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書經』「虞書 · 舜典」동후(東后)의 본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 빈례(賓禮)를 중심으로 -
이완영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4
본『서경(書經)』의 기록은 당요(唐堯)부터 중원의 초기 역사를 구성하는제왕(帝王)의 기록으로 주변국에 대한 기록이 서술되어 있다. 중원의 초기역사는 봉건제도의 틀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오례(五禮)에 대한 기록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그중 빈례(賓禮)는 제후가 임금을 뵙는 예인 근례(覲禮)의형태로써 이 기록은 주변국과의 외교 관계를 설정한 것이기에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서경』「우서 · 순전」의 기록에서 순(舜)이섭정하면서 초기에 행한 의례 속에 오례(五禮)와 주변국 간의 빈례(賓禮)가언급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관련 고대 의례로서 그 의미 파악에 접근하였다. 『서경』에는 동쪽 임금에 대한 기록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사근동후협시월 정일 동률도량형 수오례 오옥삼백이생일사지 여오기 졸내복肆覲東后協時月 正日 同律度量衡 修五禮 五玉三帛二生一死贄 如五器 卒乃復 본고는 중원의 요와 순임금 당시 동후(東后)의 존재를 고조선의 통치자로인식할 수 있다는 점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지금까지 『서경(書經)』은중원 초기 제국에 대한 역사기록이라는 입장에서 주변국에 대한 기록은 제후나 이적만융(夷狄蠻戎)의 시각으로 기술되거나 해석되었으나 본고에서는『주례(周禮)』,『의례(儀禮)』,『예기(禮記)』에 기록된 빈례(賓禮)를 통해서 『서경』「우서 · 순전」동후(東后)의 실체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동후 관련 원문을 빈례의 원형으로 새로이 재해석하였다. 중원의 고대 의례인 근례(覲禮), 즉 신하가 임금을 알현하는 예에 대한 기록을 살펴본 결과 순임금이 동순수(東巡狩)할 때 동후(東后)에게 근(覲)한 의례는 제후가 천자에게 올리는 의례로써 빈례(賓禮)의 근례(覲禮) 형태였다. 때문에 순임금이 동후를 만났다는 기록은 기존의 번역에서 일괄적으로 말하는 신하 ‘제후’를 만난다는 것이 아니라 순이 하현상(下見上)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뵙는 것이므로 순이 동쪽임금(東后)을 만나러 간다고 해석해야한다. 순과 동후의 만남은 고대 봉건제도 속 빈례의 근례(覲禮) 원형을 살필수 있는 중요한 기록으로 본고에서는 화이(華夷)사상을 배제한 동후와 순의빈례적 만남을 재해석함으로써 4천여 년 전 중원의 동부, 고조선의 예악과천문, 생활문화를 재조명하는 단초(端初)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사회 내부식민지 발현의 장(場)으로써 수도권 프로야구장
이완영 한국체육과학회 202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2 No.2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various discriminate perceptions felt by fans who had be born in local areas but liv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en they visited Jamsil Baseball Statidum and Gocheok Sky Dome located at Seoul is manifested by using the internal colony theory.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9 fans of Lotte, Kia and Hanhwa, who were from local areas and have lived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more than 1 year, from Apr. to Sep., 2022. The findings show that four kinds of discriminate perceptions among seven components of the internal colony theory were manifested. Specifically, first, the subordination provided by the hardware of the stadiums and the economic subordination phenomenon received from home fans from the Metropolitan area in stadiums appear as the factors of the economic subordination. Second, the cultural subordination derived from the difference in elegance between Metropolitan and local teams and the cultural scorn from provincial accents different from those used by home fans in watching games appear as the factors of cultural subordination and scorn. Third, the ‘discrimination’ of high schools located at the Metropolitan area in evaluating the academic backgrounds of fellow athletes visiting baseball stadiums and the concentration of athletes regardless of home and visiting teams were found as national elite monopoly factors.
한국사회 고교 야구선수 및 자원의 수도권 집중화 비판 : 내부식민지 이론을 중심으로
이완영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3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ntration of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and resourc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internal colonial theory.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9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parents, and leaders to conduct the stud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conomic capital support between parents in the "metropolitan area-local" stemming from the concentration of job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fou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elite monopoly, local elite baseball prospects we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ng inequality, KBO's amateur baseball support structure, in which the inequality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provinces" causes continuity, was found to be the caus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ubordination, a concentrated advanced baseball culture that can be experienced mainly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emerging. In conclusion, in order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concentration of high-altitude baseball players and resources in the metropolitan area, a compulsory KBO amateur baseball support policy considering the "metropolitan area-local" situation is needed, and a separate policy considering regional balance is needed.
프로 축구 팬의 사회 및 국가 인식이 축구 국가대표 의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완영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축구 팬들의 사회공정성, 사회신뢰성, 국가정체성 인식이 축구 국가대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2021년 2월 27일부터 4월 7일까지 서울, 수원, 전북에 위치한 프로축구 경기장 세 곳을 찾은 축구팬을 대상으로 총 39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35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최종 연구를 위해 사용한 표본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 면 첫째, 축구 팬의 사회공정성, 사회신뢰성, 국가정체성 인식이 국가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공정성과 국가정체성 인식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공정성, 사회신뢰성, 국가정체성 인식이 제도적 개인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공정성, 국가정체성 인식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공정성, 사회신뢰성, 국가정체성 인식이 선수 주관 적 개인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신뢰성 중 대인신뢰성과 국가정체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프로축구 팬들의 사회인식과 국가 인식이 축구 국가대표 의미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현대 사회상이 반영된 축구 국가대표 의미 담론 형성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how professional soccer fans' perception of social fairness, social reliability, and national identity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 national soccer team. From February 27 to April 7, 2021, 3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occer fans who visited three professional soccer stadiums in Seoul, Suwon, and Jeonbuk, and 356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samples used for the final study we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impact of soccer fans' social fairness, social reliability, and national identity perception on national valu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fairness and national identity perception. Second, social fairness, social reliability, and national identity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stitutional individual value. Third, the influence of social fairness, social reliability, and national identity perception on the subjective personal value of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iability and national identity among social reliabi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discourse on the meaning of the national soccer team reflecting the modern society by examining how professional soccer fans' social perception and national perception affect the formation of the meaning of the national soccer team.
포스트(Post) 동북공정, 중국역사교과서 고대 한반도북부 속국 표기 고찰 -한반도 북부는 漢, 魏, 晉 영역인가? -
이완영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6
‘통일적 다민족국가론(統一的 多民族國家論)’을 바탕으로 진행된 동북 3 성에 대한 동북공정은 단순한 고대 역사영역을 넘어 한국의 역사, 문화와 영토영역으로 확대되어 중화역사로의 속국사화(屬國史化)가 가속화 되고 있다. 이는 남북한과의 영토 외교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동안 동북공정은 언론을 통해 주로 고구려나 발해, 부여 역사를 중국 속국사로 왜곡한 것 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2022 베이징 올림픽에서 한복과 김치가 중국의 문화로 소개되는 것을 동북공정의 일면으로 알고 있다. 최근 신중화주의(新中華 主義)에 의해 정립된 동북공정 역사논리는 중국의 국정역사교과서에 그대로반영되어 기술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중국 국정교과서는 고대 역사의 한반도북부는 한(漢), 위(魏), 진(晉)의 역사영역으로 표기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중국의 국정 교과서에 기술된 한국의 고대역사에 한반도북부영역이 중국의 속국사 영역으로 표기된 내용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논리가 나온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동북공정에 관한 기존의 국내의 연구는 외부로 도출된 문제점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 동북공정으로 고조선과 고구려, 발해, 부여 영역을 중국의 속국으로 주장할 수 있는 중심논리는 “한반도 평양 낙랑군설”이다. 이는 한국학계에서그동안 주장해온 논리이다. 본고에서는 한(漢)의 낙랑군영역을 넘어 위(魏), 진(晉)의 역사영역으로 설정된 한반도 북부를 한국사의 영역으로 바로 잡기위해서 한국정부와 사학계가 동북공정을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과제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고수해온 “한사군, 낙랑군의 평양 위치 비정의 전면 재검토”와 동북공정 지도에 대응하여 올바른 한국사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한국 고대역사지도집 발간”, 그리고 일맥상통한 중국 동북공정과 일제조선사편수회의 반도사관을 제거한 “국사개정(國史改正)”안이 그것이다. Chinese Northeast Project for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n the basis of the unified multi-ethnic state theory was expanded to the history, culture and territory of Korea beyond the simple ancient history and has been accelerating the forgery of Chinese history that the territories around China were the subject countries of China. Such movement has high possibility to create the diplomatic issues on the territory against South and North Korea. It was widely known up to now that Northeast Project distorted mainly the history of Goguryeo, Balhae or Buyeo to the history of subject countries of China through media. Moreover, introduction of Hanbok and Kimchin in 2022 Beijing Olympics as a part of Chinese culture is also a part of Northeast Project. Reasoning of Northeast Project on the history established by the new Sinocentrism was reflected and described on the government designated history textbook of Korea as it was.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of China used in these days marked the nor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in the ancient history as the territory of Han, Wei and Jin dynas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reasoning abov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m of China describing the nor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in the ancient times as the territory of subject countries of China, and discussed the approach to solve the issue above. The existing researches on Northeast Project in Korea and abroad tended to focus on the clearly exposed issues. Reasoning for insisting the territories of Gojoseon, Goguryeo, Balhae and Buyeo as the subject countries through Northeast Project is the ‘insistence that Pyeongyang in Korean peninsula was Nakrang-gun’. It’s the reasoning that has been continuously insisted by the academic world of Korea. For correcting the history textbook of China describing the north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as the territory of Nakrang-gun of Han dynasty and furthermore, the territory of Wei and Jin dynasty as the territory of Korean peninsula, this study suggested the practical tasks for Korean government and the historical studies world of Korea to solve the issues of Northeast Project. The suggestions are ‘complete review on the location of Hansagun and Nakrang-gun in Pyeongyang’, ‘publication of Korean ancient history map’ that can acknowledge the accurate Korean history to the world against the Northeast Project map, and ‘revision of national history book’ eliminating Northeast Project of China and the peninsula historical view by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have a thread of connection each other.
환경포스터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요소가 정보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완영,정병국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예술디자인연구원 2024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환경포스터 디자인에서 다양한 시각적 표현요소가 정보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환경포스터 디자인에서 시각적 표현요소의 다층적 의미는 대중의 이해와 행동 패턴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타당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발신된 모든 정보가 유효한 것은 아니며, 잘못된 이해도 있을 수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국제 포스터 대회에서의 상위 수상작을 선정하여, 롤랑 바르트의 기호이론을 분석 기준으로 결합하여 시각 표현요소의 객관적인 의미작용 및 주관적인 의미작용 과정을 열거하고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와 실증연구를 통해 정보이해 과정에서 다양한 시각적 표현요소의 적용과 영향을 밝히고, 대중의 개인차 및 인지적 선호도가 정보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정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컬러, 타이포그래피는 정보의 중요한 매체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향후 환경포스터 디자인 시, 올바른 디자인 방향과 환경포스터 디자인의 이론적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derived result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termine how various visual expression elements in environmental poster design affect information understanding. The multi-layered meaning of visual expression elements in environmental poster design has a great impact on public understanding and behavior patterns.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there may be limits to validity in the process of receiving information, not all information sent is valid, and there may be misunderstandings. Therefore,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study, we selected the top award winners from various international poster competitions, combined Roland Barthes' semiotic theory as an analysis standard, enumerated the objective signification and subjective signification processes of visual expression elements, and derived analysis results. did. In addition, through surveys and empirical research, the application and influence of various visual expression elements in the information understanding process were revealed, and the impact of the public's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gnitive preferences on information understanding was studied. As a result of the study, images, colors, and typography played a role as important media of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information.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basis for correct design direction and environmental poster design when designing environmental poster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