with a reinforced legal remedy, ensuring the collection of their opinions and the protection of their rights. To ensure such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e compensation task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entrusted to the specialist compensation organ, so that compensation can be properly made while protecting the rights of those who are to be compensated. This, in turn, will enable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compensation task, leading to the curtailment of the compensation budget.

      •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을 위한 자연친화적 보육 프로그램의 효과

        이재삼(Lee Jae Sam),김영주(Kim Young Jo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0 No.3

          The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 of Emotional Quotient(Hereafter referred to as "E.Q.") when applying a Nature-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covers four-year old children who attend nursery. Two nurseries in big city(Seoul) and another two nurseries in small cities(Kimpo & Gunpo) were chosen as sample groups. Pre-examination was applied for homogeneity of 4 sample groups, and followed by 12 programs of 5 subjects in 15 weeks within sample groups. After programs had ended, after-examination was applied.<BR>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BR>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E.Q.<BR>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4 fields such as Emotional Perception and Expression, Use of Emotions,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Management in small or medium sized cities,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3 fields such as Emotional Perception and Expression,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al Management were found in a big city.<BR>  Thirdly, regarding residential are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small or medium sized and big cities alike.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교육에 있어서 자연친화적인 보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4세의 유아들로 대도시(서울)의 어린이집 2곳과 중소도시(김포시, 군포시)의 어린이집 2곳을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고 4집단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15주에 걸쳐 5개 주제의 12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친화적 보육프로그램 실시 후 유아의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인 자기인식 표현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 대인관계 능력은 거주환경에 관계없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현행 공중위생법상 법적 문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삼(Lee Jae-Sam),정회근(Jeong, Hoe-Ke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3 土地公法硏究 Vol.63 No.-

        현행 공중위생관리법상 제기되는 문제점으로는 공중위생의 범위와 한계의 모호, 이미용 영업의 자유에 대한 제한, 공중위생관리법상 이미용사의 비전문성, 이미용 영업에 대한 규제의 엄격성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중위생관리법상 제기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첫째, 구체적인 공중위생권이 규정되어야 한다. 즉 국민의 생명ㆍ신체의 안전이 질병 등으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공중위생권이 헌법상 확보되어야 할 것이며 , 이러한 공중위생권으로부터 실체법적인 공중위생법의 규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중위생 영업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즉 공중위생에 관련된 영업의 자유가 보장되기 위해서는 공중위생에 관련된 영업을 하는 경우 행정기관의 필요이상의 제한이나 규제가 있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특히 이미용영업의 위생검사를 하는 경우 비례원칙, 과잉금지의 원칙, 최소침해의 원칙, 보충성의 원칙 등이 적용됨으로써 이미용 영업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이미용사 규정의 전문화가 필요하다. 이미용사의 자격취득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가져야만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직업이다. 즉 이미용사의 자격취득은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가져야만 직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중위생법에 이미용사제도를 포함시키기 보다는 별도의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본래 공중위생 영업에 대하여는 신고사항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미용 영업의 신고나 변경위반에 대하여 징역이나 벌금에 처하도록 되어 있어서 공중위생영업에 대한 규제가 지나치게 엄격하지 않나 한다. 이와 같이 공중위생업의 경미한 위반행위에 대하여 병행처벌하고 벌칙을 부과하는 등 영업자들에게 불편을 주는 사항에 대하여는, 현실적으로 이미용업소 및 시설의 공중위생 위반에 대하여 해당 업소 및 시설의 사용중지, 철거 또는 폐쇄 명령, 그리고 행정지도 등 행정처분을 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공중위생관리법상 공중위생권의 확보, 공중위생영업의 자유 보장, 이미용사 제도의 전문화, 이미용 영업에 대한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An increasing problems of current public health law pay attention to an equivocal realm and limitation of public health, restriction on hairdressing business, and unlicensed hairdressers. In order to improve against the mentioned issues of current public health law, it is required suggestions as below. First, the articulated public health law should be regulated along with substantial regulation. These regulations need to be established by the constitutional law to protect nation's safety and security. Second, the freedom of business should be guaranteed. To do this, authorities' invention should not be excessive by regulations or restrictions for public health related business industries. Especially, when hairdressing sanitary inspection is conducting, the freedom of hairdressing business has to be promised by applying proportional, less invade, subsidiary principles. Third, professional education for hairdressing specialization is essential.. Acquisition of hairdressing license requires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 Thus, special regulation on hairdressing specialization is desirable rather than covering the acquisition of professional license by the public health law. Fourth, under current public health law, hairdressing business owners ought to report their business items. However, this regulation seems sometimes immoderate demands to be sentenced for imprisonment or penalty for violating the rules of report of business and for sanitary inspection as well. On this wise, it would be desirable to replace of suspension of use, removal or order to end its operation, and give an administrative guidance instead giving an excessive penalty to business people for minor offenses. To sum up, we have to strengthen the public sanitation security, the freedom of public sanitary work place, the hairdresser professionalization, and hairdressing business of public health law.

      • KCI등재
      • KCI등재

        정책담당비서에 관한 연구-일본 국회의원의 정책담당비서를 중심으로-

        이재삼(Lee Jae Sam) 한국토지공법학회 2003 土地公法硏究 Vol.20 No.-

        The function of a congressman’s secretary taking charge of policy is designed to enhance the policy-making ability of a congressman by assisting a congressman in the course of policy making and the legislative activities, reinforcing a congressman's policy-making capacity, and helping a congressman in performing duties as a congressman. To improve and reinforce the secretarial function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nhance the legal system by defining and establishing secretarial duties and responsibilities in a concrete manner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the mind reformation among the congressmen and their secretaries. Second, secretaries should be capable of making a policy. Third, a secretarial system needs to be firmly established and activated to perform properly. Thus, to enhance the secretary’s ability in making policy and to establish a secretarial position as a recognizable professional career, it is important to focus on understanding of secretarial profession and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These may include the adoption of the position of a secretary as an integral part of an office, independent budgeting, and continuous efforts to educate and train a highly qualified professional secretaries.

      • KCI등재

        공무원 퇴출제의 법적 문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삼(Lee Jae-Sam) 한국토지공법학회 2008 土地公法硏究 Vol.40 No.-

          The job security of a public employee is guaranteed in essence. The purpose for such a job security system is to encourage the public employees to work faithfully fulfilling their inherent duties despite of any possible political pressures. However, the present job security system brought out its structural limitations in that one can safely stay within the organization without being dismissed no matter how he or she is incompetent or negligent unless they make a serious mistake such as being suspected of corruption.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conveying the will and ideas of a superior officer to subordinate officials, together with their assigned duties that require no creative activities, led the entire officialdom to work from sheer force of habit, causing a serious structural defect of producing a system towards higher cost and lower level of efficiency.<B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applied specifically to the public employees, the early retirement system was invented in each local government as a means of remedying the structural defect found in the prevailing public employee"s job security system. The purpose of such an early retirement system is to instill a feeling of tension into the officialdom stimulating their job vitality, so that they may be properly motivated in order to actively adapt to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system is designed to give any public employee destroying the healthy work environment by negligence and poor job performanc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to drive them into the spirit of exertion. And it might well be interpreted that such a reform is to create a democratic work environment in the officialdom providing a better public service to the people through the renovation of the bureaucracies. Also it signifies the renovation of self-governing administration based on competence and the job performance, breaking from the geniality which led to the public employee"s unreasonable job security and the seniority system in dealing with personnel affairs.<BR>  However, this system of early retirement has posed various problems while it is being enforced. Various procedural problems are being derived from the procedure for selecting, managing and dismissing the candidates from office.<BR>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candidates includes mostly the abstract and subjective matters such as those who substantially injure the harmony of the organization and those who disgraced the dignity of a public employee and the like.<BR>  An enterprise may be able to evaluate the results of its manpower by the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such an objective standard for a public employee providing a public service. In other words, an arbitrary decision can easily be made by those in authority who have the right of personnel management, opening the way for an abuse of authority or for absurdities and evil customs.<BR>  It is noteworthy that most of the government employees subject to early retirement have been those of a lower rank. Any early retirement excluding a high-ranking government employee may substantially reduce the desired effects of the public employee"s early retirement system. The current practice is that either the director or chief of the departments in a local government recommends those 4 tor 6th grade officers who will work with them and dismiss those who are excluded from such a recommendation, thus regarded as incompetent. Such a dismissal process is likely to cause a sense of incongruity in a hierarchy of officialdom.<BR>  The early retirement system, when executed, can reduce the morale of the public employees. It will create the unrest and instability of job security, and reduce the will to work, leading to human relations without harmony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he extent of malpractic

      • KCI등재

        토지법제의 체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

        이재삼(Lee Jae-Sam) 한국토지공법학회 2008 土地公法硏究 Vol.39 No.-

          The land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to improve it to the level satisfying its increasing demand and desire.<BR>  Land laws must conform to the concept of land ownership and progresses to drastically ease the restrictions which are being applied in a uniform manner. In other words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macroscopic land development and its use so that such development or use of land may lead to the creation of a liv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s and a industrial base, that are closely linked to the community in question.<BR>  The land system should not be regulated indiscriminately on the basis of the uniform standards. Dramatic improvements in the land system need to be made so that it may flexibly conform to the definite features of a particular piece of land. Each law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peculiarities, and for this reason it is wis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iece of land to devise an appropriate system for that particular piece of land.<BR>  The current land laws should make a gradual advance towards the systematization. For such systematization the land regulation of various types needs to be linked to one another. Particularly such measures as easing of land ownership as in easing of farmland ownership, centralization of the land licensing system, systematization of the land system"s restrictions, and relaxation of the licensing system of the land dealings, need to be implemented.<BR>  Various laws regulating the land ownership, its development and use should be unified into a single law. Particularly diversified land laws need to be unified and systematized. To achieve such unification of the land laws, the licensing and restriction system of land must be centralized so that any licensing or restrictions may be granted or applied based on a single, unified law.<BR>  Also such laws regulating the land need to be improved so that they may be applied and implemented democratically. For this, a definite base should be provided in a law so that the provisions of such a law may not be subject to an arbitrary interpretation by an administrative office. Also decisions based on such a law should allow the resident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encourage the private han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use of land and its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it should encourage a measure designed to actively compensate for the loss incurred as a result of the administrative restriction of land.

      • KCI등재

        우리나라 토지이용과 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삼(Lee, Jae-Sam)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0 No.-

        우선, 국토의 계획은 국토기본법에 따라 국토의 전역을 대상으로 하여 국토의 기본적이고 장기적인 발전방향에 따라 종합적인 계획을 세우고 지역과 부문별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시계획을 용도별로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국토종합계획은 국토의 현황 및 여건변화, 공간구조의 정비 및 지역별 기능분담방향, 국가경쟁력 제고 및 국민생활의 삶의 질 개선, 국토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 지속가능한 국토발전을 위한 국토환경의 보전 및 개선 등 장기적인 정책방향을 포함해야 한다.그리고 토지의 이용체계는 “계획이 없으면 개발이 없다”는 이른바 “선계획-후개발” 체제를 확립하여 국토계획 입안시부터 국토의 이용과 개발에 이르기까지 국토의 정합성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국토를 가장 효율적이며 합리적으로 이용 관리하기 위해서는 국토이용관리체계를 일관성 있게 구축하여야 하며,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토지이용의 안정성․형평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토지의 이용에 필요한 규제 또한 필요하다. 토지이용규제가 가지는 궁극적인 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규제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토지이용의 편의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즉 토지이용의 규 제가 단순화ㆍ명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향후 국토의 개발은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지하기 위해서 모든 법령과 정책은 국토의 균형발전, 경쟁력있는 국토여건의 조성, 환경을 고려하는 환경친화적인 방향으로 선계획의 우위로 이에 바탕을 둔 후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또한 토지의 강한 공공성과 사회성으로 말미암아 개인의 재산권보장을 근간으로 하는 토지재산권의 행사와 이용 및 개발에 있어서, 공익의 중대한 침해가 가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토지의 계획․이용․개발에 있어서 토지소유자 및 지역주민에 대하여 끊임없는 피해가 발생하면서 효율적인 국토관리에도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토지의 공적규제로 인하여 재산권을 침해받는 소유자에 대한 적극적 배려는 국민의 재산권 보장과 국토의경쟁력 제고를 위해 중요한 것으로서, 입법자는 토지규제의 완화, 수용신청권의 부여, 매수청구권이나, 금전적 보상 등 다양한 구제와 보상가능성을 제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of all, according to Basic Land Law, it is desirable that land plan should start with comprehensive outline about overall land based upon basic and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followed by regional and sectorial plan. Also, it is desirable to set up city plan by purpose according to land plan and use law. Specifically, comprehensive land plan should include long-term policy direction such as land status, environment change, realignment of space structure and regional function direction, enhanced national competitiveness, improved nation's life, effective use and control of land resources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for land development. Also,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No plan, No development’. Therefore, 'First plan- Second development' mechanism should be established in terms of land use. Thus, from land plan to development, legitimity of land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land use, consistent land control measures should be set up and efficient land use should be enhanced and land use should be controled in order to give stability and justice in land use. In order to achieve ultimate goal of land use regulation effectively, transparent land regulation and convenient land use by the public are prerequisit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implify and clarify land use regul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ective land use, land development should focus on ‘First plan and second development’ mechanism. It is also important to pursue the development, considering eco-friendly, equal development and competitive land environment. Due to strong publicity and sociality of land, in terms of exercising ownership, use and development of land based upon personal ownership guarantee, the public interest is greatly violated. In terms of plan, use and development of land, damages toward land owner and local residents continue, causing obstacles to effective land control. Thus, proactive care toward land owners whose ownership has been violated due to public regulation, is crucial for ownership guarantee and enhanced land competitiveness. Thus, legislators should institutionalize various remedies and rewards through deregulation of land, giving acceptance application, right to request purchase and financial reward.

      • KCI등재후보

        미국 에너지 효율 규제의 문제점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

        이재삼(Lee, Jae-Sam)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3 법률실무연구 Vol.1 No.1

        오늘날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에너지 급증과 그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급증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는 바,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써 다음과 같은 조치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에너지 효율화를 기해야 한다. 에너지 효율의 향상과 연료의 교체 등을 통하여 모든 에너지 소비 부문을 개선하여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에너지 다소비 제품과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저감장치로 에너지 소비를 줄여야 한다. 즉 에너지 저감 장치 내지 시설의 확대는 저 탄소 배출의 이행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둘째, 에너지 효율 정책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필요하다.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가전제품, 전기시설, IT 등에 대한 에너지 절감 기술의 개발이 확대되어야 하고 에너지 효율 인증 기준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아울러 신재생 에너지 개발의 확대가 중요하다. 셋째, 에너지 시장의 활성화이다. 에너지 효율을 위해서는 에너지 절약을 비롯한 수요관리시장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즉 에너지 소비자, 사업자 및 정부의 깊은 인식과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넷째, 에너지 정보의 활용이 확대되어야 한다. 에너지 사용 정보 제공 및 에너지 소비 데이터 활용 촉진이 필요하다. 정부와 기업 등은 모든 에너지 소비자들에게 단일의 버튼 클릭으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에너지사용 데이터를 일상생활에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에너지 라벨링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에너지 라벨링에 대한 소비자의 올바른 인식과 제도의 공신력이 제고되어야 한다. 에너지 라벨링은 국제적으로나 국가적으로 그리고 각종 기관, 단체, 기업들이 에너지절약을 목적으로 하므로 통일성과 엄격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여섯째, 에너지 정책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에너지 저감정책의 대표적인 제도로써 에너지 효율 인증 제도의 강화시킴으로써, 정부와 업계,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제고시킨다. 일곱째, 에너지 저감 정책으로서 기술 혁신데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심각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는 국가의 각종 규제완화, 세금감면, 자발적 프로그램, 보조금 및 정보 캠페인 등 지원이 필요하다. 이상은 미국의 에너지 효율 규제에 관하여 법적?제도적 관념과 그의 문제점 그리고 현안 정책 등을 고찰하였는 바, 현재 각국의 심각한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에너지 저감 방안이 절대 요구되며, 또한 신생 에너지의 개발이 절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결국 현재의 심각한 지구의 에너지 해소와 온난화 방지에도 기여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결국, 오늘날의 지구상의 심각한 에너지 위기를 인식하고 절대 에너지를 저감하여 지속적인 에너지 환경을 유지해야 할 것이며, 특히 지구의 환경오염 방지에 노력하므로써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는 환경에서 생활해야 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사안들이 적극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법적?제도적?정책적인 조치와 국민 모두의 협력 또한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상 배출권거래제도의 구체화 방안

        이재삼(Lee Jae-Sam) 韓國土地公法學會 2010 土地公法硏究 Vol.49 No.-

        우리나라는 미래 비젼 및 차세대 성장동력의 일환으로 녹색성장을 선정하고, 이에 초점을 맞춰 각종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방향의 일환으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을 제정하였다. 따라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6조에서는 배출권거래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은 향후 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에 관한 근거 이외에 구체적으로 배출권을 어떻게 운영하고, 어떠한 형태로 거래체계를 구축할 것인가 등에 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사항을 다른 법률로 정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실제적인 배출권거래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법적?제도적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은 향후 배출권거래제의 도입에 관한 근거 이외에 구체적으로 배출권거래의 목적, 관리, 범위, 총량관리제도, 배출권거래절차, 배출거래소 운영 등에 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사항을 법률로 규정함으로써 향후 배출권거래제도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배출권 거래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과 함께 국내 탄소시장을 활성화하여 급성장하는 국제 탄소시장에 적극 대응하여야 할 것이다. 즉,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상 배출권거래제도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우선, 저탄소녹색성장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탄소시장에 최적의 가격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적정한 저감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에 있어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허용범위를 정하여야 한다. 즉 온실가스의 범위, 감축배출량, 시설, 지역 등 범위를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 셋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오염물질의 배출의 총체적인 관리자로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종합적인 시책을 수립?시행하고, 특히, 국가는 배출권 거래행위(상거래행위)에 있어서 매출자와 매입자에 대한 상호간의 이익이 침해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시장(탄소시장)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해야 할 것이다. 넷째, 배출권거래를 추진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 사업장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정확한 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 다음 배출허용총량의 일부를 다른 총량관리사업자에게 이전하려면 양 당사자가 서명한 이전계약서 등 이전에 관한 증명서류를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 확인을 받도록 한다. 그리고 모든 배출권거래는 전산화를 통하여 운영한다. 다섯째, 사업자에 대한 배출권의 배분, 배출보고의 심사, 등록되어 있는 시설계정과 거래계정의 관리, 배출권거래에 관한 국내와 국제적 보고를 담당하는 배출권거래소를 설립함으로써 향후 국내 탄소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 탄소시장과 연계 기반을 구축하여 탄소배출권의 거래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배출권거래제도를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는 사업장의 오염물질 배출과 관련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와 철저한 감독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사업자의 의무위반에 대한 행정적 제재를 통하여 총량관리제의 철저한 이행과 배출권거래제도 시행의 실효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The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 is meant to allocate the quantity of air pollutants to an enterprise allowing it to discharge emissions within the permitted limit. The system allows an enterprise to buy or sell the quota from or to other enterprises who have not used up the quota or who wish to discharge the pollutants exceeding the quota. Korea has opted to pursue green growth as part of its vision and the motive power of next generation growth, and various policies are being promoted in line with it.. The enactment of the Basic Law Concerning Low Carbon Green Growth reflects such a policy switch. That is,, the Law prvides for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However, the Basic Law Concerning Low Carbon Green Growth lacks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as it simply offers a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and does not provide for the methods of creating and operating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by delegating the authority to other laws. For this reason the Basic Law Concerning Low Carbon Green Growth should be supplemented by stipulating not only the basis introducing the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 but also the detailed requirements for implementing the said system including the purposes, extent of control, trading procedures and the operation of trading institutions. Also measures are to be sought out to activate the local carbon market in anticipation for the rapidly growing international carbon market. In other words the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 based on the Basic Law Concerning Low Carbon Green Growth will need the following detailed institutionalized systems. Firstly, the target should concretely be established for reducing greenhouse gases in order to promote low carbon green growth. An appropriately targeted level of reduction should be determined so that the carbon market may respond with an optimum price signal. Secondly, the allowable level of carbon dioxide discharge should be established, specifying the range of greenhouse gases, reduction level, facilities, and regions when implementing the emissions trading system. Thirdly, the Government and the provincial self-governing bodies should establish a comprehensive 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es,, as they are a responsible administrator for the overall control of carbon emission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should be able to maintain the normal function of carbon market while protecting the interests of those market players buying and selling under the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 Fourthly, preparatory work should throughly be done including the precise estimation of each enterprise's emissions discharge. And then transfer documents such as a transfer contract should be drawn up between the legitimate trading partners, and the duly established contracted should be submitted to Minister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confirmation. Computerization is also required to record such transactions while operating the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 Fifthly, a carbon emissions trading institu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allocate the emissions discharge quota, evaluate the discharge reports, manage the facility and trading accounts and finally to organize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port arising from carbon emissions transactions. This will enable the establishment of a linkage with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vigorously activating the carbon emissions transactions not only in the local carbon market but also in the international carbon market. Sixthly, systematic management and continuous supervision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nsure thorough implementation of the total emission limit system and effectiveness of the carbon emissions trading system by applying administrative sanctions against those enterprises neglecting their du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