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구부문 미시자료를 활용한 에너지바우처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이은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2 No.-

        본 논문은 에너지바우처의 도입이 저소득가구의 난방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인 효과분석을 통해 추정하고자 하였다. 에너지바우처는 2015년 겨울 사업을 시작한 이래 올해로 5년차에 접어들고 있는 반면, 아직까지 그 효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프랑스의 ‘에너지 수표(Cheque d’energie)’ 제도를 제외하고는 비슷한 정책을 찾아보기 힘들며, 대부분은 긴급구호 성격의 바우처 또는 현금지원 정책 뿐 이다. 이처럼 찾아보기 힘들고 연간 천억 가까이 소요되는 대규모 에너지 복지사업인 반면, 수혜자들이 실제로 에너지 소비를 늘렸는지, 늘렸다면 과연 얼마 만큼인지, 에너지 비용에 대한 부담은 줄었는지 등 그 효과에 대한 명시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복지패널」데이터 중 에너지바우처가 도입이 되기 전인 2014년 그리고 도입이 된 후인 2016년, 2017년 총 세 개년도의 데이터와 PSM-DID모형을 사용하여 에너지바우처에 대한 정량적인 효과분석을 통해 에너지바우처를 평가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에너지바우처의 도입 전 후효과를 추정하는 이중차분법을 시행하기 이전에 발생할 수 있는 선택편의(selection bias)문제를 해결하고 에너지바우처 수혜가구와 비수혜가구 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시행하였다. 성향점수매칭법의 목적을 달성한 후, 구성된 그룹을 통해 고정효과를 이용한 이중차분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에너지바우처 시행전인 2014년에 비해 2016년에는 약 월 4,890원, 2017년에는 5,439원 가량 더 난방비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 값이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원받은 금액의 각각 58.1%, 62.6%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다른 여타 바우처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에너지바우처의 시행 목적을 어느정도 달성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일축조선소리반에 취입된 김창룡창 <놀보제비가>의 음악적 특징과 의의

        이은솔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4 국악교육연구 Vol.18 No.2

        본고는 [일축조선소리반 K637-A]에 취입된 김창룡창 <놀보제비가>와 [Columbia 40249 -A] 음반의 김창룡창 권삼득제 <제비가>와의 비교ㆍ분석을 통해 일축조선소리반 김창룡창 <놀보제비가>의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밝혀보고자 한 글이다. 김창룡은 탁월한 성음과 기량을 바탕으로 독창적이고 개성 있는 소리를 구사한 명창이다. 그는 선배 명창의 더늠 소리를 그대로 방창하는 명창제와 자신의 소리제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창자였다. 이는 그가 취입한 음반에서 명창제와 본인의 소리제를 구분하여 지칭한 예를 통해 추정해 볼 수 있었다. 김창룡은 자신의 음악적 지향에 따라 일축조선소리반 <놀보제비가>에 청중의 취향을 고려한 소리와 신조적 음악 요소를 집어넣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자신의 예술적 해석대로 사설 짜기 방식과 소리 구성 방식을 활용하여 <놀보제비가>에 전통의 연속선상에서 새로운 표현을 시도하고, 자신의 자유분방한 소리를 담아내고자 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요컨대, 일축조선소리반의 김창룡창 <놀보제비가>는 김창룡이 선배 명창 권삼득의 더늠 소리를 충실히 재현한 명창제 소리가 아니라, 김창룡 본인의 출중한 기량을 바탕으로 자신이 추구하는 음악적 지향과 예술적 해석을 반영한 소리이다. 그의 개성 있고, 독창적이며 자유분방한 소리가 현재까지 유성기 음반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im Chang-ryong's <Nolbojebiga>, recorded on [Ilchukchosunsoriban K637-A]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Kim Chang-ryong's Gwon Sam-deuk-je <Jebiga>, recorded on [Columbia 40249-A]. Kim Chang-ryong was a master singer known for his distinctive and original vocal style, supported by his exceptional vocal quality and technical skills. He was known to clearly differentiate between the traditional ‘myeongchang-je’ (a master singer's style) that he inherited from a senior master’s deonum sori and his unique ‘sori-je’ (a vocal style). This distinction can be inferred from examples in which he separately referred to the styles of senior masters and his own in the recording he made. In accordance with his musical orientation, Kim Chang-ryong tried to incorporate sori that took the audience’s taste into consideration and sinjo (new style) of musical elements in Ilchukchosunsoriban’s <Nolbojebiga>, Furthermore, he applied his artistic interpretation in method of crafting the lyrics and structuring sori composition, attempting to create new expressions within the continuity of tradition in <Nolbojebiga> and imbue with his freewheeling sori. In conclusion, Kim Chang-ryong's <Nolbojebiga> on Ilchukchosunsoriban is not a faithful reproduction of the ‘myeongchang-je’ inherited from the senior master Gwon Sam-deuk’s deonum sori, but rather a reflection of sori that reflect his musical aspirations, and artistic interpretation based on his outstanding skill.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his distinctive, original, and freewheeling sori has been preserved and still being conveyed through the phonograph records up to these days.

      • KCI등재

        웹툰 <신과 함께> ‘저승편’에 나타난 한국인의 저승관

        이은솔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웹툰 <신과 함께> ‘저승편’에 나타난 한국인의 저승관이 은 솔* 요약: 본 연구는 웹툰 <신과 함께> ‘저승편’에 나타난 7개 지옥의 특징들과 그것의 통한 저승관 또한 일반적 한국인의 저승관을 살펴본 후 두 저승관을 통해 현시대 한국인의 저승관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툰 <신과 함께> ‘저승편’에 나타나는 총 7개의 지옥을 실제 원형 그림과 매우 흡사한 발설지옥과 독사지옥 같은 지옥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원형 그림을 빗대어 현시대에 맞게 지옥이라는 공간을 더 확실하고 공감할 수 있게 잘 표현했다. 둘째, <신과 함께> ‘저승편’에서 비롯된 저승관이 ‘김자홍’이라는 인물을 통해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서 잘 드러났다. 이렇듯 <신과 함께> 저승편을 통한 저승관과 일반적인 한국인의 저승관을 통해 저승이라는 곳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한번 환기하게 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핵심어: 웹툰, 신과함께, 원소스멀티유즈, 지옥, 저승관 □ 접수일: 2022년 1월 24일, 수정일: 2022년 2월 7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고려대학교 글로벌언어문화학 박사과정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Korea Univ., Email: eunsol0403@naver.com) Korean Afterlife as Shown in Webtoon <Along with The Gods>Eunsol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ven hells in the webtoon <Along with the Gods> ‘The Underworld’ and the view of the underworld through the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hells such as snow hell and poisonous hell that are very similar to the actual original drawings of the total of 7 hells appearing in the webtoon <Along with the Gods> ‘The Underworld’, but most of them compare the original drawings to create a space called hell suitable for the present age. It was expressed well in a more clear and understandable way. Second, the view of the underworld from ‘Along with the Gods’ ‘The Underworld’ was well reveale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rough the character ‘Kim Ja-Hong.’ As such,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once again awaken awareness of the underworld through the underworld through <Along with The Gods> and the general view of the underworld of Koreans. Key Words: Webtoon, Along with The Gods, One Source Multi Use, Hell, The Underworld

      • 케이팝(K-Pop)의 현황과 국내 음악콘텐츠의 미래

        이은솔,이우창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

        디지털시대에 접어들면서 세계 음반 산업은 꾸준히 규모가 줄어들었고, 2015년에는 음원매출이 음반매출의 규모를 뛰어넘게 되었다. 또한 유튜브(Youtube) 등의 동영상 사이트의 발전을 통해, 막대한 자본과 마케팅 없이도 음원의 해외수출이 용이해지게 되었다. 국내 음악콘텐츠 가운데서도 케이팝(K-pop)음악 산업의 흥행이 신한류(新韓流) 현상의 주역으로 떠올랐지만, 비슷한 아이돌 댄스음악으로 획일화 된 장르 특성상의 한계로 인해 2-4년 안에 수명이 다 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나왔고, 실제로 현재 케이팝의 전망이 좋지 않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케이팝 장르의 전반적인 특징과 케이팝 음악 산업의 부정적인 전망의 원인을 분석하고,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성공적인 사례인 미국 힙합의 세계화와 인도 발리우드 음악의 성공에 빗대어 국내 음악콘텐츠의 장기적인 세계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로 한다.

      • KCI등재

        과도한 책임감과 강박적 확인행동의 관계에서 불안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이은솔,장혜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 Vol.20 No.3

        This study examined potential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anger suppress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inflated responsibility and compulsive checking behavior. Specifically,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ated responsibility and checking behavior would be mediated by state anxiety and anger suppression. Participants were 138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a s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 inflated responsibility, state anxiety, anger suppression, and checking behavior. Mediation models were analyzed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followed by bootstrapping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pathways, and the dual mediation model was tested using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ate anxiety and anger suppress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nflated responsibility and compulsive checking in each simple mediation model. However, when both state anxiety and anger suppression were included in the model simultaneously, only anger suppression emerged as a significant mediator of the effect of inflated responsibility on checking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과도한 책임감이 강박행동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두 가지 부정정서, 즉 불안과 분노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과도한 책임감과 확인행동의 관계에서 상태불안과 분노억제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38명(여성 64.5%, 남성 35.5%)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과도한 책임감, 상태불안, 분노억제, 확인행동을 측정하였다. 매개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bootstrapping 방식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이중매개모형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과도한 책임감이 상태불안을 통해 확인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경로와 분노억제를 통해 확인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경로 각각이 모두 유의하였다. 그러나 상태불안과 분노억제를 동시에 포함한 이중매개모형에서는 상태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 임상적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남도잡가 보렴에 나타난 불교와 민간신앙의 습합 양상

        이은솔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1

        By focusing on the performance troupe called Sadangpae, which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derivation of Namdojapga <Boryeom> and their performance called Panyeombul,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transmission of <Boryeom>, referred to as Namdo Panyeombul, and the cause of the Buddhist character appeared in <Boryeom>. Also, it aims to examine syncretism between Buddhism and folk religion in Namdojapga <Boryeom> by review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exts and progress of the melody of <Boryeom>. <Boryeom> is a musical piece recreated as Namdo-style Panyeombul with Namdo’s music grammar as Panyeombul, Buddhist prayer chanting of Sadangpae, is separated and accepted by Namdo Sadangpae. It shar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ext of Panyeombul in Gyeong-Seodo. <Boryeom> is meaningful because it retains the characteristics of Pamyeombul which was sung and popularized by Sadangpae in the past whose transmission has been currently cut off. In this paper, by reviewing the narrativ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Namdojapga <Boryeom>, it is confirmed that Buddhism and folk religion were mixed in various aspects. In Korean society, religious syncretism between Buddhism and folk religion is a unique Korean religious culture by Buddhism’s traditional idea of tolerance and Korean people’s intrinsic sentiment and a great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that pursues public Buddhism. In short, unlike other Japga, <Boryeom> is valuable in that it has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day, retaining the Buddhist color of Sadangpae and the aspect of syncretism between Buddhism and folk religion. 본고는 남도잡가 보렴의 파생과 관련을 보이는 사당패라는 연행집단과 이들이 연행했던 판염불에 주목함으로써, 남도 판염불이라 일컬어지는 보렴의 전승과 보렴에 나타나는 불교적 성격의 원인을 규명하고, 보렴의 텍스트와 선율진행 등의 음악적 특징을 함께 검토하여 남도잡가 보렴에 나타난 불교와 민간신앙의 습합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보렴은 사당패들의 불교 축원염불 소리인 판염불이 떨어져 나와 남도 사당패들에게 수용됨으로써 남도의 음악 어법을 갖는 남도 스타일의 판염불로 재창출된 악곡이다. 보렴은 경ㆍ서도 판염불의 사설 구조와 텍스트를 공유하며 현재는 전승이 끊어진, 과거 사당패들에 의해 성창된 판염불의 특성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곡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는 남도잡가 보렴의 사설과 음악적 특징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불교와 민간신앙이 다양한 양상으로 혼효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사회에서 불교와 민간신앙의 종교적 습합은 불교의 전통적 포용 사상과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가 이루어낸 독특한 한국적 종교 문화이자, 민중 불교를 지향하는 한국 불교의 커다란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보렴은 여타 잡가와는 달리, 사당패의 불교적 색채와 불교와 민간신앙이 습합된 양상을 띠며 현재까지도 잘 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