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공부의 변경과 관련한 처분성에 관한 연구

        이윤정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江原法學 Vol.61 No.-

        Previously, the court did not recognize the registration of the cadastral record as a disposition on the grounds that the cadastral record such as the land register was intended to be used as data for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ive affairs execution and the factual evidence, and that the registration did not cause any change in the actual rights to the land concerned. However, since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April 22. 2004 en banc of the Supreme Court, the scope of recognition of disposition for the registration and alteration of public books and the refusal of applications to do so has been extended. Recently, other entries, such as area, boundary, parcel number, owner’s name, etc., has been discussed in addition to Land category and purpose of the building. The above ruling acknowledged that the rejection of the application for the change of Land category was a disposition, citing that the Land category was “closely related to the owner’s actual right as a precondition for exercising ownership properly.” However, the ruling did not clarify what it meant specifically by “closely involved in the substantive rights” and to what extent the entries in the public books were closely involved in the substantive rights. In my opinion, It is understood that demanding ‘directly affect the obligations of rights’ as a token of the concept of disposition is necessary to some extent to prevent unnecessary However, the concept of ‘the effect on the obligation of rights’ is too vague and by making the scope of the object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to uncertainty, it is to shift the responsibility of judgment on whether it is subject to relief to the public. Therefore, unified and consistent standards should be presented in this regard. The ‘right’ here shall not limited to the substantive content of the private right of ownership but shall mean rights in relation to public law, including the availability of land, the scope of tax burden, etc.. And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the change in these rights has a practical effect. However, since there is a civil suit called a boundary-setting lawsuit for the application for a change in the boundary among the cadastral records,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boundary dispute to be resolved at once by civil litigation rather than by administrative litigation. 토지대장 등의 지적공부는 행정사무집행의 편의와 사실증명의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일 뿐 그 등재행위로 인하여 당해 토지에 대한 실체상의 권리관계에 아무런 변동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지적공부의 등재행위의 처분성을 부정하는 것이 종래 판례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지적공부 소관청의 지목변경신청 반려행위를 행정처분으로 인정한 대법원 2004. 4. 22. 선고 2003두9015 전원합의체판결 이후로 공적 장부의 다른 여러 기재사항에 대해서도 그 처분성이 문제 되고 공적 장부의 등록 및 변경행위 및 이에 대한 신청의 거부 행위에 대해 처분성을 인정하는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나 여전히 부정하고 있는 판례도 있어 처분성이 인정되는 범위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위 전원합의체판결은 지목이 소유권을 제대로 행사하기 위한 전제요건으로서 소유자의 실체적 권리관계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이유로 지목변경신청 거부행위의 처분성을 인정하였지만 권리관계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슨 의미인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전원합의체판결 전후로 공적 장부의 기재ㆍ변경의 처분성이 쟁점이 된 판례를 검토한 결과 위 전원합의체판결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은 아직 처분성의 요건으로 요구하는 ‘권리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대해 완전히 입장을 변경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판례가 처분성의 개념 요건으로서 ‘권리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을 요구하는 것은 행정소송법 규정에 없는 요건을 추가로 요구하여 항고소송 대상의 범위를 축소시키는 것이긴 하나 항고소송의 불필요한 확대를 막기 위해 어느 정도 필요한 요건으로 이해된다. 다만 그 개념의 모호함은 행정소송의 대상 범위를 불확실하게 만들어 구제대상여부에 대한 판단의 책임을 국민에게 전가하는 것이므로 일관된 기준이 제시되어야 하며 지나치게 협소하게 해석ㆍ적용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위 전원합의체판결과 최근의 판례의 경향 상 ‘권리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을 처분성의 요건으로 요구할 때 ‘권리관계’의 의미는 사권인 재산권뿐만 아니라 건축적합성과 같은 토지의 이용가능성, 토지 이용에 대한 공적 규제, 과세 부담의 범위 등과 같은 공법상의 권리의무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 ‘영향을 미친다’의 의미는 어떤 행위의 일반적 법적 효과로서 권리변동을 일으키는 것뿐만 아니라 사실적, 경제적 측면에서의 권리행사의 가능성을 포함하여 경험상 권리행사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이를 지적공부의 기재사항의 변경과 관련해서 보면, 지적공부의 기재사항들은 특히 소유권 등 토지에 대한 재산권의 범위, 행사, 교환가치 및 토지의 이용에 관한 공법적 법률관계와 모두 관련이 깊은 사항으로서 그 기재사항의 기재 및 변경 여부에 따라 공법상의 권리의무 및 재산권에 법적, 사실적, 경제적 영향이 미치므로 원칙적으로 모든 지적공부 기재 및 변경에 관하여 처분성을 긍정하여야 한다. 다만, 지적공부의 기재사항 중 경계의 변경ㆍ정정과 관련해서는 인접 토지와 경계분쟁이 있는 경우에는 경계확정소송 등을 통해 경계에 관한 사적인 분쟁을 해소한 후 이에 대한 경계변경ㆍ정정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환자의 임종을 겪은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이윤정,박지솔,김태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사가 환자의 임종을 겪게 되면서 어떤 경험 을 하는지 탐구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밝혀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고, 호스피스 완화의 료 현장에서 미술치료를 경험한 6명의 미술치료사를 연구참여자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5 개의 본질적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고,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환자와 환자 가족의 마지막 추억을 공유함’, ‘삶의 끝에서 창작하는 환자의 증인이 됨’, ‘죽어가는 환자의 모 습이 충격적이고 두려움’, ‘의료진들 사이에서 미술치료사로서 개입태도에 대해 고민함’, ‘삶과 죽음에 관한 성찰을 하게 됨’이다. 이처럼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이라는 특수한 임상 장면에 서 환자의 임종을 겪은 미술치료사들은 당황스러움 속에서도 인생의 마지막 시간을 잘 보낼 수 있도록 돕고 싶어 애쓰고 환자와 가족 사이에서,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서 갈등을 반복하며 삶과 죽음에 관한 성찰을 하는 미술치료사로 성장한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환자의 임종을 겪게 된 미술치료사의 경험을 통해 앞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의 체계적이 고 전문적인 교육과 슈퍼비전이 필요함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who observe patients on their deathbeds and identifie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 to understand them in detail. To this end,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Participants in the study comprised six art therapist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in hospice palliative care. Five essential themes and 14 sub-themes are derived from the data; the essential themes are as follows: “Sharing the last memori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Being witness to patients who attempt to create at the end of their lives,”“Shocked and fearful of patients dying,” “Worrying about when to intervene as an art therapist among medical staff,” and “Contemplating on life and death.” In the special clinical field of hospice palliative care, art therapists who stayed at patients’ deathbeds felt embarrassed but managed to help them in their final moments, wondering about their conflicting role between patients and families and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staff and, thus, growing up as art therapists who contemplate on life and dea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art therapies who observed patients on their deathbeds led to the conclusion that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supervision are needed in the field of hospice palliative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