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 학습자들의 러시아어 음절두음 발음에 나타나는 epenthesis

        이명자(Lee Myoung J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3

        음성학과 음운론은 그 상호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각각 개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국내 러시아 언어학에서도 통합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나 개별 언어가 가진 고유한 특성이나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의 변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실제 수행되는 음성적 실행결과와 그 결과들에 대한 설득력 있는 해석이 필요하다. 이때의 해석은 언어 보편적인 음운론적 규칙이나 제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마땅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습자들에 의해 발음되는 러시아어 음절두음에 나타나는 현상을 음성학적 실험에 의해 데이터화한 후, 음운론의 최적성 제약들과 제약 서열로 설명하였다. 음절 두음에 2자음 연속이나 3자음 연속이 올 수 있는 영어와 달리 한국어의 음절 두음에는 겹자음이 올 수 없다. 반면 러시아어에서는 영어보다 더 자유롭게 음절 두음에 다양한 자음연속도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학습자들의 러시아어 음절 두음발음이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에서 처음 러시아어를 배우게 된 학부 1학년, 2학년, 4학년 학생들 각각 10명씩을 피험자로 선별하여 음성학적 Praat 분석을 하였는 데, 러시아어 단어 중 2자음 연속이나 3자음 연속 혹은 그 이상의 자음 연속이 음절 두음에 나타나는 단어들을 대상어로 뽑아내 음절경계와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발음하도록 유도하였다. 조용한 방음실에서 녹음된 음성을 음성파일로 저장한 후 분석하여 어느 정도 자음과 모음의 음향적 특징을 파악한 뒤에 여러 음이 섞인 음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러시아어에 대한 인지학습이 많이 이루어져 epenthesis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고 원어민의 발음에 거의 유사하게 발음하는 경향이 강했으나 초급자인 1학년 학생들의 발음에서는 epenthesis가 많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학적 실험 분석에 대한 이러한 결과를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해 음운론에서 발달한 최적성 이론의 언어 보편 제약들을 이용하였는데, 러시아어를 습득하는 기간에 따라 유표성>>충실성(입력부 충실)>>충실성(출력부 충실)에서 시작하여 충실성>>유표성으로 옮겨가면서 학습자들의 모국어인 한국어의 특성에서 학습하는 언어인 러시아어의 특성으로 변이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방법론과 설명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모국어적 언어습관과 인지가 새로 습득하는 러시아어에 대한 인지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차 언어의 변이를 효과적으로 설명한다. Syllables consist of an onset, nucleus, and coda. Whereas Korean do not permit consonant clusters in onset position, Russian allows a wider range of consonant clusters in onset position. Biconsonantal onsets, tri-consonantal clusters are permissible, and the possible onsets in Russian can be even more complex. In the acquisition of Russian by native speakers of Korean, the Russian learners tend to prefer to epenthesize a vowel while trying to pronounce the Russian syllable onset. This paper explored this phenomenon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First I made a phonetic Praat experiment on pronouncing consonant clusters at the beginning of the syllable.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 lower intermediate Russian learners produced a number of instances of vowel epenthesis than more advanced Russian learner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universal Optimal constraints and language-specific constraints ranking in this paper. Outputs of the Praat experiment showed that the Markedness constraint ‘*COMPLEX’ is ranked high in onset pronunciations of the lower intermediate Russian learners, whereas in onset pronunciations of the advanced Russian acquirers faithfulness constraints ‘DEP-IO’ and ‘MAX’ outrank ‘*COMPLEX’ . As a result performing vowel epenthesis, the lower intermediate Russian learner starts with Markedness. As acquisition proceeds, Faithfulness ranks higher than Markedness. This phonological explanation by Optimal constraints might provide a theoretical evidence for the interlanguage variations in the phonetic performances.

      • KCI등재

        메타포를 이용한 러시아 수수께끼의 구조적 특성

        이명자(Lee Myoung J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1

        민속 장르 중 짧은 형태와 언술 표현으로 이루어진 러시아 수수께끼는 구비단문 전승물이며, 질문자와 풀이자 쌍방 간에 이루어지는 언어유희이다. 수수께끼는 메타포를 이용한 민중언어의 기본형태로서의 짜임을 지니고 있어 기억하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전달이 쉽다. 아울러 수수께끼는 말놀이의 기능과 지적 능력을 계발하는 교육적 기능, 상상력과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기능 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주제가 민중의 삶을 둘러 싼 사물의 전반에 걸쳐있는 민속의 기호인데, 본 연구에서는 수수께끼에 나타난 메타포의 양상과 메타포를 교묘히 이용한 수수께끼의 구조를 고찰해 보았으며 아울러 말놀이로서의 음성학적 특성들도 찾아보았다. 러시아 수수께끼에서 메타포로 치환될 수 있는 가장 두드러진 품사는 명사이나 형용사와 동사들도 가능하며 때로는 명사구나 다양한 품사들이 메타포적 치환에 이용되기도 한다. 어휘 역시 민중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대상, 현상, 움직임 등과 자연, 동식물 등이 모두 메타포로 이용될 수 있는데 중요한 것은 치환이 임의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대상과의 상호 연관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대상과 메타포 사이에는 유사성이나 인접성의 원리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개념을 바탕으로 메타포를 이용한 돋보이기와 감추기 장치가 어떻게 러시아 수수께끼에 구조적으로 배치되어 있는지를 밝혀내어 거꾸로 메타포를 통한 연상과 유추 작용에 의한 의미 탐색 과정을 살펴보았다. 음성학적 말놀이 특성으로는 발음이 같거나 유사한 단어들의 연쇄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리듬, 고대로부터 러시아 민속 장르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압운의 사용 등을 찾아내었다. 본 논문에서 찾아 낸 의미 탐색을 위한 돋보이기와 감추기 장치나 말놀이 구조와 같은 러시아 수수께끼의 구조적 특성들은 짧은 언술 속에 담긴 러시아 민중의 지혜를 엿볼 수 있게 하여 러시아 민속의 기호로서의 수수께끼의 가치를 간과할 수 없게 한다.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 통사론의 변화 동향

        이명자(Lee Myoung Ja)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2

        학교 문법을 비롯한 기본적인 형식적(문법적) 통사 구조는 변함없이 그 틀을 유지하고 있지만 통사론 연구의 방향은 점차 기능적이고 의사소통적인 통사구조 연구로 옮아가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특히나 사회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언어동향은 모국어화자들에 의해 인지적으로 형식에 치중하기 보다는 보다 더 내용에 충실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이 기정사실이다. 그리고 이 같은 변화를 가장 뚜렷하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이 대중매체(CMN) 언어와 구어이다. 그리하여 현대 러시아어 통사론에는 ‘구어 통사론(Разговорный синтаксис)’이라는 개념까지 대두되었다. 현대 러시아어 통사론의 변화 경향을 기능적 통사론을 바탕으로 연구한 본 연구에서는 형식적 구조보다는 내용에 중점을 둔 의사소통적 구조에 근거한 러시아어 통사론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특히 대중매체 언어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제 구어들이 검토 대상이 되어 매체 텍스트의 기능적 구조와 구어 통사론의 특성을 실제 예문들을 통해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화제(тема)와 정보(рема)로 분절되는 기능적 어순이 텍스트를 구성하는 매체 언어의 의사소통 구조에서는 화제가 소통의 출발점이 되고 의사소통의 전망을 반영하며 정보는 의소통의 고유한 내용이 된다. 다양한 실제 텍스트들의 분석 결과 러시아어 기능적 통사 구조는 화제와 정보가 병렬적 연결과 연속적 연결에 의해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매체 텍스트의 확산은 개개인의 소통에도 형식적 문장 구조보다 내용에 초점을 맞추는 기능적 구조로 옮겨가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방화 이후 현대 러시아어에서는 분석주의의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것은 모든 문법뿐 아니라 문장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 구어 사용이 확산되고 구어적 통사론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경향의 가장 큰 특징은 현대 텍스트의 통사론적 형성에서 발화구가 더욱 동적이고 기능적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나아가 통사적 구조의 단순화는 물론 신태그마 연쇄의 분절성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예문들을 통해 통사 구조의 분절성, 주격 테마의 발달, 통사론적 연쇄의 약화, 통사적 성분들 간의 불일치와 비지배 관계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ToRI에 나타난 피치악센트 검토

        이명자(Lee, Myoung Ja)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4

        ToRI(Transcription of Russian Intonation)는 억양 유형의 전사 문제를 연구한 Ode(2003)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서 러시아어 억양을 이해하는데 적합한 모델이며, Брызгунова(1976) 이후로 매우 독창적이고 컴퓨터를 이용한 진일보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Ode는 웹사이트(www.fon.hum.uva.nl/tori/)에 ToRI 체계를 예시와 함께 설명해놓고 있는데 특히 러시아어 억양에 나타나는 피치 악센트(pitch accent)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들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기능과의 연관을 고려한 Ode(2008)의 피치 악센트 유형분류에 다소 동의할 수 없는 부분들이 있어 이것을 자세하게 검토하고 Ode와는 다른 의견을 개진하였다. 특히 억양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의문 발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러시아어 억양에 나타나는 성조 분류의 문제, 경계성조의 문제, 중간성조의 문제 등이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논지를 증명하기 위한 방법론으로는 억양음운론을 이용하였으며 Praat 분석에 의한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several evidence for a claim that some pitch accent types of the ToRI system should be modified. In her paper (2003), Ode, who consistently study transcription system of Russian intonation, proposed that ToRI (Transcription of Russian intonation) is a perfect model to understand the Russian intonation. Ode (2008:431) mentioned that ToRI is a new transcription system and available free of charge on the website (www.fon.hum.uva.nl/tori/), which contains detailed explanations and illustrations on the Russian intonation and pitch accent. Ode"s conclusions with respect to various researches of intonation are significantly meaningful and innovative. However, some aspects of Ode"s findings have not received much consensus or confirmation, such as, and in particular, Ode’s pitch accent classification relating to communication. So in this paper I thoroughly examine Ode"s findings and propose new classification. Especially argue "monotone pitch accent with high pitch (H*)","final high pitch boundary tone (H%)", "surplus of mid tone (M)" in Russian intonation. This research examines and focuses on the interrogative utterances where the features of intonations appear clearly.

      • KCI등재

        러시아어 억양과 의미

        이명자 ( Myoung Ja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슬라브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화자가 발화함에 있어 특정 의미를 전달할 때 특정 음조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여 억양 의미는 음조를 구성하는 피치 악센트와 구 성조, 그리고 경계 성조의 결합에서 온다는 관점으로 러시아어 억양과 의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모국어 화자들의 자연스런 발화들을 음성 분석하여 나타난 데이터를 근거로 연구한 결과 러시아어 억양에는 다음과 같은 피치 악센트와 경계 성조가 존재한다. H*, L*의 단일 성조,H*+L(H+L*)과 L*+H(L+H*)의 이중 성조, H%와 L%의 경계 성조. 피치 악센트의 H*는 새로운 정보의 의미를 지니는 어휘의 확인이나 가부를 묻거나 답하는 어휘에서 가장 많이 찾아볼 수 있고, 도움이나 지지를 요청할 때도 사용되며 아울러 텍스트의 비종결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L*는 발화의 문맥에서 더 이상 새롭거나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아닌단순한 화제에서 나타난다. 이중 성조는 억양 의미에서 단일 성조와 크게 다른 점이 상승이나하강의 억양을 통해 강세 받는 항목의 두드러짐을 강조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러시아어 음조 구성소에서 중간구는 정의부터 애매해지며 따라서 구 성조 역시 의미가 없다. 단지 억양구에 대한정보인 경계 성조만이 정보 전달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억양음조 각 구성소의 의미 각각이 결합된 의미가 하나의 발화가 나타내는 억양 의미라고 가정하고 러시아어 발화에서 피치 악센트와 경계 성조 각각이 결합하여 어떻게 억양 의미를 나타내는지를 설명하는 복합적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pitch accents with natural-sounding speech analyses as well as to explain the connection between intonation and meaning in Russian.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a theory of intonational meaning for English (Pierrehumbert, 1980). According to this model, each pitch accent, phrase accent, and boundary tones are seen as the morphemes which have their own pragmatic meaning; the meaning, conveyed by an entire melody, is therefore compositional and depends on the contributions from all tones. Four kinds of Russian pitch accents are proposed in this paper. Moreover pitch accents are combined with boundary tones in order to determine the intonational contour. Russian has two boundary tones. The following table shows how Russian pitch accents are engaged. In Russian discourse, pitch accents are used to describe intonation, such as methods of conveying surprise, changing a statement into a question, expressing information flow (topic-focus, contrasting), or accentuating speaker`s feelings, using variations in pitch. This study might explain the similarities in meaning which conveyed by the identical components in different melodies. Since the numerous data rely on thephonetic ``Praat`` analyses of Russian native speakers, it could be more easily amenabl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and compositional tonal combinations.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 문법적 성범주의 동향

        이명자(Lee Myoung Ja)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1

        모든 언어가 문법적 성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러시아어는 통상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범주로 문법적 성 체계를 유지한다. 러시아어에서 문법적 성은 형태-통사론적 기능과 의사소통적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문법적 성은 대명사나 대용어의 사용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Кирилина(1999:189)는 문법적 성범주의 발달에는 언어 내부의 언어학적 요인들의 상호작용, 예를 들면 언어에 대한 분석주의가 발달하고 통합주의가 약화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하였고, Белошапкова(1997:473-474)는 директор나 доктор와 같이 이미 남성형 단어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직 통성(общий род)¹ 단어도 되지 못한 유형의 단어들이 멀지 않아서 통성으로 완전히 편입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러시아 언어학자들의 예견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사회주의의 붕괴 후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른 현대 러시아어의 발달에서 문법적 성 범주에 나타나는 변화동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학자들의 견해들이 21세기에 들어선 오늘날 실제 사용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검증해보면서 단지 현상의 파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론에 근거하여 현상을 해석하면서 앞으로의 변화 추세까지를 진단하였다. 문법적 성범주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변화는 여성형의 축소이다. 우선 먼저 여성형과 남성형이 동일한 의미자질을 갖는 대상을 지칭하는 변이형으로 존재하는 어휘들에서 여성형은 고어화되었거나 고어화되고 있다. 이것은 잉여적인 두 가지 형태의 사용을 자제하고 단일화함으로써 언어에서 발화의 경제성 원칙에 부합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음으로는, 직업명에서 여성형이 파생되지 않고 총칭적 남성형이 사용되는 경향이다. 새로 생겨나는 직업명들도 총칭적으로 쓰이는 남성형이 생산적인 추세이며, 기존에 짝 형태가 존재하던 단어들에서도 그 실제 사용에 있어 남성형만이 총칭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언어가 경제성 원칙에 부합하여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에서 남성형이 총칭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는 유표성 이론을 통해 설명을 시도하였으며 총칭적 남성형이 자연성과 관련하여 통사론적으로는 어떻게 사용되는 지 살펴보았다. 모든 총칭적 남성형들은 동사 과거시제형에서는 자연성에 따라 남성형과 여성형으로 변별되어 사용되고 있고, 정어와의 일치 관계나 사격형태의 사용에서는 자연성에 따라 남성형과 여성형이 변별되는 것들도 있거나 그렇지 못한 것들도 있다. 페미니스트 언어학자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실제 언어변화에서는 종합적으로 남성형과 여성형의 짝 형태 사용이 지양되고 총칭적 남성형의 사용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것들은 서서히 통성처럼 사용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This study relates to the diversity trends of grammatical gender in modern Russian development due to rapid social changes. Russian linguists have already predicted the diversity trends in the late 20th century. This study shows not only how these linguists' opinions have been applied nowadays in reality, but also the prognosis of future diversity trends based upon the theoretical conclusions. The remarkable change in categories of grammatical gender is a shortage of feminine words. First of all, several feminine words have a tendency of disappearance since masculine words have been preferred among the masculine and feminine words which have the similar meanings and class categories. Secondly, there is a tendency of using masculine words in occupation or an official title without the derivation of feminine words. Today the newly formed names of occupation are generally used in masculine words. This study has explained the generic usage of masculine words using the ‘Markedness Theory’, as well as has displayed the grammatical agreement upon the basis of natural gender. Especially in colloquial speech, verb forms and adjectives are often chosen according to natural gender. If the trend of the use of generic masculine words would be escalated, in the future generic masculine words might be identified and packed into a ‘common gender’ words for equality.

      • KCI등재

        러시아어 억양구 연구

        이명자 ( Myoung Ja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1 슬라브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단순한 러시아어 억양구 연구를 넘어 음성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음운이론과 제약에 의해 보편화시킨 작업으로 음성학과 음운론의 상호 연관까지를 고려한 연구라 하겠다. 또한 기존의 러시아어 억양구 연구가 통사-의미론적인 접근이 주로 이루어진 반면, 본 연구에서는 순수하게 음성-음운론적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억양구의 개념과 운율 계층에서의 위치 등을 정의하였고 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억양 요소가 되는 피치와 음의 길이, 휴지 등을 살펴 적합한 억양구 경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억양구를 이루기 위한 최적한 형태를 찾기 위해 보편제약들을 이용해 러시아어 발화 특성에 맞게 적용시킴으로써 동일한 발화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억양구들 중 가장 최적한 억양구 분절을 찾아낼 수 있게 하였다.

      • KCI등재후보

        러시아어 문법적 성에 대한 연구

        이명자(Myoung-Ja Lee) 한국중원언어학회 2011 언어학연구 Vol.0 No.20

        The classification of Russian nouns into three grammatical genders (masculine, feminine and neuter) has no substantial and well-grounded explanations. The grammatical gender is more or less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word in case a noun denotes a person or an animal. Neuter nouns generally refer to nonliving objects and abstract notions. Also, inanimate nouns can be classified as masculine or feminine. The grammatical gender of these nouns is conditional and inexplicable in regard of their meanings. The division of inanimate nouns into masculine and feminine is determined by their formal endings and syntactical factors. First of all,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various opinions of Russian linguists on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of grammatical gender categories. Secondly this study shows how the grammatical gender distributions have interrelations with the natural gender. This study further shows that Russian language categorizes nouns into genders by two semantic ways; the symbolic similarity in their meaning and the arbitrary conven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