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공업 디자인에서 예술 디자인으로

        이상옥(Lee, Sango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7 No.-

        본 논문은 현대 중국의 디자인 교육의 역사를 통한 내용과 추세, 문제점을 논의했으며, 디자인 교육에 대한 지식이 연구 목적이고 방법은 역사와 문화주의를 채택하였으며 중국화와 세계화 일반화 등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본문의 이론 검토에서 역사 문화적 디자인 교육의 기초는 영국과 미국에서 경제 발전과 함께 윤리 등 사회 관습 교육의 수단으로 적용되었으며 정부 주도의 디자인 교육의 의미가 주어졌으며 중국화의 디자인 교육 획득은 고등 디자인 인재 배양과 창조성을 가장 중요한 교육으로 삼아 중국적 특성까지 도약하려 한다. 디자인 교육의 역사 맥락은 1999년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 단계로 구분되며 이전 단계에서는 마르크스 이데올로기가 약간의 통제 해제를 보이는 시기가 되었으며 디자인 전공이 태동하기 시작한다. 이후 단계에서는 양적인 증가와 질적인 상승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구가하게 되었다. 전공 개설 통계와 교과 과정 등을 통한 현황과 문제점을 논의했으며 거시적으로 보아 공업 디자인에서 예술 디자인으로의 변신을 중심 주제로 하여 디자인의 실제 중시, 인문적 사고의 기초 강조, 창조성-다원화-종합적 성격의 신세기에 걸 맞는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을 선보이기를 의심하지 않는 상황이 되었다. 결론으로 첫째, 디자인 교육의 “예술 디자인” 전공으로의 개념 확정, 둘째, 잠재력과 실제적 실력을 겸비한 인재와 하드웨어의 완비, 셋째, 우리에게의 귀감을 꼽았다. I purposed that I would illuminate the design education contents, tendencies and problems in contemporary Chinese historical context. For study purpose, background, methods and problems of the paper, I would acknowledge the true understandings of modern Chinese design education so use the historical-culturalism perspectives to study convergenc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outer world. In the related theories reviews, I would suggest that the design education be related with economic conditions of the nations like England and America. Chinese government would drive the policies on design education because of stress the creativities for educating high-class pro-specialities. The boundaries year of design education contexts would be 1999. Before the period, gov. would stress less ideologies, and after that, quantities and qualities growth would be certain. In conclusion, I would that first, art design be the main idea, second, probabilities and abilities of design education be fixing stage, and third, the contents and future tendencies of design education be the lessons for that of Korea.

      • KCI등재

        한국과 대만 청소년의 학교 경험과 학교 밖 경험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이상옥 ( Sangok Lee ),손은령 ( Eunyoung S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는 한국과 대만 청소년의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한국 청소년들의 시민의식을 독려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에 공개된 국제시민교육연구(ICCS) 2016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과 대만 청소년들의 시민의식에 미치는 7개의 영향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의 경우 학교 경험에서 시민교육, 의사결정 활동, 창의적 활동이 시민의식에 영향력이 나타났다. 학교 밖 경험에서는 또래와의 대화가 시민의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고 사회참여활동에서는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부모와의 대화와 대중매체활용은 시민의식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만의 경우 학교 경험에서 시민교육, 의사결정 활동은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창의적 활동은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교 밖 경험에서 부모와의 대화, 대중매체 활용이 시민의식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또래와의 대화와 사회참여 활동은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청소년들의 시민의식을 독려하고 함양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사회참여활동과 부모들의 시민의식함양을 위한 노력을 독려하는 한편 대중매체 선택과 활용을 신중하게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itizenship of Korea and Taiwan youth`s and to encourage citizenship of Korean youth. So we used the data from the 2016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Study (ICCS), which was released in 2018, to examine the seven factors affecting citizenship among Korean and Taiwanese you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Korea, in school experiences civic education, decision-making activities, and creative activities had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In the out-of-school experience, talking with peers had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had not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but talking with parents and using of media had negative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Second, in the case of Taiwan, in school experiences civic education and decision-making activities had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but creative activities had not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In the out-of-school experience, talking with parents and using of media had negative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but talking with peers and social participation had not an influences on citize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suggest that mor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Efforts to Cultivate Parents’ Citizenshipt, and media selection and utilization need to be carefully provided in order to encourage and cultivate citizenship among Korean youth.

      • KCI등재

        도가의 철학성 소고

        이상옥(Lee, Sangok) 한국도교문화학회 2011 道敎文化硏究 Vol.35 No.-

        노자, 장자와 니체의 철학사상을 중심으로 개념과 사상 체계의 상호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 주요하게는 노장 사상을 니체의 철학으로 재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동, 서양 철학사상의 개념 및 이론의 비교를 위해 세 가지 양대 사상 융화성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본문에서 주로 노자와 장자를 니체의 상대적인 이론과 비교 융합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노자의 경우 도와 정치사상에 있어서 니체와 본체론적 비교가 가능하다. 장자와 니체는 상호 사상의 재해석을 통한 비교가 가장 활발한 논제이다. 장자의 사상은 니체와의 비교를 위해 자유와 무위, 그리고 언어 표상의 세 가지를 중심으로 니체와의 사상 접근성을 논의한다. 니체는 언어가 인간의 사고방식과 생활을 구축(構築)하고 결정짓는 방법(ways)이 결코 될 수 없음을 분명히 인식한 점에서 장자와 기본 개념을 같이 한다. 결론으로 다음 세 가지를 귀납하려 한다. 첫째, 노자, 장자와 니체의 철학사상의 패러다임의 비교는 그 주요 개념들의 비교를 통해 상호 영향과 사상 맥락의 역사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노자와 장자의 장치사상과 기본 개념의 경우 극단적이고 상대주의적 관점을 노정한 데 반해 니체의 경우 합리적이고 질서적인 가치와 정치사상으로의 회귀를 위한 과정으로 인식된다. 셋째, 동, 서양 양대 사상의 비교와 상호 전용의 가능성의 모색은 사상 융화의 방법론의 계발과 더불어 사상의 해석학적 재해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사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계발할 수 있다. I would explain the Chinese Lao-Zhuang philosophy through the Nietzsche philosophy and thought method. My theme suggestion is as follows: why should Nietzsche be the standard for interpretation of Laozi and Zhuangzi philosophy? And what does the Laozhuang philosophy has congeniality with Nietzsche philosophy? The method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has the ‘mutual identity’ between the Nietzsche’s and Lao-Zhuang philosophy. Laozi and Nietzsche philosophy would have mutual conformity each other. Laozi’s dao and political thought has the certain conformity with the concept of freedom and liberation by Nietzsche. Zhuangzi have had the intensive mutual meaning transformation with Nietzsche with the concepts of freedom, wuwei and language. Zhuangzi intended that ultra relativism with his freedom concept world, and Nietzsche had been the new situation for the new world and people against the ruler and existing class.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ree points that first, Lao-Zhuang philosophy comparison to the Nietzsche philosophy has the influential meanings. Second, Lao-Zhuang philosophy should have the ultra nihilism tendencies, and Nietzsche has new concept and world establishment. Third, afterwards it needs that the study of Nietzsche and Lao-Zhuang philosophy’s mutual identity would be achieved through the meanings differences between texts and historical contexts in the basis of hermeneutics comparison.

      • KCI등재

        고대 중국 미학의 인식론 시론(試論)

        이상옥(Sangok Lee) 한국도교문화학회 2010 道敎文化硏究 Vol.33 No.-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plain the systemic concepts of epistemology in Chinese ancient aesthetics in the context of the concepts and system in Western modern aesthetics. The comparison and hermeneutics methods would be appli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rned aesthetics text and related elements-historical and cultural influence. Western aesthetics tradition divided two: German and English, as priori and experience sense about beauty. Kant had synthesized the two traditions. The solution was to acquire generalization between th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The method of comparison was adopted as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s and cultural differences. The traditions of ancient Chinese aesthetics were two: Confucius and Laozi. The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used as the instrumental and means for the sake of political thought. The beauty, in the eyes of the ancient Chinese aesthetics theorists, was the highest level of the good. That thesis composed the contents and methods. I suggest, in conclusion, the three points that first, Chinese ancient aesthetics seldom had has autonomy and independence itself value of beauty itself. Second, it seemed to need synthesize the three thesis of epistemological sphere between priori and experience, text and environmental elements, and intents and non-intents. Third, it needs that we would have value free concept sets framework for systemizing ancient Chinese aesthetic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현대 중국 건축 디자인과 서양 및 전통의 두 기원(起源)

        이상옥(Lee, Sango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5 No.-

        현대 중국의 건축 디자인의 양식과 사상을 서양화, 복고주의와 중-서 절충형의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중국 전통과 서양 요소의 기원과의 융합과 절충의 양태의 실제와 사상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주류-전반적 서양화 디자인 유형과 사상-고전주의, (후)현대주의 및 역사주의와 중국전통 건축 디자인의 요소를 현대 중국 건축 디자인 유형의 주제로 보고 경향을 둘로 나눈다. 특히 중국 전통 디자인은 주체(창조자와 소비자)와 객체의 관계를 중시하는 특징을 띤다. 현대 중국 건축 디자인의 특징으로 현대주의와 (신)고전주의로 디자인 창조의 정신은 고전주의에 입각하여 현대적인 감각의 형상화를 응용하였다. 복고주의는 서양화가 소련과 고대 중국의 건축 양식으로 복원되었다. 절충형 디자인은 근대 식민지 역사 맥락을 반영한다. 결론으로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현대 중국 건축 디자인의 주류는 서양 고전주의 건축 디자인 사조의 모방이다. 둘째, 복고주의 형식의 건축 디자인은 보수주의와 문화제일주의의 중국적 특징을 반영한다. 셋째, 절충형 건축 디자인의 방법은 증가하는 추세로 외관은 주로 서양 양식으로 건축 객체 주변과 기능성에 대한 적용성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강조되며 내부는 중국적 요소를 결합하고 있다. I proposed that three theses about architectural design(hereafter AD) would have been divided by three thoughts and/or forms of overall westernization, restoration and China-western mean-formation in contemporary China. I would suggest that three categories about AD, which are generalized theories and resources of contemporary China`s AD, are classicism, modernism and historicism. And specialized Chinese traditional AD theories, which be the one of resources of contemporary AD, would be considered that relations between subjectivity of creativity of architectural designers and consumers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AD, the architectural situation would be the three types as follows: first, classicism considered as tendencies to the western thoughts and life styles, and restorationism as the legacies of Soviet Union and ancient AD, and moderation as the outer western and inner Chinese AD in contemporary China.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at, first, classicism be the mainstream, second, restorationism be the retreat tendency, and third, moderation be the popular AD tendencies.

      • KCI등재

        현대 미학의 이론에서 본 도가 미학

        이상옥(Lee, Sangok)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7 No.-

        중국 도가의 미학 사상의 본체를 여기에 상응하는 서양 미학의 개념과 사상 구조와 내재적인 유사성, 즉, 친화성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현대 미학의 본체론 이론을 중심으로 검증하려고 시도했다. 이론적인 검토를 위해 현대 미학의 본체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는데 미학 발생 인식의 전통이 현대에 들어와서 비판의 대상이 된다. 미 존재의 생성과 특징, 그리고 목적에 대한 숙고(熟考)를 통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등은 해석학과 현상학적 미 근원의 설명을 시도한다. 역사와 문화적 맥락과의 연계 하에서의 예술의 존재를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대 미학 이론의 배경 하에 노자와 장자의 심미의 본체와 그 근거, 그리고 심미 주체와 객체, 과정 등에 대한 초보적인 이론화의 작업을 시도했다. 노자에 있어서 미의 본체는 예술과 심미의 차원과 다른 진실(진, 眞)과 선(善) 등과 유사한 개념을 가진 인간과 사물의 속성과 성격을 표상하는 상징 부호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그의 충실한 사도(師徒)인 장자에게 전승되어 미학의 본체는 ‘도’의 원리를 체현하는 인간의 존재나 행위이다. 미 존재의 생성, 특징과 목적에 대한 노자의 이론은 주로 ‘허(虛)’와 ‘무(無)’에 근거하고 있고 이는 ‘실(實)’과 ‘유(有)’와 대립이 아니라 상생(相生)의 관계이며 나아가서는 양자의 통일을 이루는 경지로 나아간다는 개념을 전개한다. 이것이 장자에게는 심미 주체나 객체, 예술의 창조자 모두 이러한 정신 자유의 경계를 획득하는 것이 미의 목적이다. 그러므로 ‘도(道)’ 획득의 주요한 수단으로 간주되었다. 미 주체와 객체 그리고 심미 인식의 과정 이론에서는 노자와 장자 모두에게 관조(觀照)의 태도가 심미 주체에 요구되는 기본 조건이다. 노자에게는 만물 창조의 원리로서의 ‘도’와 구체적인 심미 객체와 대상에 내재한 ‘도’는 최소한 구분되어야 한다. 장자에게 관조의 심태(心態)는 심미 주체와 객체를 연계해주는 중요한 방법이다. 결론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하려 한다. 첫째, 노자와 장자의 심미 이론의 미(美)의 본체론은 심미 주체의 정신상의 절대 자유 추구를 위한 방편으로 ‘도’의 체득을 위한 수단의 의미로 개념화되었다. 둘째, 심미 주체의 인식 작용이 심미 본질보다 더 중요한 제1요소로서 관조(觀照)를 그 주요인식 방법으로 채택한다. 셋째, 심미의 과정은 실(實)이 아닌 허(虛)의 개념이다. 실체로서의 심미 객체와 대상이 심미 주체의 심미 작용을 통해 주체화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심미 과정이다. I would explain the Chinese Lao-Zhuang aesthetics through the theories and epistemology methods. My theme suggestion would be as follows: why should contemporary aesthetics be the standard for interpretation of Laozi and Zhuangzi aesthetics? And what does the Lao-Zhuang ontology aesthetics has congeniality with contemporary aesthetics? The method and aesthetics background has the ‘mutual identity’ between the contemporary and Lao-Zhuang aesthetics. Laozi ontology aesthetics would have first important element in the epistemology of Beauty. Laozi`s dao and aesthetics thought has the certain conformity with the concept of freedom and liberation by Daoism. Zhuangzi have had the intensive mutual meaning transformation with the concepts of freedom, consideration(관조, 觀照, guanjiao) and nothing(허, 虛, xu). Zhuangzi intended that ultra relativism with his freedom concept world with the his aesthetics thought, and Lao-Zhuang aesthetics theories had been the new situation for the new aesthetics world and ideas against the pure Beauty for the purpose of itself.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ree points that first, Lao-Zhuang aesthetics comparison to the contemporary aesthetics theories has the influential meanings from the instrumental concepts. Second, Lao-Zhuang aesthetics should have the ultra important tendencies from the point of subjectivity of Beauty, and Lao-Zhuang has new aesthetics concepts and world establishment. Third, afterwards it needs that the study of Lao-Zhuang aesthetics mutual identity would be achieved through the proceedings of meanings differences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contexts in the basis of Lao-Zhuang and contemporary aesthetics theories compari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