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성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이성화,김병래,Lee, Sung-Hwa,Kim, Hyung-Lae 한국전기전자학회 1998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 No.1

        In this thesis, experiment have performed with the speaker recognition using multilayer feedforward neural network(MFNN) model using Korean and Japanese digits . The 5 adult males and 5 adult females pronounciate form 0 to 9 digits of Korean, Japanese 7 times. And then, they are extracted characteristics coefficient through Pitch deletion algorithm, LPC analysis, and LPC Cepstral analysis to generate input pattern of MFNN. 5 times among them are used to train a neural network, and 2 times is used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neural network. Both Korean and Japanese, Pitch coefficients is about 4%t more enhanced than LPC or LPC Cepstral coefficients. 본 연구에서는 다층 순방향 신경망(MFNN) 모델을 이용해서 한국어 및 일본어 숫자음 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 5명의 한국인 남성 및 여성 화자가 0부터 9까지의 10개의 숫자를 7회 발음토록 하였고, 그중 2회 발음한 것을 인식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들 음성 데이터로부터 각각 추출된 피치 계수, 선형 예측 계수, 선형 예측 켑스트럼 계수들을 신경망의 입력 패턴으로 입력시켜 인식 성능을 측정하였다. 한국어를 사용한 실험과 일본어를 사용한 실험 모두에서 피치 계수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계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약 4% 정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의 예후지표로서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와 간정맥압차의 비교

        이성화 ( Sung Hoa Lee ),박승하 ( Seung Ha Park ),김고운 ( Go Woon Kim ),이우진 ( Woo Jin Lee ),홍원기 ( Won Ki Hong ),류명신 ( Myeong Shin Ryu ),박규태 ( Kyu Tae Park ),이민영 ( Min Young Lee ),이찬우 ( Chan Woo Lee ),김진호 ( Jin 대한간학회 2009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5 No.3

        목적: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3개월과 12개월 시점의 간정맥압차와 MELD의 사망예측 정확도를 비교하여, HVPG의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한림대학교부속 춘천성심병원에서 136명의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HVPG를 측정하였다. 생존분석의 1차 결과 변수로서 3개월과 12개월에서의 사망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Cox 회귀분석 결과, MELD와 HVPG 모두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확인되었다[각각 hazard ratio는 1.11(95% CI, 1.04 to 1.20)과 1.12(95% CI, 1.08 to 1.16)]. 두 변수의 ROC곡선의 AUC를 비교해 볼 때, 3개월에서 유의하진 않지만 MELD는 HVPG보다 사망예측에 있어서 정확도가 8% 정도 더 높게 보였다[0.76(95% CI, 0.62 to 0.89) 대 0.68(95% CI, 0.52 to 0.84), P=0.22]. 12개월에서는 MELD와 HVPG 모두 비슷한 사망예측의 정확도를 보였다[0.72(95% CI, 0.61 to 0.83) 대 0.73 (95% CI, 0.61 to 0.84), P=0.45,]. 결론: MELD와 HVPG는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사망과 관련된 독립적인 예후인자로서 사망예측의 정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HVPG는 침습적이고 소수의 의료기관에서만 시행된다는 점에서 사망예측인자로서 HVPG의 역할은 제한적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HVPG의 다양한 예후인자로서의 임상적 역할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폭넓은 환자군(원인, 성별, 지역,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전향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s/Aims: This study compared the prognostic values of the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MELD) and the hepatic venous pressure gradient (HVPG) in the prediction of death within 3 and 12 months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Methods: We used data from 136 consecutive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irrhosis who underwent HVPG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08. Cox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relationships with death of MELD and HVPG. The prognostic accuracies of MELD and HVPG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ROC) for the occurrence of death within 3 and 12 months. Results: Both MELD and HVPG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death [hazard ratio (HR)=1.11 and 1.12, respectively; 95% confidence interval (CI)=1.04~1.20 and 1.08-1.16]. Analysis of the AUROC demonstrated that the prognostic power did not differ between MELD and HVPG for predicting the 3-month survival (HR=0.76 and 0.68, respectively; 95% CI=0.62~0.89 and 0.52~0.84; P=0.22) or the 12-month survival (HR=0.72 and 0.73, 95% CI=0.61~0.83 and CI=0.61~0.84). Conclusions: Both MELD and HVPG a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death within 3 and 12 months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and their accuracies are similar. However, HVPG has a limited role in the prediction of death in decompensated cirrhosis due to its invasiveness and limited use. (Korean J Hepatol 2009;15:350-356)

      • 종방향 차량모델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휠로더의 연비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이성화(Sunghwa Lee),박태호(Taeho Park),진기창(Kichang Jin),이형철(Hyeongcheol Lee),권영민(YoungMin Kwon),이종찬(Jongcha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0 No.11

        This paper proposes the configuration of parallel hybrid wheel loader and power control algorithm. The target vehicle is composed of engine, battery, motor, torque converter, transmission, vhehicle, and wheel. The main control strategy of the target vehicle is to optimally distribute demanded power from the power sources by considering highest efficiency point of the engine and motor. Furthermore, when there is no engine load, the idle stop technology is applied. A hybrid wheel loader model and the proposed algorithm are developed by unsin AMEsim, verified through the simulation,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nventional wheel loader. Simulation results show fuel reduction and narrow swing of SOC, and thus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 KCI등재

        동북아 시대 한국인의 자아 변화

        이성화(Seonghwa Lee)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1

        이 논문은 동북아 시대 한국인의 자아를 민주주의와 민주적 자아라는 관점에서 연구한 글로서 동북아 공동체 논의에‘사회세계’민주주의와 ‘타자’로서의 민주적 자아가 전제될 것을 주장한다. 그러기 위해서 한국에서의 민주주의와 자아 정체성 담론은 영토성 개념 또는 수목질서에 정초된 민족국가 및 개인의 주권적 주관이 소거되어 있고, 민족적 문화적 차이들을 수렴할 수 있는 실천적인 사회세계 민주주의와 변환적 자아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인의 자아는 주변적이지만 역동적인 재만 조선족의 ‘타자’ 정체성을 귀감으로 실천적이며 그로써 창의적일 수 있는 변환적 자아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사회세계 민주주의와 타자의 변환적 자아는 ‘가능성의 민주주의,’ ‘가능성의 자아’로서 인식 주관 또는 가치 존재의 주권적 중심으로 환원될 수 없는 실천적이며 해석적인‘변환적 보편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정체성 담론과 실천의 관계는 언어와 실천의 관계로서 수사학과 해석학을 융합하는 언어의 소통 문제이다. 공적 영역의 최소화를 의도하는 절차 민주주의 담론 아래 언어적으로 전환된 민주주의와 자아 정체성 담론은 사유화된 기제, 조직으로 침전된 절차주의, 관료주의, 지역주의의 권력 담론으로 응집되고 있다. 민주주의와 민주적 자아의 변환성 문제는 권력 담론으로 침전되어 기득화된 한국에서의 민주주의와 한국인의 자아 정체성에 역동성과 활력을 불어넣는 재조형 과제이다. 한국인의 자아 재조형 과제는 동북아 공동체 논의에서 민족국가, 민족주의, 그리고 지역주의의 정체성 담론에 응집 되어 기득화된 주권적인 권력 담론으로부터 동북아 공동체를 가능성의 공적 사회세계로서 재 조형 하는데 있다. 또한 가능성의 공적 사회세계는 지역주의 정체성 담론에 한정되지 않은 ‘세계민주주의의 가능성’이며 그것은 실천적이며 협의적인 전 지구적 ‘공생 세계의 가능성’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Koreans’ego in the age of North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cy and democratic self identity. It’s argument on democracy and democratic self identity presupposes public social world(mitwelt) and the other’s self transformation in the discourse of Northeast Asian Community. For this end, both discourses on Korean democracy and Koreans’self identity need to be transversal instead of territorial identity of the sovereign subject grounded in nationalism, liberal individualism, and regionalism. In specific, Koreans’self identity need to be transformed reflexively in accordance with the other, marginalalized but dynamic ‘Joseon-Jok(朝鮮族)’living in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Manchuria). As the transversal self identity means the possibility of democratic self which is yet to come, so the possible democratic self can be explained by the interpretive linguistics of hermeneutics, which converges sovereign subject of epistemology or being with the practices of transversal-universal communication. Requiring minimal public space, the increasing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power in Korean politics congeals into the privileged forms of privatized procedure and bureaucracy under the discourse of procedural democracy. In consequence, the problem of transversality in Korean Politics raises a task to reconfigure procedural democracy and self identity within the public social world which is yet to come. In the same vein, reconfiguration of the privileged sovereign power in the discourses of Northeast Asian Community signifies a task to reconfigure the discourses of nation state, nationalism, and regionalism in the possible public space of global social world. It’s possible public social world means possibility of world democracy beyond territorial, historical, and regional identity. It is also a possibility of dialogical global community achieving common prosperity of world economy and common responsibility.

      • KCI등재

        베트남 토지등록제도에 관한 연구

        이성화(Lee, Seong Hwa) 한국지적학회 2014 한국지적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통일 한국시대에 문제시 될 북한의 토지등록에 대한 사전적 준비를 위해 사회주의 국가의 토지등록 제도를 검토하여 북한에 적용 가능한 토지등록 모델을 구현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범위는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공존하였던 국가중 베트남으로 한정하였으며 베트남 토지법을 적용하였다.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현지 인터뷰를 통한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베트남 토지등록은 토지사용구상(planing) 및 계획(plan) 수립, 토지 배분 및 토지회수, 토지사용권의 등록, 토지가격의 결정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러나 토지등록제도의 문제점으로는 토지법과 토지에 관련된 법률이 서로 충돌되고 있었으며, 토지자원은 국가의 경제 사회발전을 위한 중요한 힘이 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었으며, 토지관리 행정업무 실행 시 많은 제한이 존재하고, 토지법의 규정은 토지소유 대표자로써 국가의 결정권 실행에 대해 분명하게 표현되지 않았으며, 토지분쟁 및 소송 해결에 관한 법률규정은 사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부동산시장에 속한 토지사용권은 많은 약점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토지에 관한 행정업무절차는 매우 복잡하고 업무처리기간이 상당히 길어 부정부패가 만연할 소지가 있다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alize a land registration model that can apply to North Korea in order to be prepared in advance for land registration in North Korea, which can be a matter of concern in the era of the unified Korea, by examining the land registration system of a socialist country. The study range is limited to Vietnam and its land law amongst the candidate countries and their land administration environment where capitalism and socialism coexist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Secondary data collection in the literature review has been conducted for survey method and study through local interviews has been conducted for approach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on the land registration system in Vietnam has been classifi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such as land use planning and plan, land allocation and land recovery, land-use right registration, and pricing decisions on land The land registration system, however, revealed a numerous problems: the land law and the land-related laws often come into conflict with each other; land resources are not in their most effective use to be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nation; the administrative duties for land management face many limitations when they are to be earned out; the regulations of the land law have not clearly stated about the final say of the nation as the representative of land owners; the regulations on the settlement of land dispute and lawsuit fall short of demands in reality; the land use right in real estate market shows much vulnerability; and the land administration procedure in Vietnam is so complicated and usually involves much delayed task handling duration that it can engender widespread graft and corruption.

      • KCI등재

        베트남 토지등록제도를 통한 통일 후 북한지역의 토지등록제도 구축에 관한 연구

        이성화(Lee, Seong Hwa),이덕형(Lee, Deok Hye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2

        남북 분단 이후 북한의 토지제도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분단 이전의 북한자료를 중심으로 국한되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현실의 북한상황을 제대로 반영한 토지등록제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통일 이후 북한지역에 적용 가능한 토지등록제도의 구상 및 도입을 위한 선행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회주의 국가로서 사회통합 및 경제성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베트남의 토지등록제도가 통일한국의 북한지역 토지등록제도 구축에 매우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이를 통해 통일 후 남·북한 토지등록제도의 단절에 따른 부조화를 최소화하고, 통일이후 북한의 토지등록제도 및 토지사용제도 등 토지제도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land system after the division of Korea into south and north areas have been limitedly conducted focusing on data from North Korea before the division. Especially, there has been insufficient amount of study examining the land registration system that fully reflected the real situations in North Korea.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conduct a preceding research for the map-out and adoption of land registration system applicable in North Korea after the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Hereupon, the land registration system in Vietnam continuously proceeding social integration and economic growth as a socialist nation has been researched to be very similar with the one expected in unified Korea. Seen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has sought for a direction of development of land system including land registration system or land usage system in North Korea after the reunification as well as minimization of incongruity from disconnection of land registration system in South and North Korea after the reunification.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 현황에 관한 연구

        이성화(Lee, Seong Hwa)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4

        최근 정부의 북방정책에 따라 우즈베키스탄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공간정보 분야도 교류가 확대되고 인적 물적 왕래가 활발해지면서 우즈베키스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우즈베키스탄은 지적 등 지리정보에 대한 조직, 업무, 법체계, NGIS에 대한 이해와 경험 부족으로 체계적인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 모형을 확립하지 못해 어려움을 격고 있어 경제발전에 필수적인 국가지리정보체계의 재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우즈베키스탄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율적이며 표준적인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을 위해 조직, 업무, 법체계 및 NGIS 구축 현황을 분석하였다 Recently, due to the Northern government s policy, interest in Uzbekistan is increasing. It is time for in-depth analysis and research on Uzbekistan when spatial information sector is expanding the exchange and human physical exchanges also became more active. Especially, Uzbekistan is facing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 model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in the organization, business, legal system. Redesign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hich is essential for economic development, is being requested.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sed cadastre status, organizational status, business status, legal system status and NGIS implementation status to establishment an efficient and standard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at can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Uzbekist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