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미술에 나타난 조각의 장소특정성 활용방안연구

        이수홍 ( Soo Hong Lee ),김범수 ( Beom Soo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글로벌리즘 시대, 각 나라의 도시공간들이 균질화되어 가는 추세 속에서 장소특정성(site-specific)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은 이러한 몰개성적인 도시공간에 활력을 불어넣고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부여한다. 이렇듯 공공미술에서 장소특정성의 개념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대표적인 공간예술인 동시에 장소적 맥락을 중요시하는 조각에 대한 집중적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제대로 조율되지 않은 장소특정성에 대한 무분별한 개념의 확대와 혼용은 이에 대한 소모적 담론과 혼란만 가중시켰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진행되어온 이전 장소 특정적 공공미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되짚어보고 보다 한국사회에 적합한 통합적 패러다임으로서 공공미술이 기능하기 위해 어떠한 접근방식과 논의가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의문에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자는 우선 장소개념에 대한 재규정과 함께 20세기에 다양한 ‘대안적 장소’담론에서 자주 언급되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장소론에 등장하는 사건(event) 개념과 안느 수리오(Anne Souriau)의 디에제티크(diegetique)의 공간을 철학적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장소 특정적 미술이 각 시대에 나타난 장소 담론들과 어떠한 접점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집중 분석한다. 그리고 위 담론의 대표적 실천 사례인 리차드 세라의 <기울어진 호>와 독일의 뮌스터 조각프로젝트의 장, 단점과 특이사항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우리나라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Due to the uniformity of urban spaces in the world caused by globalization, public arts play an important role providing vitality and identity in those non-characteristic cities. Hence, sculpture, highly related to the site specificity among public arts, has been highlighted and intensive discussion is going on. However, the expansion and misuse of the site specificity concept without a detailed discussion and calibration rather increase confusion and useless debates. Then, we can throw a question that what is needed for public arts to function as an integrated paradigm for the Korean society resolving this problem. To answer the question, in this study I first discuss the limit and the problem of the current site specific public arts and reset the concept of the site. Next, I analyze the possibility whether the site specific art can be connected to the concepts of ‘alternative space’ frequently referred in 20th century: the ‘event’from Gilles Deleuze, the ‘diegetique space’ from Anne Souriau. In addition, I analyze pros, cons, and features of ‘Tilted Arc’ by Richard Serra and ‘Sculpture Munster Project’ in German which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above ‘alternative space’ concepts. Based on those analyses, finally, I propose a way how the Korean public art projects should move on.

      • KCI등재후보

        물리적 공간으로부터 감각적 공간으로의 전이 - Anish Kapoor와 Olafur Eliasson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수홍 ( Soo Hong Lee ),신승연 ( Seung Yun Shi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2

        인간의 감각을 통해 물리적으로 지각 되어지는 공간과 더불어 그 안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은 인지의 대상이 될 수 있고, 이것을 통한 공간의 특징지어짐은 공간 내의 정보와 이전의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간의 지각을 통해 새로이 인식되는 공간은 유클리드적 공간의 정의를 벗어나 관람자의 경험에 따라 새로운 가치를 부여받는 감각적 공간으로의 전이를 통해 관계적 특성을 갖는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아니쉬 카푸어는 작업을 보는 행위와 지각하는 것을 관객에게 동시에 요구하는 작가로, 관람자의 정신적인 개입과 참여를 통해 자신의 작품세계로 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의 작품에서 압도적 규모로부터 느껴지는 감각경험은 관객으로 하여금 자신이 알고 있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키는 계기를 만들어낸다. 실험적인 설치미술 작업을 하는 올라프 엘리아슨은 관람객이 작품을 보는 행위를 넘어 체험을 통해 작품에 하나가 되어 완성시키도록 만드는 하나의 실험실과 같은 장을 전시장 안에 만들어낸다. 원래의 공간을 익숙하지 않은 공간으로 탈바꿈시켜 기존 사고의 틀을 확대시키고, 공간의 확장을 경험을 통해 공간을 재인식하게 만드는 경험을 유도하는 것이다. 물리적 시각 요소만으로 이루어진 공간 연출과 그를 통해 발현되는 공간에서의 경험은 관람자가 느끼는 감정이 인지적, 지각적 요소로 확대되어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감각적 공간으로 재탄생 될 수 있는 것이다. 카푸어와 엘리아슨의 작업에서 보여지는 관람자의 적극적 침투를 이끌어내는 작업방식은 관객의 입장에서 보다 다양한 경험을 가능케 하여 인간의 감각을 통해 조각과 인간, 그리고 공간 사이의 관계를 보다 사색적인 경험으로 이끌어낸다. 인식의 과정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이러한 공간 구성은 더 이상 절대 공간을 추구하지 않고 우리가 바라보는 이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며 보는 행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바꾸고 있다. Sensory perception of space and what occurs within it are subject to human cognition. How one perceives and defines a space differs by the information and history it stores. Installation pieces about space in contemporary arts actively utilize these memories and information to become a part of the work or to mobilize viewers in a direction intended by an artist. Anish Kapoor is an artist who demands viewers to simultaneously see and perceive his works. Viewers are invited to enter his art world once they are psychologically engaged in his works. Kapoor`s sculptures are too large to be perceived at once and the experience of not being able to see the piece as a whole due to its scale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culptural elements of his work. Such sensory experience creates an opportunity for viewers to redefine the concept of physical space. Olafur Eliasson, known for his experimental installations, creates a laboratory-like space in exhibition halls which allows viewers to not only see, but also become a part of, and therefore complete the work. Eliasson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perception is more than an act of seeing; it is expanded to the dynamic experience of walking into a piece and spending time in it, which then fosters interrelations between the work and viewers. Thus, previously acquired information from cognitive process is overturned to generate a new type of visual imageries. In other words, existing space is transformed into an unfamiliar one to broaden the boundaries of cognition while the expansion of space is re-recognized through experience. Both artists` strategies to trigger active participation offer viewers a broader range of understanding and lead them to experience the rela tions among sculpture, human beings and space through their senses in a meditative manner. The structure of space established by this cognitive process is not limited to the pursuit of absolute space and changes how we perceive the act of sharing space and time.

      • 집적형 하이브리드 구동장치의 내부 유동 분석을 위한 리드밸브 특성 연구

        이수홍(Soo-Hong Lee),현철봉(Cheol-Bong Hyun),구남서(Nam Seo Goo),조진호(Jin Ho Cho),고한서(Han Seo Ko)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A self-contained hybrid actuator is a kind of a piston-cylinder device which is operated by a micro pump. The actuator is used for an air plane, a guided weapon, a vehicle, etc. since it has high actuating power and velocity although its size is small. The actuating velocity of the self-contained hybrid actuator is influenced by the actuating frequency of the pump. reed valve, and applied voltage.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actuating frequency and the reed valve on the actuating velocity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internal flow distribution. the FSI (Fluid Structure Interacting) of the ANSYS with the turbulent model of SST was used for the numerical analysis to calculate the internal flow by the pump frequency. Also, the effect of the shape and the thickness of the reed valve was studied. The output velocity form the numerical analysis increased with the actuating frequency initially, and the velocity decreased after 250Hz by the flow loss because the working fluid velocity could not follow the accelerating of the piezo pump. Also, the U-type reed valve showed higher output velocity than the original shape did because of creation of relatively small vortex.

      • KCI등재

        부산 청동기시대 후기문화의 지역상

        이수홍 ( Soo Hong Lee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2 항도부산 Vol.28 No.-

        새롭게 발굴된 자료를 바탕으로 부산지역의 청동기시대 문화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한반도 남부지방이 제일성을 가진다. 금강하류역에는 가락동유형이 분포하고 그 외 지역은 역삼동·흔암리유형이 분포한다. 부산은 역삼동·흔암리유형 분포권이라 할 수 있다. 부산에서 전기의 주거지는 방곡리유적, 석대동유적 등에서 조사되었다. 청동기시대 후기가 되면 송국리문화가 새롭게 등장한다. 송국리문화는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경기 남부-충청북부-경북북부-동남해안을 잇는 선의 남서쪽에 분포한다. 송국리문화가 분포하지 않는 곳을 검단리문화분포권이라 한다면 울산을 비롯한 동남해안지역은 문화권에 포함되는 하위개념을 유형이라 할 때 검단리유형이 분포하는 곳이다. 부산은 송국리문화와 검단리유형이 모두 확인되는 곳으로 양 문화의 접경지라 할 수 있다. 부산에서 조사된 무덤은 모두 후기에 속한다. 매장주체부의 구조는 할석석관, 토광, 위석목관 등이 있는데 할석석관묘가 다수를 차지한다. 호형(적색마연)토기가 부산지역 무덤에서 많이 출토되는데 지역성을 인정할 수 있어 ``부산식토기``라 명명하였다. 검단리유형은 기장을 중심으로 북동부에 주로 분포한다. 송국리문화는 서쪽의 미음동 분절유적, 부산진구의 하야리야부대 부지내 유적, 석대동유적 등에 분포하다. 검단리유형은 북쪽에서 전파되었고 송국리문화는 남해안을 비롯한 서쪽에서 전파되었다. 석대동유적은 송국리문화와 검단리유형이 모두 확인된 유적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culture of the Bronze age in Busan area based on newly excavated materials.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ad Uniformity of the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Culture of Kum-River downstream was usually Garak-Dong type, while Yeoksam-Dong type and Heunam-Ri type were in other areas. Busan was the area of distribution of Yeoksam-Dong, Heunam-Ri type. The representative dwellings of excavated former part of the Bronze age in Busan were found in Banggok-Ri and Seokdai-Dong remains. When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in Busan, Songkuk-Ri culture appeared. Songkuk-Ri culture failed to spread across the entire Korean peninsula. Songkuk-Ri culture just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areas of the southern Kyungki, the northern Chungcheong, the northern Kyungbuk and the southeastern coast as a connecting line. The area of Kumdan-Ri cultural distribution was defined as the area of a non-existent area of Songkuk-Ri culture in this paper. Especially Busan had both cultures as a borderland. Excavated tombs in Busan belonged to the latter period of the Bronze age. The types of main part of burial were a split stone coffin, the hole tomb of soil, and the wooden coffin surrounded with stones. The tombs of split stone coffin were the majority. The feature of the tombs in Busan area was excavated lots of red pottery. The Kumdan-Ri type was mainly distributed around Kijang in northeastern part of Busan. Songkuk-Ri type was mostly distributed in western Busan. I believe that The Kumdan-Ri type was spread from North, while Songkuk-Ri culture was spread from southern coast. Sukdai-Dong site excavated both cultures in Busan area

      • Study on Variation of Onset Voltage by Electric Conductivity for Electrostatic Droplet Ejection

        이수홍(Soo-Hong Lee),Nguyen Xuan Hung,김승배(Seung-Bae Kim),고한서(Han Seo Ko)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An effect of applied electric potential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a droplet diameter has been analyzed numerically. Smaller droplets can be ejected from a nozzle by applying electrostatic potential between the nozzle and liquids. Although the droplets have been formed until the critical value of the electric potential, unstable liquid jets with multiple satellite droplets have been observed at higher electric potentials. The critical value of the electric potential is called as an onset voltage in this study. Equations for the onset voltage have been developed by many researchers. Since the developed equations are appropriate for only their cases, a numer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in this study to calculate the droplet diameters and the onset voltages accurately by various functions such as a surface tension of liquid, a distance between a nozzle and electrode, an inside diameter of the nozzle,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