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녹문과 양명의 心性論 비교 연구 - 理氣一物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명심(李明心)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0

        본 연구는 녹문 기학과 양명 심학의 구조적 유사성과 내용적 친연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유ㆍ불ㆍ도를 포괄하는 동양철학의 종지는 천인합일 내지 만물일체를 구현함에 있다. 그런데 유학사상사를 개괄해보면, ‘인간과 천지만물이 하나가 됨’을 체현하는 방법론에서 性命철학과 生命철학의 두 줄기가 전개됨을 알 수 있다. 즉, 정주학은 성명철학에 소속되고, 양명학은 생명철학에 소속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천지우주의 본체론적 개념인 理는 도덕을 상징하고, 氣는 생명을 상징한다. 정주학에서는 리로써 천인합일하는 경지를, 양명학에서는 기로써 만물일체하는 경지를 추구한다. 정주학과 달리 명도는 인간의 본질을 생명으로 규정하는데, 이러한 논리는 ‘性之生理’로써 性과 生을 합일하는 양명이 계승하였고, ‘氣의 生意’를 중시하는 녹문 또한 명도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본성을 ‘도덕’으로 규정하는 정주학과 변별되는 점은 바로 ‘生意’의 강조에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녹문과 양명은 공히 도덕과 생명의 상충이 아니라 도덕과 생명의 합일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학문 내용에 친연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그뿐만 아니라, 그들은 논리체계를 건립하는 방법론에서도 정주학적 ‘理氣二元’을 벗어나 ‘理氣一物’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논리 구조의 유사성마저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similarities and content affinity between the Doctrine of Nokmun’s and the Doctrine of Yangming. The wisdom of Oriental philosophy, which encompass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s to realize the unity of God and men or the unity of all things. To sum up the history of Confucius philosophy, however, the two stems of Human’s Natur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性命) and Lif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生命) unfold in the methodology, which embodies the idea that “Everything that exists is united into one set.” In other words, the Doctrine of Chutzu’s belongs to Human’s Natur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性命), and the Doctrine of Wang Yangming belongs to Lif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生命). In the ontologistic concept of the universe, Li(理) symbolizes The Morality and Gi(氣) symbolizes The Life. While the Doctrine of Chutzu’s pursues the stage of 天人合一(Heaven and The Human is one set) through Li(The Morality), the Doctrine of Yangming seeks the state of 萬物一體(All things are one set) through Gi(The Energy-Life). Unlike the Doctrine of Chutzu, Mingdao defines the essence of man as The Life and Yangming, who unites The Nature(性) and The Life(生) by The Life Principle of The Nature(性之生理), inherited it and Nokmun, who lays stress on Living Will(生意) of The Energy(氣), was also greatly influenced by Mingdao. Therefore, what is distinguished in the Doctrine of Chutzu, which defines the essence of man as “The Morality”, is that the emphasis is on “Living Will”(生意). Even so, Nokmun and Yangming make us aware that the contents of their study have an affinity, in a sense that they both claim the unity of The Morality and The Life, rather than the contradiction of The Morality and The Life. In addition, they even show the similarity of logical structure in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a logical system, by presenting a viewpoint of “Li-Gi-Il-Mul”(理氣一物), outside of the Doctrine of Chutzu’s “Li-Gi-I-Won”(理氣二元).

      • KCI등재

        儒學에 있어서 禮의 生産原則에 대한 연구

        이명한(李明漢) 한국양명학회 2004 陽明學 Vol.- No.12

        본문의 목적은 제례의 원칙 혹은 예의 생산원칙을 연구하는 것이다. 중국고대의 예는 매우 중요한 관념이며, 종교세계에서 인문세계로 전환되는데 있어서 관건의 하나이다. 공자가 인문세계를 개척할 때, 그는 예에 관계된 이론을 발전시켰다. 즉 예를 인에 귀속시켰고, 또한 예를 의에 귀속 시켰다. 이런 이론을 통하여 예 자체는 儀文과 다를 뿐만 아니라, 예의 기초 역시 천에 있지 않고, 인간의 도덕적 자각의식(仁) 혹은 가치의식에 있음을 설명하였다. 禮는 두개의 원칙에 의하여 성립한다. 즉 초월원칙과 내재원칙(생산원칙)이다. 예가 진실한 의의가 있으려면, 반드시 仁에 의거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인이 예의 초월원칙을 의미하는 것이다. 義는 예를 구성하는 내재원칙이고, 이것이 바로 예의 생산원칙이다. 예의 생산원칙은 다섯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정당성 원칙. 2) 존중성 원칙. 3) 배려성 원칙 4) 균등성 원칙 5) 보답성 원칙 등이다. 예는 이런 다섯 가지 원칙에 의해서 생산되고 또한 개혁되는 것이다.

      • KCI등재

        일본 교육사연구 동향의 재구성

        이명실(李明實) 교육사학회 2011 교육사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교육사연구자들이 분석하고 정리한 자료를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을 검토한다. 교육사연구는 과거의 교육이 어떤 지역적·시대적 상황으로 말미암아 왜 그렇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데 초점을 둔다. 이러한 논의가 가질 수 있는 위험성은 특수성을 강조한 나머지 자기중심적 역사관으로 흐를 수 있다는 가능성과 역사서술이 군국주의, 제국주의, 배타주의적 성격을 띨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편견에 치우지지 않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고 과거의 교육을 제대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들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눈에 비친 시대정신을 파악할 수 있고, 우리의 눈으로 본 것과 어디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된다. 우리의 교육사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의 방향이 제대로 설정되고 있는지, 다른 관점으로 볼 수 있는 여지는 없는지, 우리가 모르는 사료는 없는지 둥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교육사연구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