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자서명 장기검증을 위한 인증역사서비스

        이병천(Byoungcheo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전자서명의 장기검증이란 서명에 사용된 인증서의 유효기간이 지난 오랜 후에 서명을 검증하고자 하는 문제이다. RFC3126에서는 전자서명의 장기검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타임스탬프기관(TSA)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전자서명에 타임스탬프(TS)를 부가하여 장기검증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TSA의 인증서도 유효기간을 가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새로운 TS를 계속 부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과거에 사용했던 인증서 및 CRL등의 인증체계 자체를 보존하고 인증해주기 위한 메커니즘은 인증체계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현재의 공개키기반구조(PKI) 메커니즘에는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인증체계의 장기검증을 위해 RFC3126[1]의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인증체계의 과거역사를 보존하고 보증해주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데, 인증기관이 자신의 인증서를 갱신하는 경우 자신이 운영했던 과거의 인증역사에 대해 봉인을 하고 책임있는 사후서비스를 하도록 하며, 현재의 인증서에 과거역사에 대한 명시적인 인증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인증체계와 함께 이용될 수 있고 인증체계의 연속성을 보장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되며 전자서명 장기검증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복수 K-FIDO 기기 환경에서의 인증키 관리

        이병천(Byoungcheon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7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7 No.2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패스워드를 대체하기 위한 FIDO(Fast IDentity Online)[1,7]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FIDO 기술은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편리한 사용자 인증과 스마트카드 기술을 이용한 안전한 키관리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자 신원인증 기술이 함께 제공되지 않아 사용자가 FIDO 기기를 원격 서버에 초기 등록하는 과정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신원인증 방식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K-FIDO[3]는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FIDO기술과 인증서기반 기술을 하나의 기기에 접목시킨 것으로 사용자의 초기등록 과정에서 인증서 기반 인증을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복수의 K-FIDO 기기를 사용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빠르게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런 환경에서는 만일 기존의 방식대로 하나의 인증서를 여러 기기에 복사하여 사용하거나, 기기별로 별도의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하게 된다면 많은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체확장인증[4]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 K-FIDO 기기 환경에서 인증키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FIDO(Fast IDentity Online) technology is expanding very rapidly which can replace traditional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with biometrics technology[1,7]. FIDO provides convenient authentication with biometrics technology and secure key management with smart card technology, but it does not provide user identification, thus traditional user identification technology should be used before a FIDO device is registered to a FIDO server. K-FIDO[3] is an approach to implement FIDO and certificate-based authentication technology into a single device that user can utilize certificate-based authentication in initial registration of FIDO device to FIDO server. It is expected that very shortly users will own and use multiple K-FIDO devices. If we consider the traditional approach of copying single certificate to multiple devices or issuing independent certificate to each device, there will be many complex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more secure and convenient key management technology in multiple K-FIDO device scenario using self-extended certification[4].

      • 개인 디지털 유산의 장기보존 방안

        이병천(Byoungcheon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현재의 고도 디지털 정보화 사회에서는 많은 자료들이 디지털로 생산, 관리, 이용, 보존되고 있으며 이들의 안전한 장기보존은 역사의 연속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대규모 조직에서는 조직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런 디지털자료의 보관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개인의 디지털 자료는 영속성 있게 보관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개인이 소유한 디지털 유산도 안전하게 장기보존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정책적, 기술적 방안들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공공기관 프린터 관리 시스템의 취약점 분석

        지우중(Woojoong Ji),이경문(Kyungmoon Lee),이병천(Byoungcheon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8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8 No.3

        디지털화가 가속되면서 학교나 도서관 등 공공기관에서 디지털 정보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프린트 서비스의 요구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많은 서비스 가운데 공공 PC에서 프린트 서비스를 이용할 시 사용료를 지불하도록 해야 하는데 관리자에게는 꽤나 까다로운 업무이다. 이러한 까다로운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린트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공공기관의 공공PC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린터 관리 시스템의 취약성을 분석하였는데 공공 PC 관리자 및 프린터 관리 솔루션 개발자들의 보안의식과 보안개발에 대한 인식은 아직 많은 부분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As digitalization accelerates, the use of digital information is increasing in public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and libraries, and the demand for print services is also increasing. Among many services, printing service on public PCs should charge fee to printer users, but it is a very difficult task for administrators. Print management solu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now widely used to automate these demanding task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printer management solutions used in public institutions. However, the security awareness of public PC administrators and printer management solution developers seem to be lac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