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귀인과 성취동기, 친애욕구와의 관계

        李美利 부산여자대학 1985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7 No.-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 추론 능령의 성숙기인 12세, 14세 아동의 귀인 경향을 알아보고 성취동기와 친애욕구를 귀인 과정과 연관지어 설명해 보고자 한다. 성취동기 수준과 친애 욕구 수준에 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귀인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정의적 영역의 발달에 대한 귀인 이론적 접근의 유용성을 실증해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1〉성취 상황에 대한 귀인은 성(sex)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문제2〉성취 상황에 대한 귀인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 〈문제3〉성취 상황에 대한 귀인은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문제4〉성취 상황에 대한 귀인은 친애 욕구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 2.연구 방법 본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마포구와 강남구에 소재하는 2개 국민학교와 남자 중학교, 여자 중학교에 다니는 만12세, 14세 남아 123명, 여아 94명으로 총 217명이다. 이들은 성취동기 수준의 상, 하집단, 친애 욕구 수준의 상, 하집단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동기 진단 검사’를 실시하였고, 귀인 경향을 알아 보기 위해서 ‘귀인 은인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수집된 자료는 문제 1, 2, 3에 대해서는 귀인에 대한 성, 연령, 성취동기 수준의 주 효과 뿐 아니라 상호작용 효과를 보기 위해 귀인 요인 점수를 세가지 개인차 변인에 따라 삼원 변량 분석하였다. 문제4에 대해서는 귀인에 대한 친애 욕구 수준의 주효과뿐 아니라 성취동기 수준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기위해 귀인 요인 점수를 친애 욕구 수준과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이원 변량 분석하였다. 3. 연구 결과 1) 우리나라 12, 14세 아동은 외적귀인보다 내적귀인을 많이 하며, 내적 귀인 증에서도 노력 귀인을 지배적으로 많이 한다. 2) 남아보다 여아의 경우, 성취 결과는 능력이 좌우한다고 보는 정도가 높다. 3) 성취 동기 수준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경우 성취 결과는 노력이 좌우한다고 보는 정도가 높다. 4) 12세 아동보다 14세 아동의 경우 성취 결과는 과제의 어렵고 쉬운 정도에 달렸다고 보는 정도가 높다. 5) 친애 욕구 수준이 높은 아동보다 낮은 아동의 경우 실패의 이유는 행위자의 능력이 부족한 탓이라고 보는 정도가 높다. 6)친애 욕구 수준이 낮은 아동보다 높은 아동의 경우 실패의 이유는 행위자의 노력이 부족한 탓이라고 보는 정도가 높다.

      • KCI등재

        남, 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증의 일상활동 중몰입(flow)경험과의 관계

        이미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ith flow states across daily activities among Korean adolescent boys and girl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1)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in levels of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d flow states across daily activities among Korean adolescents? 2) How are the relationships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ith flow states across daily activities among Korean adolescent boys and girls?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1788 ESM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98 middle school students(39 boys and 59 girls). The students reported their daily flow states across daily activities six times a day for 4 consecutive days, totaling 24 times per person. Daily activities included schoolwork, sports, computer, the other active leisure, conversation, watching T.V., the other passive leisure, and maintenance activities.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owever, girls' flow levels in conversation were higher than boys'. Also,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variations of flow states across daily activities. 2) Boy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low states in schoolwork. And, girls'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low states in the other passive leisure activit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work for boys and passive leisure for girls were important and sensitive contexts in which flow experiences were related their life satisfaction or depression. Increasing flow experiences in these daily activities may contribute to increasing Korea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와 우울증이 일상활동 중 경험하는 몰입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성별과 일상활동의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 우울증, 일상활동 유형별 몰입 수준에 있어서 성차가 있는가? 둘째, 남, 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증은 일상활동 유형별 몰입 수준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일상활동 유형별 몰입 수준은 경험표집법(Exper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순간에 측정되었다. 98명의 중학생(남학생 39명, 여학생 59명)이 개인별로 연속 4일간 하루에 6회씩 총 24회 그들의 활동의 종류와 활동 중 몰입 수준을 보고하였으며 98명의 연구대상으로부터 총 1788회의 일상활동별 몰입 경험 수준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결과분석을 통해서 청소년들이 일상활동 중 경험하는 몰입 수준은 성별에 따라서 그리고 활동의 종류에 따라서 그들의 삶의 만족도 및 우울증과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는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삶의 만족도, 우울증 수준은 의미 있는 성차가 없었다. 2) 대화 활동 중의 몰입 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남학생은 8개의 일상활동 범주 중에서 컴퓨터 활동 중의 몰입 수준이 대화 중의 몰입 수준보다 높았다. 그러나 여학생은 스포츠, 컴퓨터, 대화, TV보기 활동 중의 몰입 수준이 학업 활동 중의 몰입 수준보다 높았다. 2) 남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증은 학업활동 중의 몰입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여학생은 우울증이 기타 소극적 여가활동 중의 몰입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연구결과는 청소년기 적응 수준 향상 및 부적응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일상활동 중의 몰입 경험을 활용한 개입방안 개발이나 적용시 고려점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취업모와 비취업모 유아의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 유아 기질, 환경적 지지의 효과

        이미리,신유림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육아정책연구 Vol.7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tyle, child temperaments, supports from spouses and society on developments of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The participants are 583 employed mothers, 1,179 unemployed mothers, and their 1,762 early children. The average age of the children was 25 months old, which is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sensorimotor stage to preoperational stag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anguage developmental levels of the employed mothers' child and spouses' supports were higher and parenting stress was lower than the unemployed mothers' controlling for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parents' education levels. Second,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ed on employed mothers' and unemployed mothers' child development were child temperaments. Finally, 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tyles mediated the relationships of child temperaments, spouses' supports, and social support with child language development. Findings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effects of mothers' employment on child development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sensorimotor stage to preoperational stage.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와 비취업모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타고난 기질, 배우자의 지지 및 사회적 지지의 유아발달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표본 중 초혼이며 배우자가 있는 취업모 583명과 비취업모 1179명, 그리고 그들의 유아기 자녀 1762명이다. 유아의 평균 연령은 25개월로 감각운동기를 지나서 전조작기가 시작되는 시점으로서 인지, 언어 및 사회성발달에서 질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월평균 가구소득과 부모의 학력 변인을 통제한 후 두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취업모 유아의 의사소통 발달 수준이 높고 배우자의 지지 수준이 높았으며 양육스트레스는 낮았다. 취업모와 비취업모 유아의 의사소통 발달과 개인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기질이었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이 유아의 타고난 기질이나 환경적 지지가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분석한 결과, 취업모 유아의 경우에만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취업모 유아의 기질, 배우자의 지지,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을 매개로 의사소통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감각운동기에서 전조작기로 넘어가는 유아의 발달에 대해 어머니 취업의 효과를 고려하여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Alternatives to In Vivo Draize Rabbit Eye and Skin Irritation Tests with a Focus on 3D Reconstructed Human Cornea-Like Epithelium and Epidermis Models

        이미리,황지현,임경민 한국독성학회 2017 Toxicological Research Vol.33 No.3

        Human eyes and skin are frequently exposed to chemicals accidentally or on purpose due to their external location. Therefore, chemicals are required to undergo the evaluation of the ocular and dermal irritancy for their safe handling and use before release into the market. Draize rabbit eye and skin irritation test developed in 1944, has been a gold standard test which was enlisted as OECD TG 404 and OECD TG 405 but it has been criticized with respect to animal welfare due to invasive and cruel procedure. To replace it, diverse alternatives have been developed: (i) For Draize eye irritation test, organotypic assay, in vitro cytotoxicity- based method, in chemico tests, in silico prediction model, and 3D reconstructed human cornealike epithelium (RhCE); (ii) For Draize skin irritation test, in vitro cytotoxicity-based cell model, and 3D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 models (RhE). Of these, RhCE and RhE models are getting spotlight as a promising alternative with a wide applicability domain covering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this review, we overviewed the current alternatives to Draize test with a focus on 3D human epithelium models to provide an insight into advancing and widening their utility.

      • KCI등재후보

        청소년 초기 일상생활 중 자발적 혼자시간의 사용

        이미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early adolescents' use of voluntary time alone in daily lives. The goals of the study were to understand early adolescents'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aily life experienc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ould be helpful for early adolescents' effective use of voluntary time alone.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was used to measure voluntary time alone in daily lives. One hundred and seven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54 boys and 53 girls) sampled from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or Kyonggi province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spent 15% of their waking hours per day voluntarily alone at home mainly between 2 to 7 pm. Their main activities were maintenance activities, such as eating, washing, resting, and sleeping. Also during alone time, the students thoughts mainly focused on rest or leisure activities. The students' emotional states while alone, when compared to time spent with family or friends, were not more negative. The students' levels of concentration and motivation during that time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exts of family or friends. Findings suggest that early adolescents' voluntary time alone is necessary for their healthy development; and that social and educational supports should be encouraged to make students' voluntary alone time more productiv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초기 일상생활 중 자발적인 혼자시간의 특성을 맥락주의적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자발적 혼자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 경험표집법(Exper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도시거주 중류층 가정 자녀들로 서울과 경기 소재 3개 초등학교에서 편의표집된 6학년 남학생 54명, 여학생 53명이다. 청소년들은 하루 깨어 있는 시간의 15%를 자발적 혼자시간에 보내고 있었고 주로 집에서 방과 후부터 초저녁 시간대에 보내고 있었다. 이 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은 생활유지 활동이었고 주된 생각은 휴식하고 싶다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시간의 정서 상태는 그렇게 부정적이지 않았고 오히려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있을 때보다 주의집중이 더 잘되고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있는 시간보다 이 시간을 더 원한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 초기 청소년들의 자발적 혼자시간은 주로 바쁜 하루의 일과에서 놓여나서 휴식을 취하는 시간이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인 씻거나 먹기 위한 시간이라는 점에서 청소년기 적응적인 발달을 위해 이 시간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이 시간을 단지 생활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활동이 아니라 적극적인 여가활동을 하거나 지적 추구 활동을 위한 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양육적, 사회적, 교육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