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디자인의 새로운 접근 방법 개발 연구

        이용숙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4

        이 연구에서는 교수들이 자신의 수업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디자인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디자인의 사례와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지인류학에서 개발된 원인연쇄(causal chains) 분석을 교수들의 수업분석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개발하였다. 이를 Fink(2003)가 개발한 통합적인 12단계의 수업디자인 모델과 연계하여 수업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처럼 재개발한 수업분석법과 수업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수 자료를 개발하여, 교수법 연구모임과 10여 차례의 워크숍 및 연구자의 수업에서 적용하면서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수정․보완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두 부분으로 제시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 수업디자인 과정에 연계시킨 수업분석방법 중 특히 중요한 ‘원인연쇄분석’ 방법을 연수 자료로서 재개발한 결과를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다음에는 연수용 자료로서 재개발한 12단계의 수업디자인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의 절차를 더 구체화하면서 수업에 대한 교수의 참여관찰 결과와 학생 피드백 내용분석, 원인연쇄분석, 결정표 분석, 수업 중 실제학습시간분석 등의 수업분석방법들과 연계시키고, 실제 수업 디자인 사례를 함께 제시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디자인 방법 및 수업분석법 연수 자료는 앞으로 박사과정에서 교수법 강좌를 운영하게 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교수와 대학원생을 위한 교수법 워크숍을 운영하게 되는 경우에 교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교대와 사대의 교수법 관련 강좌에서도 수업분석 방법이나 수업디자인 방법에 대해서 지도할 때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approach in designing a course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teaching. For this purpose, ‘causal chain analysis’ created in cognitive anthropology was redeveloped to be used for the analysis of teaching. In order to create a new approach in designing a course, this redeveloped causal chain analysis was linked to the Fink(2003)'s 12 phases of designing college courses. An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material of this new approach. After producing initial materials, the researcher organized a teaching circle with ten other professors in the same university and conducted ten workshops for teachers, professors,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During the workshop, participant observation, informal interviews and brief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get feedback from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feedback, new cases to apply these methods were developed and the training material was improved. The researcher applied causal chain analysis and the process of designing courses for the improvement of her own courses, and developed the processes of the self-improvement of teaching. The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causal chain analysis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during the process of the analysis. Diverse examples of using the analysis to solve problems or to improve teaching were discussed to show how enormous the potential of the causal chain analysis is. The procedure of designing college courses i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use of case of actual course development.

      • Analyse de l'Univers Tragique de Racine a Travers les Adjectifs Qualificatifs

        李容淑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77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30 No.-

        Racine는 그의 작품 전체를 통해 3,000 이하의 어휘만을 사용하였고, 또 그 중에서도 어느 漢정된 숫자만이 자주 제시되고 있다. 그의 작품을 대할 때마다 특별히 그 빈번도로 인해 우리에게 자극적으로 느껴지는 어휘들은 슬픈(triste), 숙명적인(fatal), 치명적인(funeste) 같은 품질 형용사들이다. 그리고 바로 이 품질 형용사들이 Racine의 비극 세계의 모든 측면을 시적으로 다양하게 수식해 주고 있다. La Thebaide 부터 Phedre 까지의 9개의 비극 속에 나오는 모든 품질 형용사를 뽑아 그 형용사들이 수식하는 명사들과 함께 여러 관점에서 정리해 놓고, 다시 각기 다른 주제에 따라 간단한 도표식으로 형용사들을 묶어 보았다(-37명의 전체 주인공들의 성격을 표시하는 형용사들, -마음(cœur)과 영혼(ame)을 수식하는 형용사들, -감정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형용사들, -각 비극 속에서 가장 많이 반복되는 형용사 등…). 이렇게 정리된 형용사들을 통해 작가 자신이 말하는 그의 <장엄한 비애(tristesse majestueuse)>의 세계를 3 단계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첫째로, 이 세계에서의 시간과 공간을 한정해 보고자 했다. Racine가 택한 24 시간은 숙명적인 하루 동안의 고통스럽고(douloureuse) 불행한 (funeste) 순간이 된다. 고대 희랍이나 로마 또는 터키의 궁궐이 되는 이 비극 세계 속에서 장소들은 그 배경의 고귀함에도 불구하고, 어둡고 불행스러운 분위기로 주인공들에게는 역시 불길한 (funeste) 곳이 된다. 둘째로, 주인공들의 성격, 출생, 외형적인 특징 그리고 감정의 움직임들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여러 비극을 통해 계속 가장 많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26개의 형용사를 모아 이 비극 세계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정돈해 보았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일상생활의 모든 일들의 속박에서 벗어나 있는 이 세계의 인간들은 그 육체적인 조건에서도 벗어나 있어 외형적인 모습은 거의 서술되어 있지않다. 아름답다(beau)는 형용사 하나만이 눈, 손, 몸 등에 연결되어 제시되었을 뿐 구체적인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그들의 육체는 대부분의 경우 내적인 감정의 움직임들의 상징적인 표시 방법으로서만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세계에서의 기본 관심사는 인간의 마음 자체인 것이다. 행복을 갈망하면서 그들의 힘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엄청난 불행 속에서 싸우고 있는 인간의 마음만이 집중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인간의 마음과 영혼을 수식하는 수 많은 형용사들의 풍부함과 다양성이 이 세계의 특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주인공들의 성격, 감정 그리고 각 비극 속에서의 분위기 등, 어느 관점에서 보던 계속 존재하는 두 상반되는 경향의 존재성이다. 한편으로 아름다운 것과 위대한 것 그리고 행복에의 절실한 소망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잔인한 것과 죄악스러운 것 그리고 불행으로 이끌어 가는 거역할 수 없는 본능들이 있다. 작품 전체를 통해 가장 많이 반복되는 26개의 형용사 중 그 빈번도에 따라 다시 3등분하여 얻게 된 마지막 단계의 7개의 형용사들이 그 점을 단적으로 제시해 준다. 빛과 행복 그리고 선을 상징하는 편에 <아름다운>과 <행복한>의 형용사가 있고, 어둠과 불행 그리고 악을 상징하는 그 반대편에 잔인한(cruel), 숙명적인(fatal), 치명적인(funeste), 슬픈(triste), 불행한(malheureux) 등의 5개 형용사들이 있다. 이 형용사들의 용법 분석에서 2가지의 비극적인 요소가 나타나다. 첫째로 극적인 상황면에서 보면, 이 세계에서는 언제나 잔인하고 강압적인 인간들이 착하고 순수한 사람들을 지배하게 되어 있고, 둘째로 개개인의 심리적인 면에서 보면, 인간의 본능 속에는 분명 손하고 순수한 면이 있으나, 그것은 거기 또 한편에 자리잡고 있는 악의 힘을 제거할 만큼 강하지 못하다. 결국 많은 약점을 지니고 있는 인간에게 모든 것이 비극적으로 결말지게 되는 데에는 또 하나의 원인이 있다. 그것은 인간이 악을 범하게 됨을 방관하고 그 후에는 그를 벌주는 신들, 또 인간이 저지른 죄의 대가를 그 자손들에게까지 대대로 치르게 하는 잔인한 신들의 간섭이다. 이 세계의 필연적으로 어둠과 불행의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빛과 행복은 인간의 소망 속에 그리고 과거 속에만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신은 숨은 채로 묵묵히, 인간에게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고, 강하면서도 약하고, 또 위대하면서도 비참한 인간은 두 상반되는 힘의 사이에서 고통을 겪다가 죽음의 길로 행하게 되는 것이다.

      • 孤山의《漁父四時訶》硏究

        李容淑 군산대학교 1985 群山水産專門大學 硏究報告 Vol.19 No.2

        As Kosan stands foremost among poets decorating the closing of p'yongsijo(平時調) in the Choson Dynasty, his greatness goes without again saying. His sijo sends forth a deep fragrance at ?busasisa (漁父四時詞) by brightly flower blooming in Ouga(五友歌). But there is something yet to learn about ?busasisa, Through these studies, I have concluded as follwos as possible means making a comparative study among (1) transmission and thought, (2) forms of poetry, (3) a word class and colour, and (4) Nong-am(聾岩) about ?busasia of Kosan. His sijo traces a ?buga(漁父歌) of Sogyo(俗謠) to its origin, is succeeded from ?buga and ?budan-ga of Nong-am, and is root Muwijayon(無爲自然) and Kanghogado(江湖歌道) in the Taoism. The forms of poet seems characteristics of ?buga difficult seeing as sijo. Also as it seems to elevate the frequency number of noun at a word class, I do not spare any efforts objective description natural sconce. On the one hand Nong-am is a center of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on the other hand Kosan makes effective use of the Korean language beauty by natural disposition of prper language. Also the former is fisher in conception, the latter is fisher in practice. The former mainly does partial affirmation, the latter perfect negation of an out-and-out psychological expression. Father, the writer will continue to research the over all of the Kosan's poetry, and make every effort to lighten current illumination on classic literatures.

      • 俗謠의 餘音에 관한 硏究 : 類型과 機能을 中心으로

        李容淑 군산대학교 1984 群山水産專門大學 硏究報告 Vol.18 No.2

        Among the Korean ancient poetry, a genre with the most various and abundant refrains is Sok-yo. Examining the existing study, and defining conception, this study chiefly researched the type and function of refrain. According to component, the type of refrain could be classified into exclamation, onomatopoeia and vocal sound, and according to form, into repeated phrase, nak-ku (the last line of poem) and cho-hung (raising interest). The role functions which a refrain has in a poem are ① the structural function, such as the begining, the seperation and the close, ② the interesting function which raise interest and ③ articulatory function which hamonize a rhythm. This study will be the foundation for the synthetical research of any work to try to analyze the form and contents of poetry as a bundle of organic structure. Futher, the writer will continue to research the over all of the ancient poetry, and make every effort to lighten current illumination on classic literature.

      • 우리나라에서의 기초 불어 교육에 관한 고찰

        李容淑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76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28 No.-

        L'enseignement du franCais I^er degree an Coree n'a malheureusement pas connu ce "renouvellement spectaculaire" don't M. Francis Debyser parle dans "Guide Pedagogique pour le professeur de franCais langue etrangere". Loin de la, nos jeunes eleves apprennent le franCais encore aujourdhui Presque comme il y a vingt ans: importance primordiale donnee a la langue ecrite, apprendre par Coeur des mots et des regles grammaticales, la preparation de l'examen d'entree a l'universite. La conception educative n'est donc point changee, et la nouvelle methodologie de l'enseignement y reste seulement comme quelque chose d'ideal mais irrealisable. La plupart de nos professeurs de franCais dans les lycees sont pleinement conscients de cette disproportion entre la theorie et la realization. Les reponses faites a notre enquete sur ces problemes nous prouvent clairement qu'ils voudraient bien vhanger et renouveler leur methode, mais les obstacles enormes a surmonter les decouragent et les fixent dans la position ou ils se trouvent. Avec le nombre actuel des eleves et des heures de cours, et surtout avec ces manuels de franCais, sanctionnes par le Ministere de l'Education, mais qui ont tous les defauts de la methode traditionnelle, il serait Presque impossible d'appliquer la nouvelle methode de lenseignement de la langue vivante et de la langue de communication. Il faudrait, il est bien temps, qu'on fasse quelque chose! Tout dabord, la preparation d'un nouveau manuel, adapte a la nouvelle conception de l'enseignement des langues vivantes. Tous ceux qui s'occupent de l'enseignement du franCais en Coree devront participer a ce travail qui ne peut etre accompli par une ou deux personnes, mais par la collaboration etroite entre les professeurs de differents lycees et de differeetes universities, approuvee et organisee par le Ministere de l'Education. Par la suite le Ministere devra sassurer de l'application de cette nouvelle method dans les lycees et aussi dans les universities sur le plan de l'examen d'entree. Le Ministere devra encore s'associer avec le Centre Culturel FranCais a Seoul, don't les stages organizes par le Bureau Pedagogique rendent deja de grandes services pour la formation des enseignants. Les recherches devront etre ensuite faites sur la pedagogie du franCais niveau 2 en Coree pour donner aux etudiants universitaires une connaissance suffisante de la langue avant d'aborder les etudes specialisees, litteraires ou linguistiques.

      • KCI등재

        ‘우수수업 상’ 수상 교수의 수업유형과 특성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용숙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수업관찰을 통하여, ‘성공적 대학수업’의 유형과 특징을 찾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특징을 대학생 및 교수, 교수학습개발센터 연구원이 인식하는 성공적 대학수업의 특징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이는 어떤 의미를 갖는 지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수수업 상’을 받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성공적 수업’이라고 판단된 50개 수업에 대한 서술적 관찰과 각 수업의 교수 및 학생 2-4명과의 면담, 그리고 대학생 156명 및 교수/연구원 74명 대상의 서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관찰결과를 수업구조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다시 더 단순화시킨 수업모형의 형태로 재분석하여, 16가지의 수업유형을 다음과 같이 찾아내었다. Ⅰ. 교수 중심 수업(5 가지). Ⅱ. 학생의 참여가 포함되는 교수 중심 수업(5 가지). Ⅲ. 교수와 학생 상호작용 중심 수업(6 가지). 이러한 연구의 결과 성공적 대학수업의 다섯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대학 수업의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college teaching in Korea. The research procedure is as follows: 1) I trained students of three classes to do narrative observation of teaching and interviews. 2) These students observed 50 classes of professors who either had received best teaching awards or were recommended as successful teachers by the teaching-learning centers of each university. 3) They also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and 2-4 students from each of these 50 classes. 4)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156 students and 74 professors and researchers. 5) Analysis of active learning time(time on task) during a class and analysis of structure of a class were conducted. 6) The structure of each class was re-analyzed and simplified to identify basic teaching models. As a result, the teaching procedure of 50 classes were classified into 16 models(5 to 6 models of these three types - 1) teacher-centered, 2) teacher-centered with a touch of interaction, 3) interaction-centered). Fiv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se classes were also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