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태준 장편 소설과 계몽의 젠더 전략-1930년대 애정 갈등 소설의 서사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솔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8 No.-

        This paper proposes to read Lee Tae-joon’s novels in the 1930s with the narrative of enlightenment of a female nationalist. Until now, it has been generally understood that Lee Tae-joon’s novels deal with women’s romantic conflicts to attract popular interest.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female discourse of Lee Tae-joon’s novels was only considered to be used as a narrative device to connect popularity and enlightenment, rather than being directly related to the awakening of one’s sense of nationalism. This paper discusses that the two factors actually existed in the single structure of ‘Women’s nationalistic enlightenment narrative’ from the beginning. This is because, unlike the general perception that the women in Lee Tae-joon’s novels were portrayed as passive characters designed to convey popular interest and the logic of enlightenment, they actively drive the narrative through conflicts between their personal desires and public values. By reorienting the female characters as independent being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narrative principles behind popular love triangles that often appear in Lee Tae-joon’s long novels. Chapter 2 examines Lee Tae-joon’s early novels, “An Old Statue of Woman( 구원의 여상 )” and “An Immortal Cry( 불멸의 함성 ).” Unlike other novels where the sacrifice of a female character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male characters to seek forgiveness or repentance, Lee Tae-joon’s novels distinguish the sacrifices made for men and those made for the nation, and in some cases, they are even depicted as opposing elements. Through the moral determination of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two novels, women who have lost their chastity are returned to society. Through this, they fully expose the imprudence of the men who allured them sexually. The novelist sends sympathy toward the women who have lost their chastity, and goes even further to build a unique structure that equates sacrifice for a single woman to devotion for the entire nation. Through an analysis of “A Sacred Mother( 성모 )” and “A Flower Crown( 화관 ),” Chapter 3 examines how, in Lee Tae-joon’s novels, the legitimacy of the vocalization of female characters in society stems from their own morality. The traditional discourse that Lee Tae-joon aims to counter is portrayed with male characters who have lost their rationality and legitimacy, and equates their discourse with nothing but sexual allurement. On the other hand, female characters are given the moral legitimacy based on their continuous commitment toward society. They regard themselves as ‘psychological orphans,’ as daughters whose older-generation parents do not understand. And in order to help the women of later generations can escape the same state of ‘psychological orphan’, they take up the roles of a mother in “A Sacred Mother” and an educator in “A Flower Crown.” Through the narrative of education and care that runs from the current generation of women to the next, Lee Tae-joon depicts how commitment to one’s nation and the benefits from it that circulate in the female world. 본고는 이태준의 1930년대 장편 소설을 여성 민족주의자의 계몽 서사로 읽을 것을 제안한다. 이태준 장편에서 여성은 통속적 흥미와 계몽적 논리를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수동적 인물이 아니라, 사적 욕망과 공적 가치 사이에서 갈등하며 적극적으로 서사를 이끌어가는 인물이다. 여성을 주체적 인물로 재정위할 경우 이태준 장편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통속적 삼각관계 이면에 작동하는 서사적 원리를 읽어낼 수 있다. 2장에서는 이태준의 초기 장편인 구원의 여상 과 불멸의 함성 을 살펴본다. 여성 인물의 희생이 남성 인물의 용서 혹은 회개의 계기가 되는 여타의 소설과 달리, 이태준 장편에서는 남성을 위한 희생과 민족을 위한 희생이 서로 구분되며 때로는 대립하는 요소로 그려진다. 여성 인물들은 도덕적 결단을 통해 정조 잃은 여성을 사회에 재편입시키며, 이들을 성적으로 회유한 남성의 부조리함을 낱낱이 폭로한다. 3장에서는 성모 와 화관 의 분석을 통해 여성 인물의 사회적 발화가 지닌 정당성이 그 여성의 도덕성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검토한다. 이태준은 자신이 맞서려 하는 전통적인 담론의 발화자를 합리성 및 정당성을 잃은 남성들로 택하여 그들의 논의를 한낱 성적 회유에 불과한 것으로 치환한다. 반면 여성 인물은 시종일관 사회에 대한 헌신적 태도를 보이며 윤리적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이들은 구세대인 부모에게 이해받지 못하는 딸로서 자신을 ‘정신적 고아’라고 인식하며, 후대의 여성들이 자신과 같은 정신적 고아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성모 에서는 어머니로서, 화관 에서는 교육자로서 각각 그 목표를 수행한다.

      • 케이팝(K-Pop)의 현황과 국내 음악콘텐츠의 미래

        이은솔,이우창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

        디지털시대에 접어들면서 세계 음반 산업은 꾸준히 규모가 줄어들었고, 2015년에는 음원매출이 음반매출의 규모를 뛰어넘게 되었다. 또한 유튜브(Youtube) 등의 동영상 사이트의 발전을 통해, 막대한 자본과 마케팅 없이도 음원의 해외수출이 용이해지게 되었다. 국내 음악콘텐츠 가운데서도 케이팝(K-pop)음악 산업의 흥행이 신한류(新韓流) 현상의 주역으로 떠올랐지만, 비슷한 아이돌 댄스음악으로 획일화 된 장르 특성상의 한계로 인해 2-4년 안에 수명이 다 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나왔고, 실제로 현재 케이팝의 전망이 좋지 않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케이팝 장르의 전반적인 특징과 케이팝 음악 산업의 부정적인 전망의 원인을 분석하고,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성공적인 사례인 미국 힙합의 세계화와 인도 발리우드 음악의 성공에 빗대어 국내 음악콘텐츠의 장기적인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로 한다.

      • KCI등재

        가구부문 미시자료를 활용한 에너지바우처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이은솔,박광수,이윤,윤태연 한국환경경제학회 2019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8 No.4

        In Korea, nearly 100 billion won is spent annually under the name of energy voucher on 600,000 households for the last five years, and this is a unique case and hard to monitor worldwide. Therefore,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ssess impacts of the energy voucher on energy consumption and cost burden alleviation for beneficiaries.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energy vouchers in terms of energy expense.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on samples of low-income households based on the Korea Welfare Panel. Then, simple Difference-In-Differences and Fixed-Effect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s were applied to estimate the effect of energy vouchers. In results, the beneficiaries of energy vouchers would spend an additional 4,371~4,870 won per month on energy consumption. The ratio is equivalent to 51.9~57.7 percent of the aid, which is also the highest when compared with 23~56 percent of U.S. Food Stamp. In terms of energy welfare, voucher payment could become one of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However, identifying the blind spots as non-reciprocal households and expanding the differential support mechanism that reflects the energy consumption environment should be solved in the future. 에너지바우처사업은 약 60만 가구를 대상으로 연간 천억 원 가까이가 투입되는 에너지복지분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사업으로,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사례이다. 본 연구는 에너지바우처 지급에 따른 가구의 에너지소비 확대 효과를 실증한다. 「한국복지패널」 저소득가구를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비수혜가구를 추출하며, 단순 이분차분과 함께 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하였다. 바우처를 수혜한 가구에서 월평균 4,371~4,870원을 에너지소비에 추가로 지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지원액 대비 51.9~57.7%에 상당하는 비율로, 식품권의 23~56%와 비교할 때에도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된다. 바우처 지급이라는 에너지복지분야에서의 새로운 시도는 충분히 성공적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면, 비수혜가구로부터 확인되는 사각지대의 문제나 에너지소비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차등 지원 등은 향후 해소해나가야 할 과제일 것이다.

      • KCI등재

        남도잡가 보렴에 나타난 불교와 민간신앙의 습합 양상

        이은솔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1

        By focusing on the performance troupe called Sadangpae, which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derivation of Namdojapga <Boryeom> and their performance called Panyeombul,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transmission of <Boryeom>, referred to as Namdo Panyeombul, and the cause of the Buddhist character appeared in <Boryeom>. Also, it aims to examine syncretism between Buddhism and folk religion in Namdojapga <Boryeom> by review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exts and progress of the melody of <Boryeom>. <Boryeom> is a musical piece recreated as Namdo-style Panyeombul with Namdo’s music grammar as Panyeombul, Buddhist prayer chanting of Sadangpae, is separated and accepted by Namdo Sadangpae. It shar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ext of Panyeombul in Gyeong-Seodo. <Boryeom> is meaningful because it retains the characteristics of Pamyeombul which was sung and popularized by Sadangpae in the past whose transmission has been currently cut off. In this paper, by reviewing the narrativ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Namdojapga <Boryeom>, it is confirmed that Buddhism and folk religion were mixed in various aspects. In Korean society, religious syncretism between Buddhism and folk religion is a unique Korean religious culture by Buddhism’s traditional idea of tolerance and Korean people’s intrinsic sentiment and a great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that pursues public Buddhism. In short, unlike other Japga, <Boryeom> is valuable in that it has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day, retaining the Buddhist color of Sadangpae and the aspect of syncretism between Buddhism and folk religion. 본고는 남도잡가 보렴의 파생과 관련을 보이는 사당패라는 연행집단과 이들이 연행했던 판염불에 주목함으로써, 남도 판염불이라 일컬어지는 보렴의 전승과 보렴에 나타나는 불교적 성격의 원인을 규명하고, 보렴의 텍스트와 선율진행 등의 음악적 특징을 함께 검토하여 남도잡가 보렴에 나타난 불교와 민간신앙의 습합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보렴은 사당패들의 불교 축원염불 소리인 판염불이 떨어져 나와 남도 사당패들에게 수용됨으로써 남도의 음악 어법을 갖는 남도 스타일의 판염불로 재창출된 악곡이다. 보렴은 경ㆍ서도 판염불의 사설 구조와 텍스트를 공유하며 현재는 전승이 끊어진, 과거 사당패들에 의해 성창된 판염불의 특성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곡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는 남도잡가 보렴의 사설과 음악적 특징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불교와 민간신앙이 다양한 양상으로 혼효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사회에서 불교와 민간신앙의 종교적 습합은 불교의 전통적 포용 사상과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가 이루어낸 독특한 한국적 종교 문화이자, 민중 불교를 지향하는 한국 불교의 커다란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보렴은 여타 잡가와는 달리, 사당패의 불교적 색채와 불교와 민간신앙이 습합된 양상을 띠며 현재까지도 잘 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웹툰 <신과 함께> ‘저승편’에 나타난 한국인의 저승관

        이은솔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웹툰 <신과 함께> ‘저승편’에 나타난 한국인의 저승관이 은 솔* 요약: 본 연구는 웹툰 <신과 함께> ‘저승편’에 나타난 7개 지옥의 특징들과 그것의 통한 저승관 또한 일반적 한국인의 저승관을 살펴본 후 두 저승관을 통해 현시대 한국인의 저승관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툰 <신과 함께> ‘저승편’에 나타나는 총 7개의 지옥을 실제 원형 그림과 매우 흡사한 발설지옥과 독사지옥 같은 지옥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원형 그림을 빗대어 현시대에 맞게 지옥이라는 공간을 더 확실하고 공감할 수 있게 잘 표현했다. 둘째, <신과 함께> ‘저승편’에서 비롯된 저승관이 ‘김자홍’이라는 인물을 통해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서 잘 드러났다. 이렇듯 <신과 함께> 저승편을 통한 저승관과 일반적인 한국인의 저승관을 통해 저승이라는 곳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한번 환기하게 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핵심어: 웹툰, 신과함께, 원소스멀티유즈, 지옥, 저승관 □ 접수일: 2022년 1월 24일, 수정일: 2022년 2월 7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고려대학교 글로벌언어문화학 박사과정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Korea Univ., Email: eunsol0403@naver.com) Korean Afterlife as Shown in Webtoon <Along with The Gods>Eunsol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ven hells in the webtoon <Along with the Gods> ‘The Underworld’ and the view of the underworld through the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hells such as snow hell and poisonous hell that are very similar to the actual original drawings of the total of 7 hells appearing in the webtoon <Along with the Gods> ‘The Underworld’, but most of them compare the original drawings to create a space called hell suitable for the present age. It was expressed well in a more clear and understandable way. Second, the view of the underworld from ‘Along with the Gods’ ‘The Underworld’ was well reveale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rough the character ‘Kim Ja-Hong.’ As such,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once again awaken awareness of the underworld through the underworld through <Along with The Gods> and the general view of the underworld of Koreans. Key Words: Webtoon, Along with The Gods, One Source Multi Use, Hell, The Underworld

      • KCI등재

        과도한 책임감과 강박적 확인행동의 관계에서 불안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이은솔,장혜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3

        This study examined potential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anger suppress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inflated responsibility and compulsive checking behavior. Specifically,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ated responsibility and checking behavior would be mediated by state anxiety and anger suppression. Participants were 138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a s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 inflated responsibility, state anxiety, anger suppression, and checking behavior. Mediation models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followed by bootstrapping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pathways, and the dual mediation model was tested using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ate anxiety and anger suppress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flated responsibility and compulsive checking in each simple mediation model. However, when both state anxiety and anger suppression were included in the model simultaneously, only anger suppression emerged as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effect of inflated responsibility on checking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과도한 책임감이 강박행동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두 가지 부정정서, 즉 불안과 분노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과도한 책임감과 확인행동의 관계에서 상태불안과 분노억제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38명(여성 64.5%, 남성 35.5%)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과도한 책임감, 상태불안, 분노억제, 확인행동을 측정하였다. 매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bootstrapping 방식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이중매개모형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과도한 책임감이 상태불안을 통해 확인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경로와 분노억제를 통해 확인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경로 각각이 모두 유의하였다. 그러나 상태불안과 분노억제를 동시에 포함한 이중매개모형에서는 상태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 임상적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1970년대 한국 포크 음악의 특징과 서사성

        이은솔,이우창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미국의 모던포크는 전통 민요를 현대화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당시 미국의 사회 부조리에 대한 군중의 저항정신을 담아 노래하는 것에 그 정체성이 있다. 반면 한국 포크 음악은 1950년대 이후 주한 미군 방송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서양 음악을 그대로 번안하여 부른 것이 시초이다. 우리의 전통음악에서 발전한 것이 아니라는 점과 정치적 저항 정신에서 발전한 음악이 아니라는 점에서 미국 모던포크와의 설립 배경과 기원이 다른 것이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작사, 작곡, 연주를 스스로 하는 싱어송라이터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한국 포크 음악은 변화를 맞이한다. 유신 군사 정권에 대한 대학생들의 시위가 이어지면서 젊은 뮤지션들은 포크 음악 가사에 의도적이었든 아니든 정치적, 사회적 메시지를 담기 시작한다. 여전히 번안곡의 비중이 높았으나 민중의 정서적 공감대를 확보하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노랫말을 통해 1970년대 한국 포크 음악은 미국의 그것과 같이 사회적 의의를 가지게 된다.

      • 가구부문 미시자료를 활용한 국내 에너지 빈곤층 추정방법 비교연구

        이은솔,윤태연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 구 한국환경경제학회 ) 2017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하계

        에너지바우처 시행이나, 가정용 전기요금 개편 등과 같이 최근 들어 에너지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에너지빈곤에 대한 공식적인 논의가 이루어진 바 없으며, 에너지빈곤층에 대한 평가기준 역시 마련된 바 없어 연구자들마다 임의로 적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연료비 비율’과 ‘최소에너지’, 두 기준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대부분 국가 전체의 에너지빈곤층 규모를 추정하는 선에서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가구부문 미시자료를 활용하여 해당 기준들로부터 추정된 빈곤층이 실제 어떠한 가구특성을 가지는지 비교·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최근 10년간 106,868가구를 조사한 「가계동향조사」 정보를 활용하며, 각 기준에 따른 빈곤가구를 서로 간 비교하여 이로부터 해당 기준의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분석결과, 에너지빈곤층 추정의 핵심 변수인 연료비지출액의 경우 ‘최소에너지’ 기준에서는 음(-)의, 반대로 ‘연료비 비율’ 기준에서는 양(+)의 방향성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두 기준 간의 중첩 가구는 6.8%에 그치며, 이는 두 기준에서 전혀 다른 가구를 에너지빈곤층으로 추정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더 큰 문제는 주거환경에 대한 상세한 정보 없이 에너지빈곤층을 추정하는 데에서 발생한다. ‘최소에너지’ 기준에서는 주거환경이 양호한 고소득층 다수를 포함하는 반면, ‘연료비 비율’ 기준은 부담이 극심한 저소득 가구를 배제하게 된다. 해외의 기준들을 무분별하게 들어와 사용한 결과로, 현 국내 상황에서는 그 한계가 분명하다. 에너지빈곤에 대한 정의가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하며, 이로부터 관련 정보의 구축 그리고 평가 기준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TIP 곡선을 이용한 에너지 빈곤구조의 동태적 변화 분석

        이은솔,송철종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7

        This study analyzed the dynamic changes in the energy poverty structure of all households, elderly household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To this end, a TIP curve was derived and the focus was on changes in energy poverty intensity and poverty incidence. For the data, annual and quarterly data on fuel costs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were used.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using data from the first quarter, where the energy poverty problem can be prominent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heating costs among the four quar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no clear improvement in poverty intensity and poverty incidence over time in the analysis of all households. However, the analysis of elderly and single-person households showed improvement in poverty intensity and poverty incidence over time. In particular,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data for the first quarter, the poverty intensity and poverty incidence of elderly and single-person households improved remarkably. In addition, the poverty intensity and poverty incidence of the elderly and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larger than the all households, and the energy poverty of single-person households was more severe than that of the elderly households.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체가구, 노인가구, 1인가구의 에너지 빈곤구조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TIP 곡선을 도출하였으며 에너지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의 변화에 집중하였다. 자료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연료비에 대한 연간자료와 분기자료를 이용하였는데, 4개 분기 중 난방비의 비중이 높아 에너지 빈곤 문제가 두드러질 수 있는 1분기 자료를 이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른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의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노인가구와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의 개선이 나타났다. 특히, 1분기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에서 노인가구와 1인가구의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이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전체가구에 비해 노인가구와 1인가구의 빈곤강도와 빈곤수준이 크게 나타났으며, 노인가구 보다 1인가구의 에너지 빈곤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