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영향

        전현수(HyunSooJeon),이용현(YongHyunLee),권성호(SungHoKwon)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3

        본 연구는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성별, 종목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자아존중감, 자기구실 만들기의 성향을 살펴보고, 성취목표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 시·도 소재 체육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운동선수 312명을 선정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자기구실 만들기,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개념적/통계적 검토를 거처 각 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기초통계량,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숙달접근목표성향과 수행접근목표성향은 행동적 자기구실 만들기에 부적인 영향을, 수행회피목표성향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접근목표성향은 언어적 자기구실 만들기에 부적인 영향을, 숙달회피목표성향과 수행회피목표성향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행동적·언어적 자기구실 만들기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positional tendencies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steem and self-handicapping, and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esteem on self-handicapping among athletes from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s. A total of 312 P.E. high-school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Athletes were choses from all the provinces in Korea. The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is study includes: 1) Self-Handicapping Scale 2) 2x2 Achievement Goals Questionnaire for Sport 3) Rosenberg Self-Esteem Inventory. Specificall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stery- approach goal had negative effect on behavioral / claimed self-handicapping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had negative effect on behavioral self-handicapping. On the other hand, mastery-avoidance goal had positive effect on claimed self-handicapping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had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 claimed self-handicapping. Third, self-esteem served as a negative effect on behavioral / claimed self-handicapping.

      • KCI등재

        무용표현력의 구성요인 탐색

        강혜원(HyeWonKang),이용현(YongHyunLee),박승하(SeungHaPark)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6

        무용표현력은 무용수행의 궁극적인 목적인 미적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능력이다. 본 연구는 무용수행과 관련된 개념의 구조화와 무용수행의 향상을 위한 심리요인 탐색의 여러 선행 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표현력’ 요인을 좀 더 심도있게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93명의 무용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통해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작표현기술, 외적표출능력, 창의적 사고력, 표현열정의 네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총 52문항으로 구성된 무용표현의 결정요인에 대한 예비문항을 작성하여 2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을 통해 5문항을 삭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2문항 중 35문항이 삭제되어 최종 4요인 17문항이 선별되었다. 4요인 17문항에 대한 요인 모델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201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대체로 양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무용표현을 결정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해 무용에서의 표현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Dancing expressiveness is a key ability for artistic activities in danc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further the expressiveness factors to be known in the several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dance performance. For the research, the inductive analysis were accomplished by the open-ended survey. As the result, the 4 factors are derived such as motion expression skill, outward expression ability, creative thinking, and the passion of expression. Based on the facts, 52 items were made for the major factors of dancing expression,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has been fulfilled to 200 dancers were surveyed through the item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fter deleting 5 items. Therefore, 35 items were erased among 52 items, finally 4 factors and 17 items were selected. As the result to request the survey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201 dancers in order to confirm the goodness of fit of factor model about the 4 factors and 17 articles, the goodness of fit on the final model would be satisfied. In conclusion, this research would be the basis to evaluate a expressiveness in dancing though wide understanding several factors to be decided in dancing express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