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이숙현,이영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4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22 ICU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in G city by using the Korean patient culture survey instru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measurement too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ICU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was the mean of 3.55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were the mean of 3.81 out of the total score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t=2.09, p=.039) and ICU experiences (F=2.71, p=.048) and in their competencies according to position (t=-2.13, p=.035) and working experience in safety management (t=2.45, p=.01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r=.662) between total scores of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of nurses. Results suggest that systemic efforts to promote nurses’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for patient safety in the ICU and to create organizational culture is required. 안전사고 발생 시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환자실에서의 환자안전문화의 형성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은 환자안전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 G광역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성인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와 환자안전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을 조사하고, 환자안전문화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과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3.55점/5점, 환전안전역량은 3.81점/5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성별(t=2.09, p=.039)과 중환자실 근무경력(F=2.71, p=.048)에 따라, 환자안전역량은 직위(t=-2.13, p=.035)와 안전업무 담당경험(t=2.45,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총점과 환자안전역량 총점은 양의 상관관계(r=.662)를 나타냈다. 중환자실에서의 환자안전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조직문화의 형성과 환자안전을 우선순위에 두는 의식의 전환, 안전 관련 교육 등을 통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토론의 한 유형으로서의 <문제해결형 Working Group> 가능성 연구

        이숙현,김종규 한국수사학회 2022 수사학 Vol.- No.44

        본 논문은 디지털 전환의 시대를 맞이하여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토론 교육 필요성을 주장한다. 독일은 디지털 전환에 따른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새로운 협력적 문제해결 토론 플랫폼인 ‘개방형 정책플랫폼 워킹그룹’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계의 현안문제뿐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의 어젠다 설정 등에 그 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정부와 국책연구기관 등을 중심으로 독일의 워킹그룹 유형을 도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열린혁신정책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이 워킹그룹 모두 ‘공동창조(Sympoiesis)’의 원리에 기초하여, 참여자 개개인의 고유성과 주체성을 기반으로 한 협력적 창의성 발휘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워킹그룹의 원리와 특징은 합리적 민주시민 역량 함양과 의사소통 능력의 제고를 함께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토론의 새로운 유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전환 시대에 대응을 위한 방안이었다는 점에서 새로운 토론 교육 유형으로서의 워킹그룹 활용은 토론 교육의 다변화와 다양화라는 의미도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 이와 같은 새로운 토론 유형을 ‘플랫폼 토론 워킹그룹’으로 규정한다.

      • KCI등재

        신화 리터러시와 워킹그룹 토론

        이숙현,김종규 한국수사학회 2023 수사학 Vol.- No.47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myth-literacy education using ‘Mythem’ and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e ‘Working Group’ discussion method for related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the current media is having a negative impact on students metacognitive thinking. The decline of literacy ability i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e need for educational response is emerging. In particular, the cultivation of metacognitive 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alternatives. To this end, this study seeks to improve metacognitive ability through the literary medium ‘myth’. Myths are archetypal stories that contain the archetype of human life that transcends time, and at the same time, numerous writers have reinterpreted and metamorphosed mythical materials, so they are effective in strengthening literacy based on metacognition promotion.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 methodology for myth-literacy centered on the ‘Mythem’ by specifying the ‘Medea-Myth’, which has been undergoing transformation and metamorphosis up to now, and relate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long with this, this study utilized working group discussions used ‘Plattform Industrie 4.0’ in Germany as a methodology of myth-literacy education to effectively promote metacognitive development. The working group discussion method that grows ideas will enhance literacy ability through the convergence with myth-literacy, which aims for metacognitive education. In addition, this paper expects that this convergence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humanities-based liberal arts education.

      •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 갈등

        이숙현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 1997 연세 여성연구 Vol.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work and family characteristics and work/family conflict and to assess their relative importance in relation to work/family conflict among women and men. The subjects were 181 men and 133 women who were currently employed in large corporations and who had at least one child aged 6 or under. Work/family conflict,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Small&Riely(1990)'s Work Spillover Scale. As independent variables, weekly work hours, job stress, the frequency of extra work, daily hours with their child, husband'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wife's employment status, and social support were includ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earson's correlation. It was found that women reported higher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than men did.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the variables which explained work/family conflict for men and women. Among men, four variables-monthly incomes, the frequency of extra work, daily hours with their child, support from friends-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Among women, daily hours with their child and support from husband were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Third, the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ir role satisfaction and with their well-being for both men and women. In order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ves, several policies which the corporations should adopt were discussed.

      • 가족체계 유형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이숙현,민혜영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2 生活科學論集 Vol.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ystem type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based on the Circumplex Model of family systems which was developed by Olson et al.(1979). The subjects were 631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Version Ⅲ (FACES Ⅲ) was used to assess family system types according to the Circomplex Model.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was used to asses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 of frequency,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ore Balanced (46.9%) than Mid-range (38.2%) or Extreme (14.9%) families. Balanced families had higher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ores than Mid-range or Extreme famili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 with their current family system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 KCI등재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증거성에 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

        이숙현 한국프랑스학회 2021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14 No.-

        본 연구는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증거성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두 언어의 증거성 범주에서 나타나는 유사성과 상이성을 파악하여, 언어유형론과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우리는 증거성과 기타 범주들, 특히 인식 양상과의 관계를 재고하고, 프랑스어와 한국어에서 증거성을 표현할 수 있는 표지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증거성 체계의 실현 방식 그리고 형태․통사적 제약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등을 고찰하였다. Cette étude se donne pour objectif d’examiner et de comparer “l’évidentialité” et/ou “les expressions évidentielles ou médiativ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dans une perspective de la typologie linguistique. Nous commençons par revisiter leurs définition et classification dans ces deux langues, en s’appuyant sur l’opinion de quelques linguistes. Dans cette perspective, nous acceptons une définition assez prototypique de l’évidentialité en comparaison des expressions évidentielles ou médiatives françaises et coréennes. Nous examinons aussi quelques caractéristiques morphosyntaxiques essentielles de ces expressions en français et en coréen : relation entre l’évidentialité et d’autres catégories, entre autres, la modalité épistémique, quelques marqueurs pouvant exprimer tous les deux catégories, contraintes des sujets peronnels, etc. Nous nous attachons à trouver les ressemblances et les différences typologiques entre le français et le coréen, en souhaitant que cette étude puisse servir à l’enseignement du FLE ou du coréen langue étrangère.

      • 국민 공통 과정 국어 교과서 공감적 듣기 단원 분석 연구

        이숙현 국어교과교육학회 2016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감 적 듣기의 본질과 교육 원리에 비추어 국민 공통 과정인 중학교 ‘국어’와 고등학교 ‘국어Ⅰ’교과서의 공감적 듣기 단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 해보는 데 있다. ‘우리’보다 ‘나’를 중시하는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팽배해지는 오늘날 상 대를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상대방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려는 ‘공감’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공감력’을 바탕으로 상대의 관점에서 경청하며 상대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공감적 듣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화법교육에서 강조하고자 하였다.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중등교과서에 실린 공감적 듣기 단원 은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공감적 듣 기의 본질에 비추어 교육 원리를 태도, 지식, 수행으로 설정하여 중등교과 서를 분석해보았다. 중등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드러난 문제점은 첫째, 공감적 듣기의 본질에 따른 지식이 학습 내용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거나 추상적인 형태로 간략 하게 제시되어 있다. 둘째, 공감적 듣기 단원 구성의 체계성과 연계성이 낮다. 학습 내용과 학 습 활동이 내용과 수행의 측면에서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고 그에 관한 수행을 할 수 있게끔 그 구성이 짜임새 있게 연계되어 있어야 함에도 불구 하고 적절한 단원 구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셋째, 화법교육은 삶에서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교육으로 학습자를 이끌어야 하는데 단원의 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삶의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 지 못하고 기술적이고 경직된 차원의 활동으로 그쳤다. 넷째, 공감적 듣기는 지식의 습득과 수행에 앞서 태도가 함양되어야 함 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는 태도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이 제시되 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공감적 화법을 다루는 단원에서 듣기보다 말하기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렇게 분석된 문제점을 바탕으 로 공감적 듣기의 교육 원리에 비추어 개선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본 연구는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고찰하 고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반영한 교육 원리를 설정하여 중등교과서를 분석 하고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i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in the speech education, to analyz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es in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for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I’ for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were the Korean common subject in perspective of sympathetic listening’s nature and its educational principle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se days when the self-centered tendency valuing ‘me’ more than ‘us’ is overflowing, there is being magnified the importance of ‘sympathy’ caring,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the other with thinking from the other’s viewpoint. The speech education tri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enabling one to listen to the other’s opinion from his/her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him/her. Unlik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 unit of sympathetic listening in middle school textbook does not fully refect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sympathetic listening’s educational principles as the attitude, the knowledge and the performance with follow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d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all five problems were commonly reveal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First, the knowledge of sympathetic listening following its nature was not fully contained in the learning content or was briefly suggested in some abstract shapes. Second, the systemicity and the connectedness in composing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were low. Though the composi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have systematically been connected in order that learners could acquire the knowledge and could perform relevant tasks from the aspects of contents and performance, but middle school textbooks could not suitably compos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Third, though the speech education should lead learners as the education to be specifically used in life, but the learning activities in its unit did not fully reflect a learner’s life context and remained in the technical, stiff activity level. Fourth, for the sympathetic listening, its attitude should be developed prior to the acquisition and performance of its knowledge, but the textbooks did not contain any learning content and activity related to the attitude for sympathetic listening. Fifth,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its dealing sympathetic speech mainly dealt the speech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the problems analyzed so, this study proposed a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reflecting from its educational principle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ontemplated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s importance and necessity in the speech education, and set its educational principles reflect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suggest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concerning the problems found from the analysis.

      • KCI등재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집단 간 다집단 분석

        이숙현,한창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1

        Problem drinking can cause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in daily liv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drinking problem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age groups by using multi-group analysis. The study sample is 8104 and the missing values were substituted using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Method (FIML).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likelihood of having drinking problems. Moreover,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drinking problems varie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Specifically, the effect, whil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male middle-aged group, was not significant on the male-youth group. And the effects of self-esteem was higher on the male-middle-aged compared to the female youth. Also the influ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female-youth and male-middle aged groups compared to the female-middle aged group, which had no effect.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program to enhance self-esteem and the alcohol addiction program specialized in different age groups are necessary. 자아존중감은 우울과 스트레스를 발생하는 사회환경의 여러 요인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자원이다. 자아존중감은 통제에 필요한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과 같은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인간사회환경에서 발생한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을 음주가 아닌 자주적인 해결을 할 수 있게 한다. 자아존중감과 음주의 관계는 성별 및 연령집단을 고려해야만 한다. 남녀 간 음주율 차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커진다. 2016년을 기준으로 청년은 일주일에 5일 이상 음주하는 비율의 남녀 차이가 0.4%였던 반면, 중장년기의 경우 차이가 4.5%에 달했다. 실증적 검토를 위해 11차년도(2016년)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및 연령집단(청년, 중장년) 간 다집단분석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8104명이며, 결측치는 완전정보최대우도법(FIML)으로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문제음주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청년에게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남성중장년에게는 유의미하였다. 동일선상에서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이 남성중장년에게서 유의미하였지만, 여성중장년에게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여성청년에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지만, 여성중장년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남성중장년에게서 자아존중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이 여성청년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의 확대 필요성과, 연령집단별로 특성화된 알코올 중독프로그램 마련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프랑스어와 한국어 양상 표현의 언어유형론적 연구

        이숙현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1 No.-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xaminer et de comparer les expressions modal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dans une perspective de la typologie linguistique. Nous commençons par réviser la définition de la modalité selon quelques linguistes en ces deux langues. En général, la modalité est définie comme l’expression de l’attitude du locuteur par rapport au contenu propositionnel de son énoncé. C’est sans doute une notion sémantico-pragmatique, mais la modalité peut s’exprimer non seulement avec des moyens lexicaux comme les adjectifs et les adverbes modaux, les particules, les “tags” modaux, etc. mais aussi avec des moyens syntaxiques comme les modes, les verbes modaux, les affixes, etc. Les expressions modales ont de différents sens à travers le processus de la grammaticalisation avec le temps. De plus, les expressions modales avec la négation ont quelques différences linguistiques particulières selon chaque langue. Nous nous penchons donc sur celles-là en ces deux langues, en particulier, sur des cas où les phrases avec les verbes modaux comme devoir et pouvoir s’accompageraient de la négation en français, parce que nous pouvons constater que ces deux verbes occupent une position tout à fait centrale en dépit de l’importance des autres marques comme des adverbes modaux entre autres. Nous nous attachons aussi à trouver quelques particularités propres au coréen par rapport au français quand il s’agit de la né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