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안중근의 가치관과 군인정신에 대한 연구

        이영찬 국방정신전력원 2024 정신전력연구 Vol.- No.77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안중근이 어떠한 가치관과 군인정신을 가지고 의병 활동을전개했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그러한 가치관과 군인정신 가운데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무엇인지 분석해보며, 셋째, 그가 발휘한 가치관과 군인정신을 갖추기 위하여 실천할 사항들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군의 전투력을 향상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안중근의 자서전인 ‘안응칠 역사’와 ‘동양평화론’, 그리고 그가 남긴 유묵과 공판기록, 당시 신문인 매일신보로 한정하여, 육군의 핵심가치인 ‘위국헌신, 책임완수, 상호존중’의 3대 요소와 군인정신의 6대 요소인 명예, 충성심, 용기, 필승의 신념, 임전무퇴, 애국애민을 가지고 분석했다. 그 결과 핵심가치에서는 세 가지 모두가, 군인정신에서는 명예, 용기, 애국애민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정의가 그러한 것들을발휘하는 근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안중근의 가치관을겸비하기 위해서는 매사 솔선수범이 필요하고, 주어진 임무는 끝까지 완수하며, 칭찬・ 격려・감사의 표현을 생활화하고, 군인정신에서는 공명정대하고, 실패를 두려 하지 않고 도전하며, 인근 주민의 어려움을 도와주어야 한다. 정의는 정직하고 신의가 있으며, 도덕과 규범을 준수하고 불의에 맞서는 용기를 가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amine what values and soldier spirit Ahn Jung-geun developed in his volunteer army activities; second, to analyze which of those values and soldier spirit were most evident; and third, to examine the values and soldier spirit that he displayed. Ultimat-ely, it aims to improve the military’s combat power by suggesting things to practice in order to have these values. The research method is limited to Ahn Jung-geun’s autobiography, ‘Ahn Eung-chil History’ and ‘Eastern Peace Theory’, as well as the ink and trial records he left behind, as well as Maeil Shinbo, a newspaper at the time, and the Army’s core values of ‘dedication to the country, fulfillment of responsibility, and mutual respect’. It was analyzed using the three major elements of military values and the six major elements of military value : honor, loyalty, courage, belief in sure victory, non-retirement in battle, and love for patriotism. As a result, all three core values stood out, and honor, courage, and love for patriotism stood out in the military valu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justice acts as a source of such things. Therefore, in order to have these values of Ahn Jung-geun, one must lead by example in everything, complete a given mission to the end, help comrades in need, be fair in military spirit, take on challenges without fear of failure, and help the residents in their difficulties. Justice must be honest and faithful, adhere to morals and norms, and have the courage to stand against injustice.

      • 새누리당 보육 및 보육교사에 대한 정책방향 보육교사 처우개선

        이영찬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지 Vol.2012 No.춘계

        □ 기본 방향 ?이제 더 이상 ‘내 아이’, ‘네 아이’가 아닌, “대한민국의 아이”로 키우기 위 한 국가책임 보육정책을 천명 - 새누리당은 국가의 미래를 위협하는 저출산에 대응하고, 아동 양육 부담 을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는 철학을 가지고 보육에 대한 국가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그동안 지원을 아끼지 않아 왔음 ?새누리당은 4.11 총선공약에서도 엄마의 마음으로 그리고 엄마의 입장에서 임신과 출산에서부터 양육까지 지원을 대폭 확대함

      • KCI등재

        군인정신의 역사적 고찰과 외국군의 정신과 비교연구

        이영찬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urture a strong army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ilitary spirit that has been passed down in history and the present or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ing development plans. We examine with comparison in this study the military spirit and training of human resources, the rules they must observe, and the underlying ideology at that time, and examine our history and the present military spirit, as well as that of the foreign military and ours. As a result, the military spirit in history ha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 of patriotism, emphasizing loyalty in common, emphasizing the training of human resources and disciplines, and the ideology and religion of the time have influenced the military spirit. It is similar to the foreign military,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target of loyalty is not only to the monarch. The common emphasis was on dedication to the country in comparing the past and present military spirit, and the rest were the mindset and attitudes to realize it. Compared with the spirit of foreign soldiers, they emphasized patriotism in common and honor and courage as qualities of a soldier. To practice the military spirit of devotion to the country, it was required to take the lead of commanders and educate on best practices, discover best practices, use publicity materials, and give periodic feedback on task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actual occurrence cases, generalize action plans through surveys, and analyze foreign military cases.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 속에서 이어져 온 군인정신과 현재 또는 외국의 군인정신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강한 군대를 육성하는 데 있다. 비교는 당시의 군인정신과 인재양성, 그들이 지켜야 할 준수사항, 근간이 된 사상 등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 역사와 현재의 군인정신, 외국군과 우리의 그것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역사 속에서의 군인정신은 호국정신과 밀접하여 연관되어 공통으로 충(忠)을 강조하고 있고, 인재양성과 규율을 중요시하였으며, 당시의 사상과 종교에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것은 외국군도 유사하나 차이점은 충(忠)의 대상이 군주로만 한정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과거와 현재의 군인정신을 비교하면 공통으로 강조한 것이 위국헌신(爲國獻身)이며 나머지는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마음가짐이나 태도였다. 외국군의 정신과 비교하면 공통으로 애국심을, 군인의 자질로는 명예와 용기 등을 강조하였다. 위국헌신의 군인정신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지휘관의 솔선수범과 모범사례의 교육, 우수사례의 발굴, 홍보물의 활용과 실천과제에 대한 주기적인 피드백 등이 요구되었다. 향후 연구의 방향으로는 실제 발현된 사례의 검증과 설문 조사를 통한 실천방안의 일반화, 그리고 외국군의 사례를 추가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유교적 앎의 사회학 방법론적 함의

        이영찬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1

        본 논문은 유교적 닮의 본질과 앎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유교적 앎의 방법론이 현대사회학 방법론에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교적 앎은 위기(爲己)적 앎, 수기(修己)적 앎, 체득(體得)적 앎, 실천(實踐)적 앎을 본질로 한다. 그래서 그것을 추구하는 방법론도 소위 과학적 방법과는 다르다. 유교적 방법론으로 두 가지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앎을 이루는 방법론’ 과 ‘앎에 이르는 방법론’이 그것이다. 전자의 방법론은 도심(道心)이 추구하는 것으로 ‘존심(存心)’ 과 ‘진심(盡心)’의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것은 자성(自省)과 자각(自覺)을 통해 인간과 사물의 본성(性), 원리(理)를 체득하는 방법이다. 후자의 방법론은 인심(人心)이 추구하는 것으로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 귀납 혹은 연역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견주어 아는 방법’ 과 ‘미루어 아는 방법 이 있다. 견주어 아는 방법은 박학(博學), 다문(多聞), 다견(多見)과 격물(格物)의 방법이다. 이것은 경험과 지식을 넓혀서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지식에 이르는 방법이다. 그리고 미루어 아는 방법은 자신의 경험을 미루어 일의관지(-以貫之)로 사물의 이치를 꿰뚫어 얻어지는 방법이다. 이것은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이치(理)와 외계 사물에 체현된 이치가 서로 응하여 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유교방법론이 현대사회학에 갖는 함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존재론적 차원에서 볼 때, 유교적 방법론에서 앎의 주체와 대상은 일치한다. 이것은 현대사회학에서 사회실재론과 명목론,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 등의 이원적 대립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2) 인식론적 차원에서 볼 때, 유교 방법론에서 사리(事理)와 심리(心理)가 일치한다. 이것은 경험론과 합리론의 괴리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3) 가치론적 차원에서 불 때, 유교 방법론은 체득에 의한 앎을 추구한다. 체득적 앎은 경험적 지식과 주관적 체험이 종합되는 지식을 추구하는데, 이것은 곧 사회학 지식의 타당성, 현실성, 유용성 문제를 극복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신경망 학습앙상블에 관한 연구 : 주가예측을 중심으로 A Case of Stock Price Prediction

        이영찬,곽수환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 지능정보연구 Vol.5 No.1

        In this paper, a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methods to combine predictions from neural networks will be given. These methods are bagging, bumping, and balancing. Those a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semble generalization error into an ambiguity term and a term incorporating generalization performances of individual networks. Neural Networks and AI machine learning models are prone to overfitting. A strategy to prevent a neural network from overfitting, is to stop training in early stage of the learning process. The complete data set is spilt up into a training set and a validation set. Training is stopped when the error on the validation set starts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networks is highly dependent on the division in training and validation set, and also on the random initial weights and the chosen minimization procedure. This causes early stopped networks to be rather unstable: a small change in the data or different initial conditions can produce large changes in the prediction.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apply the same procedure several times starting from different initial weights. This technique is often referred to as training ensembles of neural networks. In this paper, we presented a comparison of three statistical methods to prevent overfitting of neural network.

      • KCI등재
      • KCI등재후보

        3D 도면 제작 프로그램 및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영찬,김희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3D 도면 제작 프로그램 및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3D 도면 제작 프로그램 및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시는 발명 동기를 유발하는 활동, 2〜3차시는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4차시는 아이디어를 스케치하고, 5〜6차시는 3D 도면 제작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익히고 3D 도면을 그리는 활동으로 구안하였다. 7〜9차시는 3D 도면을 그리는 활동과 더불어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10차시에는 전체 수업 내용을 평가하고 각자의 발명품에 대한 발표 및 토의의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창의성 검사 결과 사전․사후 창의성 점수의 평균이 통계적 유의도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t(28)=7.51). 창의성 하위요소 중 개방성(t(28)=3.91, p<.01), 유창성(t(28)=4.75, p<.001), 융통성(t(28)=3.77, p<.01)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창의성 검사 결과 창의성 평균점수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 유의도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56)=2.06). 또한 창의성 하위요소 중 유창성(t(56)=3.13, p<.01)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D 도면 제작 프로그램 및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개방성, 유창성, 융통성을 신장시킨다. 또한 동일한 기간 동안 다른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 보다 3D 도면 제작 프로그램 및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이며, 창의성 하위요인 중 유창성을 신장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nvention program using 3D design and 3D printers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by using 3D design and 3D printers is composed of 10 periods. The 1st period is focused on motivation. The 2nd to 3rd periods are to make invention ideas. The 4th period is to draw a picture about invention ideas. The 5th to 6th periods are to learn about a 3D design program and to draw 3D designs. The 7th to 9th periods are to make an invention using a 3D printer. The 10th period is a wrap up activity with presentation of the inventions and exchanging of opinions about other's inventions. The Mean of creativity in posttest(75.7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mparison with the Mean of creativity in pretest(47.66) at the level of p<.001(t(28)=7.51). Among four sub factors of creativity, especially the Mean of openness(t(28)=3.91, p<.01), fluency(t(28)=4.75, p<.001), flexibility(t(28)=3.77, p<.01) was revealed to be increased by this program. The Mean of creativ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mparison with the Mean of creativity in comparative group at the level of p<.05(t(56)=2.06). Among four sub factors of creativity, the Mean of fluency(t(56)=3.13, p<.01) was revealed to be increased by this program. The findings show this invention program using 3D design and 3D printers has an effect on increasing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