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OD의 현황과 전망

        이문학,Lee, Mun-Hak 대한인쇄문화협회 2009 프린팅코리아 Vol.8 No.10

        대한인쇄문화협회와 한국이앤엑스는 지난 8월 18일 코엑스 330호 세미나실에서 2009프린코 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 '디지털인쇄기를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전략'이라는 주제아래 이문학 인천전문대 화상정보과교수<사진 왼폭>가 '주문형출판(POD)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김민수 성도지엘 상무이사<사진 오른쪽>가 '디지털인쇄기의 상업인쇄물 확보전략'에 대해 발제했다. 본고에서는 이문학 교수가 발표한 '주문형출판의 현황과 전망' 중 일부를 요약 게재한다.

      • 객원기자코너-인쇄학과 명칭 변경 신중해야

        이문학,Lee, Mun-Hak 대한인쇄문화협회 2005 프린팅코리아 Vol.39 No.-

        각 교육기관마다 일관성 없는 학과명의 변경은 배움의 당사자들인 학생들에게 교육의 효과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음은 물론 해당업체에도 큰 혼란을 가져다주고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는 무엇인지 대안은 없는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디지털교과서 연구 경향에 대한 메타분석

        이문학(Lee, Mun-Hag),장성준(Chang, Seong-Jun)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대해 논쟁이 확장되는 현시점에서 기존의 관련 연구들이 제기하고 있는 내용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를 다룬 국내의 연구들을 살펴보고, 국내에서 도입예정인 스마트미디어 교육방식에 대한 성과를 가늠해보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집한 자료들은 2000년도부터 2013년도까지 발행된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학술연구들 이다. 분석결과 2000년도부터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논의의 주제의 확장과 2007년 이후 관련연구의 수가 급증함이 발견되었다. 연구주제 중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성과 예측’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시론/논평형식의 ‘총괄논의’가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이용자(교사/학생)의 요구분석’, ‘특수교육에 적용’ 등도 연구주제로 다뤄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 연구경향을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구는 현상분석 중 ‘효과분석’이었고, ‘교과서개발전략’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경향에서는 전자교과서와 관련된 이론연구보다 성과위주의 현상연구에 치중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를 연구하는데 있어 가장 많은 연구대상으로 설정된 집단은 수용자연구를 위한 학생집단 이었고, ‘교과서내용평가’, ‘PC기반의 콘텐츠구성’이 뒤를 이었다. 연구를 통하여 현재 국내에서 디지털 교과서와 관련된 연구들이 확장되고 있지만 주로 기술적인 측면과 현상의 성과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고, 수용자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교사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함에도 불구하 고 학생만으로 편중된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 외에도 교과서 평가 기준의 통일성, 스마트미디어를 논의하는 시점에서 ‘PC기반의 콘텐츠 구성논의’의 시의성문제 등도 함께 도출되었다. This study looks at the contents of existing researches, while dispute of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 is growing. So, this study looks at the domestic research about the Digital Textbooks, and it made a meta-analysis to predict the result of the smart media education system, it is expected to introduce to the domestic. All collected data for research is academic Research, that is related to the digital textbooks, it's issued from on 2000 to on 201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cument, I found the expansion of the discussion topics on digital textbooks since 2000, and the number of related studies also increased, since 2007. All of research Subjects, 'Education and prediction of Digital textbooks' is a high frequency subject, and next is 'general discussion' of Essay/review form. In addition, it shows other research subjects, such as 'Request analysis of Users(teachers / students)' and 'apply to special education'. Meanwhile, result of research trend analysis,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is ‘effect analysis’ of analysis the status, and next is ‘Textbook Development Strategy’. In a study it has been found it focused on phenomenon research of performance-oriented than Study of theory related Electronic textbooks. And when research the digital textbook, the main target was student group for research of user, the next is ‘Textbook contents evaluation’ and ‘PC-based content component’. Through the research, we found this phenomenon. Now In the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digital textbooks are being extended, but mainly, the method is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technical face and the developing, when research of User it did not take teacher's opinions positively, just focused to the students. In addition Timeliness issues of 'PC-based discussion of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is shown together, at the point to discuss the Unity of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and Smart media.

      • KCI등재

        도서의 ‘환경지수 표시’ 에 대한 제안 연구

        이문학(Lee, Mun-Hag) 한국출판학회 2011 한국출판학연구 Vol.37 No.2

        오늘날 인쇄출판 산업의 당면과제로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영상매체와 휴대폰 등에 길들여져 있는 독자들에게 독서의 소중함을 일깨워 책 읽는 습성을 되찾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녹색산업으로 탈바꿈시키는 문제도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환경문제를 바탕으로 각종 도서에 환경지수(이산화탄소 배출량)의 표기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전제로, 이의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쇄용지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산출은 Koljonen(2008)의 각 기관 자체 수행 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산출할 수 있었으며 인쇄용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평균 0.97g 이었다. 2. 인쇄잉크에서 인산화탄소 배출량의 산출은 연구조건상 산출하기 어려웠으나 Koljonen (2008)이 각 기관 자체 수행 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산출한 값으로 대신할 수 있었다. 3. 인쇄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산출도 Koljonen(2008)의 보고서를 토대로 산출할 수 있었으며 인쇄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평균 0.27g 이었다. 4. 종별 도서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표시하기 위한 제도 및 법적 근거의 도출은 우리나라의 경우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저탄소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되어 있는 등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었다. 이로써 각종 정책과 제도를 바탕으로 도서에 이산화탄소 배출량(환경지수)을 표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더 완벽한 산출방법이 연구되어야 하고 제도적 개선책 또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blishing/printing industry that makes books also causes greenhouse gas, which is an environmental harmful material, along with almost all sectors of industry. In management of companies, except the Green business, concerns for the environment and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other businesse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Green business cannot go through well while Green growth is rising. So, if the regula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is seriously made up, the worth of paper will get higher, and the publishing/printing industry will be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cut down on the amount of paper their company uses. As an urgent problem, facing with today’s publishing/printing industry, it is not only important to arouse peopl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reading books and make them have a habit of reading books, but it is also important to change industries into a new form of green businesses. This study, with these urgent problems, focuses on objectives that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institute a way of marking carbon dioxide emissions, made by publishing and printing various books, based on the thought of needing to have a way. Subject for inquiry 1: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on the printing paper is estimated, based on Koljonen’s (2008) survey conducted by various industries, and the average emission of carbon dioxide of printing paper is about 0.97g. Subject for inquiry 2: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was difficult to estimate in this study condition, but it could be done by the calculated price based on Koljonen’s survey conducted by various industries themselves. Subject for inquiry 3: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could be estimated during the process of printing with Koljonen’s (2008) calculation of emissions of carbon dioxide, and the average emission of carbon dioxide is 0.27g. Subject for inquiry 4: In Korea, systems and a logical basis for marking emission of carbon dioxide on books classified are prepared enough. For instance, the ‘Fundamental law of carbon green growth’ is enacted for providing legal and institutional groundwork about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With this, we think it is possible to mark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environmental land mark) on books based on the various systems and laws. However, we need to study more detailed estimating methods and focus on preparing institutional corrective measures due to the restriction of this study. Here are some restrictions of this study below. First, there are more environmental facts in the process of making books than facts this study showed, like printing paper, printing ink, and the printing process. Secondly, the form of book production processing is changing fast from paper to digital. Thirdly, the estimating method of carbon dioxide emissions was intolerant. However, the meaning or outcome of this study is from a discussion about printing publication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has begun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 hope, taking from this study, the discussion of the printing publication related to environment will be continued and we will promote the realization of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printing publication.

      • KCI등재후보

        저작권과 표절 사례 연구

        이문학 ( Lee Mun-hag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6 No.-

        Recently piracy is an ethical issue in academia and study field. In fact, this has been done unconsciously from long time ago but this did not become social issue or public issue. However, as definition and scope of copyright were re-established, seriousness of piracy and unfair practice of study is under discussion, and a lot of related education and program are being developed. The study investigated limitation scope of copyright through kind of objects of copyright and classification of copyright. In addition, the author examined piracy case and type of study unfair practice, so inquired into measures for piracy and education.

      • KCI등재

        출판물 제작과정의 환경 인자에 관한 연구

        이문학(Lee, Mun-Hag)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2

        For as to world, the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problem is enhanced than any other time in the past because of being 21 century. And the environment problem is highlighted as the world-wide issue. The time of the environment problem intimidates the alive of the mankind and presence of an earth over the time. It becomes the essentiality not being selection in the personal living or the economical viewpoint now to prepare for the climatic modification. As to the company management, the green growth period which it excludes the environment management considering an environment, cannot carry on the company the continued management comes. That is, in the change center of the management paradigm, there is the environment management. Nearly, the greenhouse gas which the publication industry is the environmental toxic material like all industries is generated. The greenhouse gas is ejected in the process of run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print shop of the various kinds material used as the raw material of the book. Particularly, the tree felling for getting the material of the paper is known to reach the direct influence on the global warming. This study does according to an object it considers and organizes the environment parameter based on this kind of fact as to the publication industry. And it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which is used as the basic materials preparing the case that carbon exhaust right transaction(CAP and TRADE) drawing are enforced in all industries and is sustainable the management of the publication industry and reduces the environmental risk among the company many risk management elements and plansand enforces the publication related policy that there is a value. In the printing publication industry, this study tried to inquire into elements discharging the environmental pollutant or the greenhouse gas. Additionally, in the printed publication production process, it tried to inquire into the effort for an environment-friendly and necessity at the printing paper and the printers ink, regarded as the element discharging the greenhouse gas all kinds of the printing materials, operation of the print shop and all kinds of the machines and recycle process, and etc. These considerations make these industrial field employees aware of the significance about a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y try to give a help in the subsequent study producing quantitatively each environmental parameter emission of green house gas. This makes the calculation of the relative CO2 output reproached ultimately possible. Meanwhile, in a sense, many research protects and improving an 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of research at the printing publication industrial field is in progress. There will be the voluntary human face that it has to protect an environment but this can not do by the outside factor according to all kinds of environment related law and regulation. Anyway, because of acting on company management as the factor of oppression, the increase of this environment-related correspondence cost could know that the research that the environment loading relates with a procurement and development,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ntroduction, quality control standard, including, normalizing including a material, and etc. through the part of the effort to reduce the cost low was actively in progress. As to the green growth era, as follows, this paper prescribed the subject and alternative of the print publication industry. It is surrounded by the firstly new digital environment and the generation of the subject. And secondly the printing industry is caused by the point of time when the green growth leaves by the topic which is largest in the global industry and it increases. The printing publication industry has to prepare the bridgehead for the environment-friendly green growth as the alternative for this resolution with first. 21세기 들어 세계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환경문제는 범세계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환경문제가 인류의 생존과 지구의 존재를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거의 모든 산업과 마찬가지로 출판산업도 환경 유해 물질인 온실가스를 발생시킨다. 책의 원료로 쓰이는 각종 인쇄재료의 제조과정과 인쇄공장을 가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온실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이다. 특히 종이의 재료를 얻기 위한 벌목은 지구 온난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출판물 제작과정의 환경인자를 고찰하여 정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모든 산업에서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될 경우를 대비해 출판 경영을 지속가능하게 하고 환경적 리스크를 줄이는 기초 자료로서 이용되게 함은 물론 출판관련 정책을 입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인용과 표절에 대한 법적 해석 연구

        이문학(Lee Mun Hag)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저작권법상 인용과 표절에 대해 법적으로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또한 그 해석의 근거를 여러 판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근래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저작물의 표절에 대해서 국내 저작권법에서는 제대로 명시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저작권 침해와 표절에 관한 저작권법적 해석 고찰, 둘째, 연구부정행위와 이에 대한 각국의 개념 규정 고찰, 셋째, 표절사례와 판례 분석, 넷째, 표절 방지를 위한 저작권 관련 교육 실태 분석이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하였다. 첫째,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철저한 실태 조사, 둘째, 넓은 관점의 연구윤리교육 실시, 셋째, 연구부정행위 사전예방시스템 구축, 넷째, 턴잇인(Turnitin) 등 표절검색시스템의 적극적 홍보와 활용이다.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을 통하여 표절을 예방함으로써 저작물의 창의성 제고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is copyright law interpretation for quotation and plagiarism, and these interpretations are based on many cases. Recently, Plagiarism of the work is big issue but the domestic copyright law does not seem to specify about the Plagiarism of the work.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below. 1)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copyright law about infringement of copyright and plagiarism. 2) A study on Research misconduct and the Definition of various countries. 3) Plagiarism cases and case analysis. 4) Education related to copyright of status Analysis for plagiarism prevention. Based on these studies, I suggest to you a few things as below. - Thorough survey on research misconduct. - From Wide perspective, progress Research Ethics Education. - Advanced prevention system construction for Research misconduct. - Aggressive promotion for the Plagiarism searching system such as 'Turnitin' and utilize the system well. This study contribute to prevent plagiarism and it will help to improve creativity of the wor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세종시대 출판문화정책 연구

        이문학(Lee, Mun Hag) 한국출판학회 2021 한국출판학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세종시대 출판문화정책 연구를 통해 출판의 본질에 대해 고찰하고 오늘날 적용 가능한 출판문화정책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조선시대의 정치경제적 상황과 출판문화적 상황이 어떠했는지 알아보았으며, 특히 세종실록을 중심으로 한 당시 문헌과 자료들을 통해 세종이 펼친 출판문화정책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세종시대에는 국가 지도층이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출판물들을 제작하였고, 도서 편집 및 장서 관리를 강화하였으며, 서적 유통은 관청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역사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오늘날 출판문화정책의 균형 있는 발전 방안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 지도층을 중심으로 하여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출판 장려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둘째, 출판물을 생산하는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전문적인 출판 인력 양성이 중요하다. 셋째, 교육 기관을 거점으로 한 독서 문화가 창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essence of publications by investigating publication culture-related policies during the King Sejong Period and to find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ation culture-related policies that are applicable today. To this end, first,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as well as publication culture-related situa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culture-related policies implemented by King Sejong were examined in detail through period-specific literature, with a focus on “Se-jong Shillok”, a formal historical record written during the King Sejong Period. During the King Sejong Period, books were published under the country’s leadership, while book editing and the management of collections of books were strengthened. The distribution of books was also led by government offices. Based on this historical content,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to create measure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publication culture-related policies today. First, the country’s leadership should take the lead in implementing proactive and active policies to promote publications. Second, the cultivation of publication-related professionals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ing public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 reading culture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as the strategic base.

      • KCI등재

        교과서출판사의 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

        이문학(Lee, Mun Hag),김정명(Kim, Jung Myoung) 한국출판학회 2020 한국출판학연구 Vol.46 No.1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verything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the world is chan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rapid social changes and the education publishing industry is more urgent. This is because the decrease of school-age population, which is the main consumer of Korean textbooks, is ser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untermeasure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competitiveness of textbook publishers who are at the crossroads of chang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2018, the publishers ranked fourth in sa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the ways for textbook publishers to be competitive in the changing environment. First, it is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 that responds to the change continuously. Second, it is the connection between digital textbooks and IT technology. Third, it is to open a new market. Fourth, it is diversification of business field. Fifth, the active use of the textbook research institute. Sixth, it suggests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IMC strategy. 4차산업혁명시대의 도래로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것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급격한 사회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며 교육출판업계는 더욱 절실하다. 이는 우리나라 교과서의 주 소비층인 학령인구의 감소가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출판산업의 변화양상과 교육출판의 중심에 있는 교과서 출판사의 경쟁력 분석과 이를 통한 대응방안의 제시가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교과서출판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변화를 살펴보고, 2018년 매출액 기준으로 4위까지의 교과서출판사를 대상으로 경쟁력 분석툴인 4C분석을 통해 교과서출판사의 경쟁력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교과서 출판사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변화에 대응하는 지속적인 교과서 개발, 둘째, 디지털교과서와 IT기술의 연계, 셋째, 새로운 시장 개척, 넷째, 사업분야의 다각화, 다섯째, 교과서 연구소의 적극적인 활용, 여섯째, IMC 전략이 기반이 되는 조직문화의 형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