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의 납당량, 종류에 따른 성능평가

        김기원(Ki-Won Kim),최성현(Sung-Hyun Choi):김기열(Ki-Yeol Kim):이익표(Ik-Pyo Lee):황선광(Sun-Gwang Hwang):민정환(Jung-Whan Min):손진현(Jin-Hyun Son)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6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6 No.1

        목 적 :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는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필수적인 방어용구 중에 하나이다. 이에 저자들은 실제 임상에 판매되고 있는 신규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를 제조사, 납당량, 종류에 따른 차폐율과 균일성을 정량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여 임상에서 실제적으로 우수한 성능의 apron 구비와 추후 정기적인 apron 성능평가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피폭 선량 감소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방사선 발생장치와 선량계를 이용하여 apron의 차폐율을 측정하였다. 선량 조사기준은 복부 촬영 조건인 81 kVp, 25 mAs, source to image receptor distance (SID) 100 cm, field of view (FOV) 17 ×17 로 설정하였다. 조사 부위는 front type과 around type의 apron은 9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2 pieces type apron은 상의 3개, 하의 4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균일성 측정은 투시장비 위에 각 apron을 올려놓고 영상을 획득한 뒤 Image J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획득된 영상은 Image J로 3×3 cm2 의 region of interest (ROI)를 4개 지정한 뒤 각 ROI의 신호 강도 값의 표준 편차를 평균하여 균일성을 구하였다. 결 과 : 각 apron의 구역별 차폐율 반복 측정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P>0.05) apron 별 차폐율의 ANOVA test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차폐율 측정결과에서 각각 같은 납당량임에도 불구하고 제조사별, type별로 83.59% ~ 98.15%의 차폐율을 보이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일성 측정결과에서 front type의 경우 동일한 납당량인 경우 비슷한 균일성을 보이지만 around type과 2 pieces type의 경우 같은 납당량임에도 불구하고 0.3 ~ 5.6의 균일성으로 서로 다른 균일성을 보여주었다. 결 론 : 구입 전과 구입 후에 본 연구 방법과 같은 성능평가를 정기적으로 시행한다면 방사선 관계 종사자나 환자, 보호자의 방사선 피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apron is one of the essential protectors to reduce the exposure dos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line for purchasing the aprons with excellent performance and to help reducing the exposure dose by measuring the shielding ration and uniformity of aprons according to lead equivalent and types. Materials and Methods : The shielding ratio of aprons were measured by using radiation generator and dosimeter. Exposure conditions were 81 kVp, 25 mAs, source to image receptor distance (SID) 100 cm and field of view (FOV) 17 ×17 . Exposure areas for front type and around type aprons were divided into 9 areas and for 2 pieces type aprons were divided into 3 areas of top and 4 areas of skirt. The uniformity of aprons were measured by using fluoroscopy and Image J. The 4 regions of interest (ROI) were set into acquired images and measured uniformity by measur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pixel intensity in ROIs. Result : In continuous shielding ration measurement of aprons according to exposure area, ther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In ANOVA test of apron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In the results of sheilding ratio, although the aprons had equal lead equivalent, there were difference in shielding ratio from 83.59% to 98.15%. In the results of uniformity, the front type aprons with equal lead equivalent indicated the similar uniformity. However, the around type and 2 pieces type apron with equal lead equivalent indicated the different uniformity each other, from 0.3 to 5.6. Conclusion : If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 this study were conducted regularly before and after purchase the aprons, the exposure does to patients and radiological technologists could be reduced.

      • DR X-선 장비를 이용한 상, 하지 검사 시 촬영거리 변화에 따른 선량감소와 영상의 유용성 평가

        장성우(Sung-woo Jang):안형택(Hyeong-Theck An),이익표(IK-Pyo Lee),황선광(Sun-Kwang Hwang)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6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6 No.1

        목 적 : DR X-선 장비에 설정된 촬영조건을 고정한 후 SID를 변화하여 영상의 질을 저하하지 않는 범위의 최적의 영상을 얻고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PHILIPS DIGITAL DIAGNOST ELEVA 이다. FLUKE MODEL 76-2 아크릴 팬텀을 제작하였고. Tibia, Knee, Forearm의 노출조건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SID 는 100 cm을 기준으로 하였고 테이블에서 125cm, 150cm, Wall detector에서 125cm, 150cm, 180cm 으로 변화 시켜가며 각 20회씩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얻은 영상으로 왜곡도를 측정하였고, PSNR,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SID 변화에 따른 Air Kerma와 Transmission Dose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실험결과는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해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기준이 되는 100cm 영상에서 SID값이 증가함에 따라 왜곡도는 점차 감소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가졌다(P<0.05). PSNR 및 평균, 표준편차는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균일한 영상을 얻게 되었지만 125cm 이상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PSNR 값이 떨어지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Table과 Wall detector 둘 다에서 Air Kerma 와 Transmission Does는 SID가 가까울수록 높게 측정되었고, 멀어질수록 확연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결 론 : 장비에 설정된 촬영 조건 내에서 단순 SID의 증가로 선량 감소 효과와 진단적으로 가치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이는 방사선사에게 보다 효율적인 검사환경을 확보할 수 있으며, 타 장비에서도 임상적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achieve maximum quality of image and minimal exposure rate for patient by modifying the SID after fixing the settings on the DR X-ray equipment. Materials and Methods : The equipment used for experiment is PHILLIPS DIGITAL DIAGNOST ELEVA. FLUKE MODEL 76-2 acrylic phantom was manufactured, and the image was achieved in accordance to exposure condition of Tibia, Knee, and Forearm. The standard for SID was set to 100 cm, and the filming was done in 20 takes from the table (125cm and 150cm) and the wall detector (125cm, 150cm, 180cm). The resulting image calculated the distortion proportion and by analyzing the histogram and PSNR, found the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Furthermore, the Air Kerma and Transmission Dose in relation to the changes in SID were calculated. The result of each experiment analyzed the necessary differences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 evaluation. Result : The distortion proportion was indirectly proportional to the SID value at the standard 100 cm, and statistically showed notable differences (P<0.05). The PSNR,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achieved consistent images in relation to the changing of SID. However, the PSNR values decreased when the distance surpassed 125cm. Air Kerma and Transmission Dose resulted in high values when the table and wall detectors were closer to the SID, and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table and wall detectors were farther away from the SID. Conclusion : Under these settings, dose reduction effects and usable, diagnostic images were achieved by increasing the SID. This also provided a more efficient diagnostic environment for the radiologist. Lastly, it is estimated that same conditions can be applied to different equipments.

      • 직무순환제도에 따른 직무만족도

        김호철(Ho-Chul Kim),김용태(Yong Tae, Kim),박용성(Yong-Sung Park),이익표(Ik-Pyo Lee),황선광(Sun-Gwang Hwang)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6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6 No.1

        목 적 : 종합병원 내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을 통해 직무순환제도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설문은 수도권내에 소재하는 종합병원 중 19개의 병원을 편의표본 샘플링에 의해 선정하여 영상의학과내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의 구성은 크게 세부분으로 방사선사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특성, 둘째로 직무순환의 절차, 효과, 형태와 셋째로 직무만족도중 직무자체 만족도, 임금만족도, 상사와 동료만족도, 사회적 만족도이다.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test, Cronbach s 알파 계수, Person 분석, 다변량 회귀분석법을 실시하였다. 결 과 : 총 703부를 배포하였으며, 수거한 설문지중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642부의 설문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첫째, 직무순환제도에 미치는 영향들은 비교적 사회경험이 적은 방사선사들에게서 많이 나타났으며(P<0.000), 경력이 많은 방사선사들에게서도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P<0.000). 비정규직 근무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 둘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들 또한 직무순환제도 미치는 영향과 비슷한 결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부서에서 만족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8). 상사와 동료 만족도 항목과 직무 순환 효과항목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P<0.000). 셋째, 직무만족도에는 일반적 특성과 직무특성(13.4%) 보다 직무순환(52%)제도의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결 론 : 직무순환제도가 직무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중 경력이 많은 방사선사들에게서도 알 수 있듯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 생각되며, 직무순환제도에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부분은 방사선사의 순환욕구와 상사와 동료 관계뿐만 아닌 특정 부서의 만족도가 편중되지 않아야 하며, 직책에 있는 방사선사도 이에 해당한다. 또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순환의 효과가 매우 많은 영향이 있어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 Radiological technologists purchased through working in hospitals to evaluate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the job rotation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 Were evaluated through questionnaires, surveys were intended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o work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selected by the 19 hospitals of hospitals located within the metropolitan convenience sample sampling. Construction of large radiation survey 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into three parts, procedures, job rotation of the second, effects, shapes and third of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itself, pay satisfaction, the boss and colleague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t test, Anova test,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Pers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 : Deployment was a total of 70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642 parts except the inadequate response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irst , the impact on job rotation schemes to obtain a result that is relatively social experience showed a lot from less radiation bought (P <0.000), winning requires egeseodo much radiation bought (P <0.000). nonregular nonregular workers even with a difference had appeared were that (P <0.000), second, were found to contain the effects are also similar to the results and impact of job rotation schemes on job satisfaction, it showed a difference of satisfaction in certain departments (P <0.008),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he boss and fellow satisfaction items and job rotation effect items (P <0.000). third, job satisfaction has a greater impact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rotation (52% ) plan more job characteristics (13.4 %). it was found that. Conclusion : And a job rotation schem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dual career a lot of radiation bought egeseodo As you can see, be sure it is thought La required system, an important part to consider job rotation system is rather well fellowship with the radiation s circulation desire and firm and it should not be concentrated in a particular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hat this radiation apostle in offic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ere is a very large impact effect of job rotation led them to more efficiently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 KCI등재

        Measurement of Image Quality According to the Time of Computed Radiography System

        손순룡(Soon Yong Son),최관우(Kwan Woo Choi),김정민(Jung Min Kim),정회원(Hoi Woun Jeong),권경태(Kyung Tae Kwon),황선광(Sun Kwang Hwang),이익표(Ik Pyo Lee),김기원(Ki Won Kim),정재용(Jae Yong Jung),이영아(Young Ah Lee),손진현(Jin Hyun S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5 방사선기술과학 Vol.38 No.4

        진단의 높은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영상 품질의 정기적인 quality assurance (QA) 검사는 필수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시간에 따른 (2006, 2009, 2012, 2015) computed radiography (CR) system의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변조전달함수), the noise power spectrum (NPS: 잡음전력스펙트럼) and th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DQE: 양자검출효율)를 측정하여 평가 하는 것이다. 우리는 edge method를 이용하여 pre-sampled MTF를 구하였고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standard IEC: 62220-1의 RQA5 가 측정에 적용되었으며, X선관 초점으로부터 CR 표면까지의 거리는 150 cm이며, 부가필터 21 mmAl을 사용하였다. 관전압은 72 ± 2 kVp였으며 관전압을 1~2 kVp조절하여 HVL이 7.1 ± 1 mmAl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MTF의 공간주파수 50% (mm-1)에서 사용 기간 별로 2006년은 1.54, 2009년은 1.14, 2012년은 1.12, 2015년은 1.38 이었고 공간주파수 10% (mm-1)에서 사용 기간 별로 2006년은 2.68, 2009년은 2.44, 2012년은 2.44, 2015년은 2.46 이었다. 각각의 노이즈 분포는 2006년이 가장 낮은 노이즈 분포를 보였으며 2015, 2009, 2012 순으로 낮은 노이즈 분포를 나타내었다. Peak DQE와 1 mm-1에서도 2006년이 가장 우수한 DQE를 보였으며 2015년, 2009년, 2012년 순으로 DQE값을 나타내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주기적인 CR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CR 시스템의 QA 및 수행성능 평가에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gular quality assurance (RQA) of X-ray images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a high accuracy of diagnosis.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the noise power spectrum (NPS), and th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DQE) of a computed radiography (CR) system for various periods of use from 2006 to 2015. We measured the pre-sampling MTF using the edge method and RQA 5 based on commission standard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The spatial frequencies corresponding to the 50% MTF for the CR systems in 2006, 2009, 2012 and 2015 were 1.54, 1.14, 1.12, and 1.38 mm-1, respectively and the10% MTF for 2006, 2009, 2012, and 2015 were 2.68, 2.44, 2 .44, and 2.46mm-1, respectively. In the NPS results, the CR systems showed the best noise distribution in 2006, and with the quality of distributions in the order of 2015, 2009, and 2012. At peak DQE and DQE at 1 mm-1, the CR systems showed the best efficiency in 2006, and showed better efficiency in order of 2015, 2009, and 2012. Because the eraser lamp in the CR systems was re-placed, the image quality in 2015 was superior to those in 2009 and 2012. This study can be incorporated into used in clinical QA requiring performance and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CR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