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원문화권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연구 현황과 과제

        이솔언(Sol-Eon Lee)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1

        중원문화권은 예부터 지리적으로 육로와 수로를 기반으로 한 교통로의 중심이었으며, 특히 충주지역은 소백산맥(영남)과 인접하고 남한강 수로로 손쉽게 당대 서울로 이동할 수 있는 지리적인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충주 탄금대토성과 장미산성 등 수로를 효과적으로 방어 및 이용하기 위한 성곽들이 강변에 입지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충주 탄금대토성과 장미산성을 중심으로 성벽과 성벽 시설물, 성내 시설물을 분석하고, 향후 조사·연구 과제에 대해서도 제시해보았다. 탄금대토성의 성벽은 토제 등을 성토하여 체성부를 조성하였고, 성토 과정에서의 마감과 기획을 위해 기저부 보강석렬을 이용한 점이 특징적이다. 내부에서 확인된 주거지와 저수시설에서는 철정, 송풍관이 출토되어, 인근의 칠금동 제철유적과 연관성이 더욱 높아졌다. 향후 조사에서는 철 생산집단의 생활공간으로서 성격과, 성벽 축조기법에 대한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장미산성의 석축성벽은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굴착하고, 내측 벽면의 기반층까지는 내탁하고 그 이후부터는 협축으로 조성되었다. 성벽 시설물로는 목책치성과 배수시설, 석환 보관용 석곽, 기저부 보축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장미산성의 성벽 축조방식은 다른 남한강 본류역 성곽들에서도 확인되며, 지형을 극복하기 위한 방식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직까지 장미산성에서는 수구가 확인되지 않아 앞으로의 조사·연구를 통해 밝혀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장미산성은 수차례의 조사에 비해 단계(시기)별 경관 변화상이 뚜렷하지 않다. 주로 백제 한성기 토기편이 출토되었으나, 한성기에 축성한 성벽은 확인하지 못했다. 또 충주고구려비와의 연관성에 비해 소량의 고구려 유물만 출토되어, 성벽과 시설물에서 그 모습을 밝혀내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성곽의 경관 변화상은 향후 성내 시설물의 조사를 통해 운영단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성벽의 수축양상과 연관시켜 이해해볼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계속해서 축적될 중원문화권 성곽의 조사·연구자료와의 비교로, 이 과제들을 해결해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Chungju is adjacent to the Yeongnam region and has a geographical advantage that it can easily move to the capital of the time by waterway. Therefore, the fortresses were next to the river, effectively defending and using the waterway. In this paper, the walls and faciliti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angeumdae-Fortress and Jangmi-Fortress in Chungju, and future research and research tasks were presented. Tangeumdae-Fortress built a wall by building a embankment, a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tone columns as a meaning of planning while building soil. Inside, iron ingots and tuyere were excavated, making it more relevant to nearby iron manufacture rui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s a living space for iron production groups and wall construction techniques. The walls of Jangmi-Fortress were built against the slope of the mountain and then built by stacking stones both inside and outside. This construction technique is also confirmed in other surrounding fortresses and is a method to overcome the topography. As for the facilities, Supplementary defensive fortress, drainage, and stone storag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Jangmi-Fortress does not show clear changes in the landscape by period. Baekje pottery was mainly excavated, but the walls made during the Baekje period were not identified. In addition, no traces of Goguryeo were found compared to its connection with the Chungju Goguryeobi Monument. This will be able to supplement the operation stage through future investigation of internal facilities.

      • KCI등재

        백제 사비도성의 기와 생산과 가마 운영

        이솔언(Lee, Soleon) 한국고고학회 2021 한국고고학보 Vol.- No.119

        본고에서는 백제 사비기 기와가마 구조와 생산된 기와를 분석하여 그 변천양상을 살펴보고, 가마별 기와의생산·공급과 단계에 따른 가마 운영을 파악해 보았다. 사비기 기와가마는 구조에 따라 9개의 형식으로 분류한 후 이를 바탕으로 3개의 단계를 설정하였다. Ⅰ 단계에는 횡염등요가 확인되고, Ⅱ단계에는 중국 북조와의 교류로 반도염평요가 새롭게 등장하며, 이와 함께반도염등요도 등장한다. Ⅲ단계에는 반도염 등요와 평요가 지속되며, 배부른 제형의 소성부가 새롭게 등장한다. 이는 한 번에 많은 기와를 소성하고자 내부 소성공간을 개선한 결과로 보인다. 기와는 선문 타날판과 토수기와의 사용, 외면→내면 방향으로의 분할방법(Ⅰ~Ⅱ단계)이 제작의 경제성과, 타날문양 단순화, 인장와의등장(Ⅲ단계)이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제작시스템의 정립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기와의 효율적인생산을 위해 먼저 기와 제작의 변화가 시작되었고, 나아가 가마의 구조 변화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기와 생산과 가마의 운영 양상을 파악해 보면, 사비기 전반(Ⅰ~Ⅱ단계)에는 기와 생산이 확대되고 가마는 주로 단기적으로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도성 내부 시설이 조성됨에 따라 점차 기와의 대량생산이 요구되면서 기와 제작공정은 노동력과 시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가마에서도 반도염평요의수용 등 변화가 나타났다. 가마는 주로 전용공급으로 단기적인 조업이 이루어졌고, 기와 제작집단은 그 수가많지 않았으며 필요에 따라 재배치되기도 했다. 사비기 후반(Ⅲ단계)에는 기와 생산의 체계화와 가마 운영의조직화가 진전되었다. 가마는 반도염등요로 정착되었고, 기와의 제작은 인장와의 생산 등으로 체계적이고 일원화된 제작시스템이 정립되었다. 또한 공용공급을 위한 가마가 확대되었는데, 늘어나는 기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가마는 장기 조업이 이루어지기도 했으며, 이에 따라 가마 운영도 좀 더 조직화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research undertaken on the roof tile kilns of Baekje’s Sabi period, which aimed 1) to track the changing patterns of kilns by analyzing their structures and roof tiles, 2) establish chronological stages, accordingly, and 3) examine the production and supply patterns, as well as the kiln management system, of each stage. Roof tile kilns were first categorized into nine types according to their structural attributes and then organized into three stages. Horizontal draft climbing kilns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appearance of the half-down draft horizontal kiln. As a result, the floor plans of the firing sections became increasingly diverse with the addition of new full trapezoid and rectangular firing sections. The half-down draft horizontal kiln came to be introduced through Baekje’s exchanges with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The full trapezoid- shaped firing sections made it possible to fire many roof tiles at a time. Along with these changes to the kiln structure, convenience and economy in the production of roof tiles was pursued. The study then examined the production and supply patterns of roof tiles per kiln, and found that the kilns of the sites of Neungsan-ri Temple and Wangheung Temple produced roof tiles exclusively for their respective Buddhist temples. The kiln of Jeongam-ri began by producing roof tiles for Gunsu-ri Buddhist Temple and gradually came to supply roof tiles to many different facilities within the capital city of Sabi. The Wangjin-ri kiln also provided roof tiles to various facilities in Sabi. The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roof tile production and kiln operation. In the earlier part of the Sabi period, there was an expansion of roof tile production, and kilns were operated on a short term basis to meet exclusive demand. Roof tile-making groups were not numerous and were rearranged according to emerging needs. In the later part of the Sabi period, progress appears to have taken place in the systemization of roof tile production and the organization of kiln operation. Given the expanding pattern of kilns to meet demand in various places, it is estimated that kilns were built for long-term operation to meet the growing need for roof tiles, and kiln management became more organized.

      • KCI등재

        백제 사비도성 일대 고분의 분포양상과 의미

        서현주(Seo, Hyunju),이솔언(Lee, Soleon) 한국상고사학회 2021 한국상고사학보 Vol.114 No.114

        백제 사비도성의 외곽성(나성)은 금강이 곡류하는 부여읍의 지형을 잘 활용하여 축조되었고, 도성 거주민의 무덤은 그 외곽성 바깥에 배치되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발굴조사된 유적을 중심으로 사비도성 일대 고분군의 분포양상을 동쪽, 서북쪽과 서쪽, 남쪽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세분하여 분포정형을 구분한 후 그 의미를 파악해보았다. 사비도성 일대 고분군은 도성에서의 거리와 자연지형, 고분군 내 고분 수와 시기 분포, 중요 유물 양상, 유적 내와 인근에 중요 취락 존재 여부 등에 따라 A~D군의 분포정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성 바로 바깥에 위치하며, 큰 봉분도 존재하고, 대부분 잘 치석된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된 능산리고분군은 A군으로, 이는 동쪽지역에만 있다. B~D군은 동쪽, 서북쪽과 서쪽, 남쪽 지역에서모두 확인된다. 그중 D군은 고분의 수나 내용이 백제 사비기에 집중되기보다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로 계기적으로 이어지는 점으로 볼 때 사비도성과 연계되기보다는 다른 중심지가 상정된다. A~C군의 분포정형을 보이는 고분군들은 도성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양상이어서 거의 도성 거주민의 무덤으로 볼 수 있으며, 대체로 이 무덤구역 범위까지를 광의의 도성인 王都에 가까운 것으로 볼 수 있겠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처럼 4郊 등의 행정구역으로 설정되거나 공간 분화가 뚜렷한 것은 아니지만, 이에 상응하는 외곽성으로 도성을 일차적으로 경계짓고 다른 군현 등의 행정구역과의 사이에 무덤 조영이나 사찰 조성 등 도성 운영과 관련되는 활동을 위한 일정 범위의 공간을 두고자 했던 과도기적인 양상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삼국사기에 5部로 구분되어 있던 사비도성 내 공간구획을 고려하면, 동쪽, 서북쪽과 서쪽, 남쪽 지역의 A~C군의 고분군에는 각각 이른 시기의 고분들이 포함되어 있고, 지역별로 A→C 군의 위계 차이가 보이는 점에서 대체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도성 내 행정구역(部)에 속한 사람들의 무덤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사비도성 일대 고분군의 분포정형에는 외곽성의 축조, 도성내 행정구역 구분 등을 포함한 제도 정비와 함께 나타난 체계적인 공간 배치와 규제가 반영되어있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tate of the tombs of Neungsan-ri, Buyeo and The Sabi capital city of Baekje was built by taking good advantage of Buyeo-eup s terrain surrounded by the Geum River. The tombs of its residents were placed along the around of the Sabi capital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meaning of ancient tombs excavated so far around the Sabi capital city by dividing eastern, northwestern and western, and northern parts. Ancient tombs around the Sabi capital city can be categorized into Distribution types A~D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city, terrain relations, number of tombs, distribution by the period, patterns of major artifacts, and presence of important settlements inside and around sites. The sites of Group D are estimated to have relations with another central cities than the Sabi capital city, in terms of the number and content of tombs from tombs of the Sabi period of Baekje through Unified Silla to Goryeo. Ancient tombs of Distribution types A~C showed a spreading pattern from the capital city, which suggests that they were tombs of residents in the capital city. This boundary marks that of royal capital different from a capital city. The Sabi capital city was divided into five Bu(部)s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Since A to C groups in the eastern, northwestern and western, and northern regions each contain early tombs,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hierarchy of A→ C groups by region, it is likely that the tombs were generally made for people that lived in geographically adjacent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in capital c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stribution types of ancient tombs around the Sabi capital city reflect the political system including administrative districts around and within the capital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