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세래,진광윤 三陟大學校 2001 論文集 Vol.34 No.1
Nowadays Korea has many difficulties in computer industry because of th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in Korean computer market according to the free import. To cope with those dangers and to make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we should make use of non-skillful marketing information including price, design, after service, company's image and so on. Although the accelerated development of computer-related techniques has improved the supply of information, many marketing managers are not completely with their own inform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ontents and application degree of Marketing Information System between Korean and U.S. The concrete items I would like to study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 1.Literature review of Marketing Information System 2.Application degree of Marketing Information System in U.S. 3.Comparative analysis of Marketing Information System between Korean and U.S.
이세균(李世均) 교수(敎授) 정년퇴임기념특집(停年退任紀念特輯) : 지중 열전도율이 보어홀 길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세균 ( Se Kyoun Lee ),노정근 ( Jeong Geun Ro ) 충북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10 산업과학기술연구 논문집 Vol.24 No.2
The effect of soil thermal conductivity on the borehole length is studied. In performing this work the solution of line source model is used. A new concept, (L/Q) , borehole length per unit geothermal load ratio, is developed to compare the effect of soil thermal conductivity on the borehole length. It is shown that (L/Q) is a function of soil thermal conductivity(K) and onlyvery weak function of borehole thermal resistance(R(b)). There is no functional dependency of the (L/Q) on the temperature(L/Q). Thus it is easy to estimate the effect of K on the borehole length with (L/Q) .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lso examined with EED analysis.
전략적 제휴에서 파트너 선정 결정요인 : 인터넷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이세래 강릉대학교 영동산업문제연구소 2000 産經論叢 Vol.22 No.-
전략적 제휴는 심화되는 글로벌 경쟁과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지속적 성장. 생존하기 위한 모든 기업들의 전략적 대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략적 제휴는 기업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반면 많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전략적 제휴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좋은 파트너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Geringer(1991)의 파트너 선정에 관한 논문을 바탕으로 3개 가설을 설정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전략적 제휴에서 파트너 선정의 기준이 되는 변수들이 인터넷 비즈니스에선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1998년 이후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국내 활동하는 50개 인터넷 관련업체(포털 서비스, 인터넷 소매업, 중개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40개 기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는 SPSS/PC+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주요성공요인의 인식정도와 파트너 선정기준의 중요도간에는 정(+)의 관계가 있었다. 둘째, 제휴 성립 시 경쟁포지션과 파트너 선정기준의 중요도간에는 부(-)관계가 있었다. 셋째, 제휴 성립 시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지속적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한 내부개발 어려움의 정도와 파트너 선정기준의 중요도간에는 정(+)의 관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