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웅 서사 중심의 영화를 이용한 영어학습 방안: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을 이용하여

        이숙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영웅 서사 중심의 영화를 이용한 영어학습 방안:「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을 이용하여이 숙 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영화를 통해 영어를 지도할 때 영웅 서사를 강조하는 내용 중심의 언어지도가 의미 회상과 형태 회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성인 학습자 4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디즈니 애니메이션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을 이용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연구 내용: 피험자들은 영화를 보고 장면을 한글로 요약한다. 교사는 영웅 서사 구조를 설명하며 시청한 영화가 어떤 단계인지 설명해준다. 피험자는 영웅 서사가 두드러지게 드러난 대사를 찾아 해석한다. 교사는 대사를 영웅 서사를 강조하며 해석하고 내용에 대한 보충 설명을 하였다. 의미 회상과 형태 회상 평가를 3회 실시하였다. 피험자 D가 사후 지연 평가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보였다. 인터뷰에서 피험자 D는 영웅 서사로 내용을 정리하고 서사가 잘 나타나는 언어를 기억하는 것이 재미있다고 하였다. 결론 및 제언: 내용 중심으로 접근한 영어학습은 영화를 보는 재미를 언어 학습의 재미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며, 형태 회상과 의미 회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핵심어: 영화영어, 영웅 서사, 내용 중심 지도, 회상,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 접수일: 2022년 8월 29일, 수정일: 2022년 9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정발중학교 교사(Teacher, Jeongbal Middle School, Email: leesookhyun7@gmail.com) Learning English Through Movies Focusing on the HeroicNarrative: Using Raya and the Last DragonSookhyun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ntent-oriented language based on the hero narrative when teaching English through movies on meaning and form recall.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four adult learners using the Disney animated movie Raya and the Last Dragon. The participants watched the movie and summarized one of its scenes in Korean. The teacher explained the hero narrative structure and the stage of the movie scene they watched. The participants looked for lines that exemplified the hero narrative and interpreted them. The teacher interpreted and explained sentences focusing on the hero narrative. Meaning recall and form recall tests were then conducted. Participant D showed the best score in the post-delay test. In the interview, Participant D said it was fun to examine the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 narrative and remember the language in which the narrative was displayed. English learning, which is approached based on content, can connect the fun of watching movies to the fun of language learning and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form recall and meaning recall. Key Words: Movie English, Heroic Narrative, Content-based Instruction, Recall, Raya and the Last Dragon

      • KCI등재

        토론의 한 유형으로서의 <문제해결형 Working Group> 가능성 연구

        이숙현,김종규 한국수사학회 2022 수사학 Vol.- No.44

        본 논문은 디지털 전환의 시대를 맞이하여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토론 교육 필요성을 주장한다. 독일은 디지털 전환에 따른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새로운 협력적 문제해결 토론 플랫폼인 ‘개방형 정책플랫폼 워킹그룹’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계의 현안문제뿐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의 어젠다 설정 등에 그 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정부와 국책연구기관 등을 중심으로 독일의 워킹그룹 유형을 도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열린혁신정책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이 워킹그룹 모두 ‘공동창조(Sympoiesis)’의 원리에 기초하여, 참여자 개개인의 고유성과 주체성을 기반으로 한 협력적 창의성 발휘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워킹그룹의 원리와 특징은 합리적 민주시민 역량 함양과 의사소통 능력의 제고를 함께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토론의 새로운 유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전환 시대에 대응을 위한 방안이었다는 점에서 새로운 토론 교육 유형으로서의 워킹그룹 활용은 토론 교육의 다변화와 다양화라는 의미도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 이와 같은 새로운 토론 유형을 ‘플랫폼 토론 워킹그룹’으로 규정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프랑스어와 한국어 양상 표현의 언어유형론적 연구

        이숙현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1 No.-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et de comparer les expressions modal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dans une perspective de la typologie linguistique. Nous commençons par réviser la définition de la modalité selon quelques linguistes en ces deux langues. En général, la modalité est définie comme l’expression de l’attitude du locuteur par rapport au contenu propositionnel de son énoncé. C’est sans doute une notion sémantico-pragmatique, mais la modalité peut s’exprimer non seulement avec des moyens lexicaux comme les adjectifs et les adverbes modaux, les particules, les “tags” modaux, etc. mais aussi avec des moyens syntaxiques comme les modes, les verbes modaux, les affixes, etc. Les expressions modales ont de différents sens à travers le processus de la grammaticalisation avec le temps. De plus, les expressions modales avec la négation ont quelques différences linguistiques particulières selon chaque langue. Nous nous penchons donc sur celles-là en ces deux langues, en particulier, sur des cas où les phrases avec les verbes modaux comme devoir et pouvoir s’accompageraient de la négation en français, parce que nous pouvons constater que ces deux verbes occupent une position tout à fait centrale en dépit de l’importance des autres marques comme des adverbes modaux entre autres. Nous nous attachons aussi à trouver quelques particularités propres au coréen par rapport au français quand il s’agit de la négation.

      • 청년과 중장년의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검증

        이숙현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문제음주는 알코올중독으로 인한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 뿐 아니라, 각종 신체질환 및 정신질환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11차년도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청년기, 중장년기의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청년 2981명과 중장년 5123이였다. 결측치는 완전정보최대우도법(FIML)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이 여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론 및 실증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문제음주 예방을 위한 보건정책 및 실천적 개입이 부정적 정신건강 뿐 아니라, 긍정적 정신건강에 대한 대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 KCI등재

        프랑스어와 한국어 보조동사 비교 연구

        이숙현 한국프랑스학회 2016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5 No.-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et de comparer les auxiliair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dans une perspective typologique. Nous commençons par revisiter leur définition et leur classification dans ces deux langues, en s’appuyant sur l’opinion de quelques linguistes. Dans cette perspective, nous acceptons une définition assez prototypique dans la comparaison des auxiliaires français et coréens. Un verbe auxiliaire ne peut pas être le seul verbe d’une phrase et il a un certain rôle grammatical ou pragmatique. Nous examinons donc quelques caractéristiques morphosyntaxiques essentielles des auxiliair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 dépendance, “finitude”, transparence des arguments, possibilité de l’emploi lexical, position relative du verbe auxiliaire par rapport au verbe lexical ou auxilié dans une phrase, etc. Nous passons en revue les fonctions des auxiliaires, c’est-à-dire les fonctions TAM et celles du passif, du causatif, etc. dans ces deux langues. Avec la grammaticalisation, l’entrée lexicale se vide progressivement de son sens plein pour acquérir un sens fonctionnel ou grammatical. C’est la même chose pour les auxiliaires de ces deux langues. Nous nous attachons à trouver les ressemblances et les différences typologiques entre le français et le coréen, en souhaitant que cette étude puisse servir à l’enseignement du FLE ou du coréen langue étrangère.

      • KCI등재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증거성에 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

        이숙현 한국프랑스학회 202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4 No.-

        본 연구는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증거성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두 언어의 증거성 범주에서 나타나는 유사성과 상이성을 파악하여, 언어유형론과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우리는 증거성과 기타 범주들, 특히 인식 양상과의 관계를 재고하고, 프랑스어와 한국어에서 증거성을 표현할 수 있는 표지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증거성 체계의 실현 방식 그리고 형태․통사적 제약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등을 고찰하였다. Cette étude se donne pour objectif d’examiner et de comparer “l’évidentialité” et/ou “les expressions évidentielles ou médiativ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dans une perspective de la typologie linguistique. Nous commençons par revisiter leurs définition et classification dans ces deux langues, en s’appuyant sur l’opinion de quelques linguistes. Dans cette perspective, nous acceptons une définition assez prototypique de l’évidentialité en comparaison des expressions évidentielles ou médiatives françaises et coréennes. Nous examinons aussi quelques caractéristiques morphosyntaxiques essentielles de ces expressions en français et en coréen : relation entre l’évidentialité et d’autres catégories, entre autres, la modalité épistémique, quelques marqueurs pouvant exprimer tous les deux catégories, contraintes des sujets peronnels, etc. Nous nous attachons à trouver les ressemblances et les différences typologiques entre le français et le coréen, en souhaitant que cette étude puisse servir à l’enseignement du FLE ou du coréen langue étrangè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