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종간의 핵치환에 의한 발생수행능력의 비교 연구

        이자경,정해문 한국통합생물학회 1988 동물학회지 Vol.31 No.1

        초기 발생과정에 있어서 핵과 세포질이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양서류 한 종의 핵을 이조의 무핵 수정란에 치환하였다. Rana속에 속하는 R.dybowskii,R.nigromaculata,R.pipiens등의 이종간 잡종의 개체의 경우 낭배초기를 전후하여 발생이 중지되며,Rana,Xenopus그리고 Axolotl의 속간 핵치환에서는 후기포배기에 발생이 중지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때 각 핵-세포질 조합의 발생수행능력을 비교하면 계통발생상의 유연관계가 먼 종일수록 초기에 발생이 중지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일반적으로양서류 종간 핵치환 결과는 후기 포배까지는 정상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같은 잡종개체가 초기에 발생수행능력의 제한을 받는 요인은 두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데, 치환된 핵에 비가역적 변화가 일어났을 가능성과 핵과 세포질간의 기능적 비양립성이 그것으로 현재로서는 후작 좀 더 가능성 있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nuclei and cytoplasm in early embryogenesis, interspecific nuclear transplantation was carried out Nuclei of one species of amphibian was transplanted into enucleated egg of another species. In interspecific hybrids between Rana species, development was arrested before or right after the dorsal lip formation. In intergenetic hybrids between Rana, Xenopus and axolod, developmental arrest took place at late blastula stage. Comparing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each nudeocytoplasmic hybrid, the more distantly related the species, the earlier does development arrest. The general rule is that nuclear transfers between any amphibian species will form a regulary cleaved late blastula. Two plausible factors relate to limitation of tite developmental capacity of nudeocytaplasmic hybrids. One is an irreversible change in grafted nuclei and another is tunctional incompatibility between the recipient cytoplasm and transplanted nucleus. The later is postulated a more possible cause of the arrestrnent.

      • 경두개 도플러를 이용한 두부 하강 체위에 따른 뇌혈류 변화

        이자경,한종인,정락경,이귀용,김종학,김치효,이춘희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7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0 No.3

        목적: 두부 하강 체위는 뇌혈류와 뇌압 및 혈역학적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체위 변동시 변화 정도에 따른 대뇌혈류 변화 정도와 뇌혈류의 자동 조절 기능의 발현 시간의 차이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건강한 성인 여자 12명을 대상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10˚(제1군) 또는 15˚(제2군) 두부 하강 체위를 취하게한 뒤 혈압, 심전도, 심박수, 호기말 이산화탄소 농도 및 경두개 도플러를 이용한 중대뇌 동맥 혈류 속도를 체위 변경전, 변경후 1,2,3,5,7,9,11분에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0˚ 및 15˚ 두부 하강 체위시와 각 체위간 뇌혈류 속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제 1군에서 1,2분의 이완기 혈압, 5분의 평균 동맥압, 7분의 호기말 이산화탄소 농도 및 2군에서 5,7,9,11분의 수축기 혈압, 9분의 평균 혈압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결론: 심혈관계가 안정되고 뇌혈류나 뇌압의 이상이 없는 건강한 성인에서 각각 10˚ 와 15˚ 의 두부 하강 체위시 뇌혈류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혈역학적 변화는 임상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없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나 심혈관계가 불안정한 경우, 혹은 뇌질환이나 뇌손상이 있는 환자에서 HDT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주의를 요하며 꼭 필요한 경우에는 15˚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으며 체위 변동후 최초 10여분간 혈역삭적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Objectives : The head-down tilt(HDT) position infuses changes in cerebral blood flow, intracranial pressure, hemodynamic and respiratory syste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cerebral blood flow and the onset of autoregul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degree of HDT. Methods : The subjects were 12 healthy adult female volunteers. They were divided two groups : 10˚ HDT(group 1) and 15˚ HDT(group 2). The systolic, diastolic and mean blood pressure, heart rate, end-tidal CO_2 concentration and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on middle cerebral artery by transcranial Doppler were measured before positioning and 1,2,3,5,7,9,11 minute after positioning.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cerebral blood flow velocities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HDT under 15 degrees. In group 1, vean arterial blood pressure were increased at 5 minutes and returned to control value at 7 minutes after HD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s. Diastolic blood pressure in group 1 were increased at 1 and 2 minutes after HD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froup 2, systolic blood pressure were increased at 5,7,9,11 minutes after HD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nclusion :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cerebral blood flow under less than 15˚ HDT. But systolic blood pressure were increased with 15˚ HDT in the healthy ad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ly(p<0.05) not but clinically. So, we suggested that if HDT is required, er should take care of the partients more than 10 minutes after HDT.

      • 계대핵치환에 의한 무미 양서류 종간핵치환개체의 발생수행능력 증진에 관한 연구

        이자경,정해문 한국통합생물학회 1989 동물학회지 Vol.32 No.3

        Nuclear Transplantation between Rana pipiens and Rana dybowskii When diploid blastula nuclei of Rana pipiens are traraplanted into enucleated eggs of Rana dybowskii the resulting nucleocytoplasmic hybrids are lethal-those development were arrested around the stage of the dorsal lip 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developmental capacity, serial nuclear transplantation was carried out. Even though serial transplantation of 15 generations showed normal development in each generation until gastrula stage, there was no sign of fundamental improvement in development afterward. This results implied that up to gastrulation normal DNA replication and cell division can take place in foreign cytoplasm. Since chromosomal aberrations both in shape and number were usually observed, the nuclei must have been modifted while resided in the foreign cytoplasm. Those nuclei didn't participate in normal development and led the embryos to early death. Tissue graft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abnormal behavior of this lethal nucleocytoplasmic hybrid is an inherent property which is not corrected by the contact with its own tissue. 포배단계의 북미산 표범개구리 Rana pipiens의 핵을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의 무핵 수정란에 이식하여 형성되는 nucleocytoplasmic hybrids 개체는 낭배운동을 전후하여 모두 치사한다. 치사조합 개체의 발생수행능력의 증진을 위하여 치사직전의 핵을 취하여 북방산개구리의 무핵 수정란에 계대핵치환 시킨 결과 제 1대 핵치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낭배기를 전후하여 치사하는 것으로 나타나 발생수행능력의 커다란 증진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15대까지 계대핵치환이 진행되는 동안 초기낭배 까지의 발생은 일정비율로 진행되므로 영속적인 DNA의 복제와 세포분열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간핵치환된 개체의 상당수에서 비정상적인 형태를 가진 염색체와 수에 이상이 일어났음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염색체의 이상은 정상 개체로 이식된 조직이 치사되는 점으로 미루어 영구적인 변화로 보이며 이로 인한 비정상적인 유전자의 활동이 개체를 발생의 초기단계에서 치사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