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 췌장염의 중증도 예측

        유송이 ( Song Yi Yu ),이윤채 ( Yun Chae Lee ),김성훈 ( Seong-Hun Kim ),이승옥 ( Seung Ok Lee ) 대한췌장담도학회 2021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6 No.3

        급성 췌장염은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환으로, 발병 초기 2주내 기관부전으로 인한 사망과 이후 몇 주 혹은 몇 달 후 기관부전과 국소 합병증의 문제로 사망하는 두 개의 국면을 보인다. 중증 급성 췌장염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임상 평가 및 다원적 평가 척도, 영상 검사 및 분자 혈청 검사가 있으나, 현재가장 우월하게 급성 췌장염의 중증도를 예측하는 척도와 검사가 없고, 사망의 시기를 구분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향후 대규모 연구를 통해 사망의 시기 및 예후를 예측하는 평가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Acute pancreatitis has two mortality peaks, which occurs within the first 2 weeks due to organ failure and then weeks or months later as result of multi-organ failure and local complications.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clinical and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measures, imaging tests, and serological tests proposed to forecast severe acute pancreatitis, there is still no single test available to reliably predict the disease severity and time of death. Future large-scale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an assessment scale that can accurately predict the prognosis and mortality risk of severe acute pancreatitis.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21;26(3):168-175

      • KCI등재

        해외 자생식물추출물이 Streptococcus mutans의 세포 성장 및 생물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

        문경훈(Kyung Hoon Moon),이윤채(Yun-Chae Lee),김정남(Jeong Nam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6

        화학적으로 합성된 물질들이 주로 구강 위생 제품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 물질을 장기간 사용 시, 내성 발생이나 알레르기, 치아변색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물로부터 유래된 항균 물질의 사용과 이러한 항균 물질들의 탐색을 위한 노력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Streptococcus mutans의 성장과 생물막 형성을 저해하는 해외 자생식물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는 총 300종의 해외 자생식물 추출물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 Chesneya nubigena (D. Don) Ali 추출물이 S. mutans에 대한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clear zone, 9 mm; MBC, 1.5 mg/ml). 또한, 19종의 식물추출물이 농도에 비례적으로 S. mutans의 생물막 형성량을 최소 6배 이상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C. nubigena (D. Don) Ali 추출물은 1.25 mg/ml의 낮은 농도에서부터 효과적으로 생물막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C. nubigena (D. Don) Ali 추출물이 S. mutans의 생육 성장과 생물막 형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본 식물추출물이 충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 대체재 개발의 후보 소재로써 평가된다. Chemically synthesized compounds are widely used in oral hygiene products. However, excessively long-term use of these chemicals can cause undesirable side effects such as bacterial tolerance, allergy, and tooth discoloration. To solve these issues, significant effort is put into the search for natural antibacterial ag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xtracts of foreign native plants that inhibit the growth and biofilm 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Among the 300 foreign plant extracts used in this study, Chesneya nubigena (D. Don) Ali extract ha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relatively against S. mutans with a clear zone of 9 mm when compared to others. This plant extract also showed anti-biofilm activity and bacteriostatic effect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1.5 mg/ml). In addition, the plant extracts of 19 species decreased the ability of S. mutans to form biofilm at least a 6-fold in proportion to the tested concentrations. Of particular note, C. nubigena (D. Don) Ali extract was found to inhibit biofilm formation at the lowest concentration tested effectively. Therefore, our results reveal that C. nubigena (D. Don) Ali extract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substitutes, which might be effective for caries control as well, as demonstrated by its inhibitory effect on the persistence and pathogenesis of S. mutans.

      • KCI등재

        Streptococcus mutans의 전사체 분석과 독활 추출물로부터 활성 성분 분리

        이현정(Hyeon-Jeong Lee),강다영(Da-Young Kang),이윤채(Yun-Chae Lee),김정남(Jeong Nam Kim) 한국생명과학회 2023 생명과학회지 Vol.33 No.7

        식물 천연추출물에서 항균력을 갖는 활성 물질을 분리하고 이를 구강 건강 관리 제품에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독활과 우방자로부터 추출한 복합 화합물에 대한 구강 감염균인 Streptococcus mutans의 특정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하여 항균 기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사체 분석 결과, 두 가지 천연추출물에 의해 다양한 대사 및 생리 작용과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이 공통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유전자(SMU_1584c, SMU_2133c, SMU_921)는 공통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으며, 특히 이 중 SMU_921 (rcrR)은 두 가지 sugar phosphotransferase system (PTS)의 전사 활성자로써 당원의 수송과 생물막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방자 추출물에 비해 다수의 유전자 발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독활 추출물의 성분 분석을 진행하였고, 활성 분획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GC-MS)을 통해 두 가지 활성 단일 물질을 동정하였다. 물질 분리 과정에서 여러 유기용매 분획 중 hexane층(ACEH)의 항균 활성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다양종 미생물 군집을 사용한 실험결과, S. mutans에 대한 ACEH의 항균 특이성이 관찰되었으나, 상대적으로 S. sanguinis와 S. gordonii의 생균수도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독활 천연추출물의 광범위한 항균 활성을 시사하며, 동정한 단일 물질의 항균 기작을 분석하여 맞춤형 항균 소재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plant natural extract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 in oral health care produ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mechanism by analyzing the changes in gene expression of Streptococcus mutans, a major oral pathogen, in response to complex compounds extracted from Aralia continentalis and Arctii Semen using organic solvents. Transcriptome analysis (RNA-seq) revealed that both natural extracts commonly upregulated or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various genes associated with different metabolic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Three genes (SMU_1584c, SMU_2133c, SMU_921), particularly SMU_921 (rcrR), known as a transcription activator of two sugar phosphotransferase systems (PTS) involved in sugar transport and biofilm formation, exhibited consistent high expression levels. Additionally, component analysis of the A. continentalis extract was performed to compare its effects on gene expression changes with the A. Semen extract, and two act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throug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alysis of the active fraction. The n-hexane fraction (ACEH) from the A. continentalis extract exhibited antibacterial specificity against S. mutans, leading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viable cell counts of Streptococcus sanguinis and Streptococcus gordonii among the tested multi-species bacterial commun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broad-spectrum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A. continentalis extract and provide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antimicrobial materials by elucidating the antibacterial mechanism of the identified active comp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