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과학기술 어디까지 왔나 - 지능형교통체계, 대전 등서 ITS 시범사업 본격화

        이시복,Lee, Si-Bok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00 과학과 기술 Vol.33 No.12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은 교통부문의 정보화 사업으로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도로교통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우리나라의 ITS 사업은 90년대 초반에 착수하여 90년대 후반에 교통체계효율화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과천시를 대상으로 ITS 시범사업을 이미 추진해왔고 올해에는 대전ㆍ전주ㆍ전주ㆍ제주 등 3개 도시에서 본격적인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ITS를 통한 돌발적 교통정체 저감효과 분석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이시복,이상건,박진호 대한교통학회 1998 大韓交通學會誌 Vol.16 No.2

        본 연구는 수도권 남부의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ITS 서비스 도입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잠재력을 타진해 보고, 특정 ITS 서비스 도입전의 타당성조사에 활용 가능한 시뮬레이션 분석의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ITS의 핵심분야인 교통관리(ATMS)와 교통정보제공(ATIS)의 일부 서비스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지역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ITS 서비스는 그 효과면에서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개별 서비스 중에서는 직접적으로 혼잡구간의 수요를 억제하는 램프미터링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여러 서비스를 조합하여 실시하는 경우, 혼잡지점에 대한 정보제공은 선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ITS 서비스가 보다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경우는 첨두시와 같이 돌발상황이 발생하는 도로가 혼잡하되, 주변의 대안도로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고 어느 정도 용량 여유분이 있을 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뮬레이션 분석 과정은 특정지역의 ITS서비스 도입여부 결정, 도로시설 등의 구축/운영 여건 평가, 서비스 제공전략 도출 등에 활용 가능하므로 ITS 구축사업 착수 이전에 대상지역에 대한 타당성조사 작업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평가의 과정 및 각 과정별 분석기법을 체계화된 틀로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드론을 이용한 교차로 딜레마구간 안전개선에 관한 연구

        이시복 한국ITS학회 201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최근 활용도가 주목받고 있는 드론을 활용하면 기존 현장조사장비로는 불가능했던 수준의 정밀한 영상자료 수집이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진행된 “드론활용 사례연구” 의 하나로서, 접근로에서 황색신호 점등시 운전자의 의사결정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드론 촬영 영상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접근로상의 딜레마구간을 파악하고, 황색신호점등시 실제 운전자들이 정지 혹은 통과하는 의사결정 기준선을 파악하고, 이를 적정 황색신호 셋팅값에 의한 기준선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구간을 위험통과구간으로 정의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황색시간 재설정 및 특정한 가이드 노면표시를 도입하여 운전자들이 안전하게 정지 혹은 통과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a drone-utilized case study motivated by that drones can obtain sophisticated video image data previously not feasible. The dilemma zones on selected intersection approaches were identified and locations of drivers' decision making to stop or go at the onset of yellow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drone video images. The gap between the drivers' decision making location and invisible stop/go border line provided by the yellow time interval was defined as risky passing zone. To improve the dilemma zone safety problems, re-optimization of yellow time intervals and introduction of new pavement marking that can help drivers decision making on yellow indication are suggested.

      • KCI등재
      •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발기술 연구개발 추진방향

        이시복,Lee, Si-Bok 한국정보통신집흥협회 1997 정보화사회 Vol.111 No.-

        ITS는 내용상 공공성을 강하게 띠고 있기 때문에 그 운영의 담당기관은 대부분 중앙부서.지자체.공기업 등 공공기관이어야 하며, ITS장비의 구매는 주문생산방식을 취하게 될 것이므로 ITS 기술개발은 전형적인 정부주도형 연구개발분야라고 할 수 있다. ITS는 지역별 특성에 따라 기능별로 미분화된 독립적인 시스템의 도입 및 구축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독립성이 강한 시스템간의 정보교환방식의 표준화는 이용자의 편익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는 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도 핵심적인 사항이므로 ITS 기술의 표준화 추진을 위하여 정부주도의 연구개발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Fuzzy-Genetic Algorithm기반의 자가적응형 돌발상황 검지모형 개발 연구

        이시복,김영호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돌발상황 검지모형의 단점인 crisp한 임계값 설정과 타 대상도로에 이식이 어려운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퍼지추론모형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퍼지추론모형을 이용하여 유고검지 알고리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설계하였으며, 돌발상황 검지모형 스스로의 적응력(자가적응)과 현장 이식성(移植性)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퍼지추론모형의 퍼지소속함수 최적화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hybrid fuzzy-genetic 형태의 유고검지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돌발상황검지모형의 성능은 유전자 알고리즘의 특성상 적응이력과 비례하여 향상될 것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만을 가지고 확정적 결론을 내릴 수는 없으나, 잠정적으로 검지율, 오보율, 검지시간 등의 척도에서 기존 성능우수 모형과 대등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초점이 기존 모형의 성능지표 자체의 향상보다는 다양한 도로유형에 공히 적용 가능한 동시에 자가 적응력을 갖도록 하는 실험적 시도에 있었던 만큼 연구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판단되며, 향후 이 분야 연구가 지향해야 할 중요한 방향성 하나를 제시하였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기계공학 실험실습교육 강화 - 부산대 기계공학부

        이시복,황상문,Lee Shi-Bok,Hwang Sang-Moon 한국공학교육학회 2000 공학교육연구 Vol.3 No.1

        공학교육에 있어서 실험실습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국내 공학교육현장에서는 예산, 시설 및 인력 등의 이유로 해서 최근까지도 실험실습교육이 형식적이고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는 지난 몇 년간 국책사업 지원을 받아 실험실습교육 혁신을 추구하여, 정보화, 자동화 등의 다학제적 접근을 요구하는 기계공학의 발전 추세에 적응할 수 있는 창의적 현장적응력을 갖춘 우수한 기계공학도를 효과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실험실습교육체계를 구축해왔다. 본 글에서는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실험실습 교육 강화 및 혁신 사례를 기계/전자/컴퓨터의 통합실험 실습, 실험분야의 계통화를 통한 체계적 운영 및 점진적 심화 교육, 대규모 교육 대상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창의성 유도 실험실습 등을 중심 내용으로 기술하였다. Laboratory work is so much important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But laboratory work program at most domestic engineering education institutes is still poor and could not have been actively improved and reinforced due to the difficulty in preparing the necessary fund, facilities, professional personnel and so on. The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sponsored by the national special engineering education project, has poured intensive and strong efforts into improving and strengthening laboratory work program in the courses of education. In this paper, the brief content of the improved laboratory work program and the established system for putting through the program effectively are introduced around the topics such as the integrating laboratory work of mechanical/electronic/computer engineerings, systematic managing and progressive deepening of the laboratory level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laboratory works, education system for putting through efficiently the program for a large mass of students and program for encouraging the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