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정수의 1811년 연행과 대외 인식의 노정

        이명제(Lee, Myung-jae)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3

        명청교체 이후 조선 지식인들은 조선을 중화문명의 유일한 계승자로 격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경주하였다. 조선 지식인들의 노력은 종족ㆍ지리ㆍ문화적 측면에서 중화의 지위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중에서도 문화적 측면에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청을 어떻게 사유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중화문화를 내면화하는 문제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된 것과 달리 청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커져만 갔다. 즉 청조의 치세가 안정 될수록 이념과 현실 사이에서 청을 사유하는 방식이 분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李鼎受(1783~1834)가 활동하였던 19세기 전반의 서울지역은 다양한 사유들이 충돌하던 시․공간이었다. 한편에서는 18세기 후반 청 문물의 수용을 주장하였던 북학파들의 영향력이 아직 남아있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辛酉邪獄등을 통해 새로운 사상이 탄압당하고 외척 가문 중심의 권세가들이 정치적 주도권을 획득하고 있었다. 이정수는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다양한 견해를 수용해서 자신만의 독특한 대청관을 내놓았다. 그는 우선 조선의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강조하는 한편 고조선의 지리적 강역을 공유하고 있었던 청과 경계 짓기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청은 ‘이적’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받았다. 이적으로서의 청의 지위는 오삼계론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이정수는 송시열과 김창업, 그리고 일부 북학파에 의해 이루어진 오삼계에 대한 긍정과 청에 대한 이해를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하지만 세계질서에 대한 이정수의 이해는 전통적인 시각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정수는 외국조빙조에서 중국 정사 외국전의 전통에 따라 중국과 해외제국들에 대한 조공․책봉 관계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또한 이정수는 서역에 대한 강한 반감을 드러내었다. 그는 서양의 학문을 금수의 가르침이라고 표현하며 西洋禽獸論을 전개한다. 즉 이정수의 대외인식은 전통적인 중화와 이적의 구도가 여전히 큰 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것이 세계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儒學과 西學, 혹은 反儒學의 새로운 기준으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정수의 문화적 화이관이 19세기 전반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긴밀한 연관을 맺으며 확장된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Ming-Qing transition, Chosun’s intellects made efforts to elevate Chosun as the only successor of Chinese civilization. Their efforts were made in a way to acquire the status of being China in racial, geograph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among them, the utmost effort was made culturally. Meanwhile, they also discussed how to deem Qing continuously. Although the matter of internalizing Chinese culture proceeded rather smoothly, their awareness of Qing differed further. In other words, as the reign of Qing became stabilized, the way of deeming Qing between ideology and reality began to be divided. In Seoul during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when Lee Jeong-soo (李鼎受: 1783~1834) worked actively, a variety of ideas conflicted. Even though Bukhak School insisting the acceptance of Qing’s civiliza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was still influential, new ideas were suppressed through Sinyusaok (辛酉邪獄) or such and the powerful centered around the families of maternal relatives were obtaining the political lead. Lee Jeong-soo accepted diverse opinions from Chosun intellects in the 18th century and presented his own unique view to Qing. First of all, he emphasized Chosun’s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 and then, he tried setting boundary from Qing which was sharing territory with Gochosun geographically. Through this, Qing was assigned with its identity as ‘ijeok’. Qing’s status as ijeok was once again verified by Osamgyeron. Lee Jeong-soo did severely criticize the affirmation of Osamgye practiced by Song Siyeol and Kim Changeop and some of the Bukhak School members and reconsideration on understanding of Qing. However, Lee Jeong-soo’s understanding of world order wa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viewpoint. Lee Jeong-soo did stress the relations of jogong․installation towards China and foreign empires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political affairs to China in Oegukjobingjo. Also, Lee Jeong-soo revealed his severe hostility against the West. Insisting that Western sciences are the teachings of birds and beasts, he developed Seoyanggeumsuron (西洋禽獸論). In brief, Lee Jeong-soo’s awareness of foreign countries was still significantly grounded on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China and igeok, and when this is extended to the scope of the world, it is converted to the new criteria of Confucianism (儒學), Seohak (西學), and anti-Confucianism (反儒學).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Lee Jeong-soo’s cultural Hwaigwa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the early 19th century and becoming extended.

      • KCI등재

        나말려초 (羅末麗初) 성주지방의 호족세력

        이명식(Myung Sik Lee) 대구사학회 2001 대구사학 Vol.65 No.1

        It might be at the age of Queen Chinseong that the present 5eongju District began to be freed from the rul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n, it might be inferred, when Later Packjae attacked and occupied 10 castles or so south of II-sung Commencery at the 11th year of King Hyogong, that Seongju began to be influenced by Later Packjae. At that time, however, Later Packjae was unable to keep on holding the territory which it took from Sillla, so the present Seongju District was ruled by the lord who extended his power and called himself a General. After that, it is obvious that Seongju District was influenced againby Later Packjae from about 4th year of King Kyoungmyoung(920 A.D.), equal to the period when Koryeo and Later Packjae was in the rivals each other. But Seongju became to be under the rule of Korea, aftert Ryangmun, General of Pyuckjin Comrnendery, yielded to Koryung in the ?th year of King Kyoungmyoung(924). In the first year of King, Kyoungae(924), Koryeo and Later Packjae committed a battle for a long period at Jomoo Castle, and General Lee in Later Packjae, local gentry in Seongju District, yielded to Koryeo, which turned the battle favorable to Koryeo. After the Battle of Gongsan, offering a route of retreat to King, Wang Keon who lost in the battle, he contributed much to King, Wang Keon, On one hand, when Lee Chong-eon, General of Pyuckjin Commendery, fought against Koryeo at the Battle of Chomul Castle, his son, Lee Young joined in the battle and served greatly to gain victory for Koryeo. King, Wang Keon rewarded him far his distinguished services at the battle, and appointed him as General Boneup and as Samjungdaekwang. What Lee Neung-il had achieved, can be revealed from a lot off history books written at the middle period of Lee Dynasty, but his name, life and achievements are not written in the Samgaoksaki and Koryeosa which are the basic historical materials. Therefore, the writer concluded that Lee Neung-il might be considered as Lee Neung-mun who can be traced and identified from the basic historical documents, who yielded to Koryeo in the second year of King Kyoungae(925) and was appointed as Seangsangun and ruled Kyaungsan Commendery.

      • 다양한 형태의 버너를 이용한 수증기개질기의 고효율화 연구

        이명용(Myeong-yong Lee),이지홍(Ji-hong Lee),이상석(Sang-seok Lee),이진석(Jin-seok Lee),이도형(Do-hyung Lee)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ighly-efficient and compact steam reformer for PEMFC changing the burner types. For the purpose some of the Can type flat burners were adop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 company's typical cylinderical flat burner. We used commercial STAR-CD tools for numerical calculation. We found the optimum Can type STR burner and this type of burner was highly efficient comparing with typical burner.

      • KCI등재

        이벤트와 스폰서 브랜드 간 적합성이 낮은 스폰서십의 접합화 효과 연구

        이명천(Myoung Chun Lee),나정희(Jeong Hee Na)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광고연구 Vol.0 No.92

        지금까지의 스폰서십 효과 연구에 따르면 이벤트-스폰서 간 적합성이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스폰서십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벤트-스폰서 간의 적합성이 낮은 경우에는 이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접합화(接合化, articulation)를 통해 적합성을 창출시킬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스폰서십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증연구를 통해 이벤트-스폰서 간 적합성이 낮은 스폰서십에서 접합화 유형의 따른 스폰서십 효과를 살펴보고, 이 효과가 수용자의 이벤트 관여도와 인지욕구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이벤트-스폰서 간 적합성이 낮은 스폰서십에서 비상업적 접합화는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으나 상업적 접합화는 효과가 없을 수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접합화 유형별 효과는 수용자의 이벤트관여도 낮을 때, 그리고 인지욕구가 높을 때가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Congruence between event and sponsor brand can be created through "articulating" the basis and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ent and the sponsor brand. This created fit can make sponsorship more effective. Through experiment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ponsorship depending on the articulation type and examined how these effects changed according to event involvement and the need for cognition, consumer variables when the congruence between event and sponsor brand is low, This research finds that noncommercial articulation can be a useful method to improve the effects of sponsorship when event-brand congruence is low, and commercial articulation might not positively influence the sponsorship effect, This study also shows that event involvement and the need for cognition play a moderating roles the effects of sponsorship depending on the type of articulation.

      • KCI등재

        한국인 학습자들의 러시아어 음절두음 발음에 나타나는 epenthesis

        이명자(Lee Myoung J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3

        음성학과 음운론은 그 상호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각각 개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국내 러시아 언어학에서도 통합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나 개별 언어가 가진 고유한 특성이나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의 변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실제 수행되는 음성적 실행결과와 그 결과들에 대한 설득력 있는 해석이 필요하다. 이때의 해석은 언어 보편적인 음운론적 규칙이나 제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마땅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습자들에 의해 발음되는 러시아어 음절두음에 나타나는 현상을 음성학적 실험에 의해 데이터화한 후, 음운론의 최적성 제약들과 제약 서열로 설명하였다. 음절 두음에 2자음 연속이나 3자음 연속이 올 수 있는 영어와 달리 한국어의 음절 두음에는 겹자음이 올 수 없다. 반면 러시아어에서는 영어보다 더 자유롭게 음절 두음에 다양한 자음연속도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학습자들의 러시아어 음절 두음발음이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에서 처음 러시아어를 배우게 된 학부 1학년, 2학년, 4학년 학생들 각각 10명씩을 피험자로 선별하여 음성학적 Praat 분석을 하였는 데, 러시아어 단어 중 2자음 연속이나 3자음 연속 혹은 그 이상의 자음 연속이 음절 두음에 나타나는 단어들을 대상어로 뽑아내 음절경계와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발음하도록 유도하였다. 조용한 방음실에서 녹음된 음성을 음성파일로 저장한 후 분석하여 어느 정도 자음과 모음의 음향적 특징을 파악한 뒤에 여러 음이 섞인 음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러시아어에 대한 인지학습이 많이 이루어져 epenthesis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고 원어민의 발음에 거의 유사하게 발음하는 경향이 강했으나 초급자인 1학년 학생들의 발음에서는 epenthesis가 많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학적 실험 분석에 대한 이러한 결과를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해 음운론에서 발달한 최적성 이론의 언어 보편 제약들을 이용하였는데, 러시아어를 습득하는 기간에 따라 유표성>>충실성(입력부 충실)>>충실성(출력부 충실)에서 시작하여 충실성>>유표성으로 옮겨가면서 학습자들의 모국어인 한국어의 특성에서 학습하는 언어인 러시아어의 특성으로 변이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방법론과 설명은 한국인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모국어적 언어습관과 인지가 새로 습득하는 러시아어에 대한 인지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차 언어의 변이를 효과적으로 설명한다. Syllables consist of an onset, nucleus, and coda. Whereas Korean do not permit consonant clusters in onset position, Russian allows a wider range of consonant clusters in onset position. Biconsonantal onsets, tri-consonantal clusters are permissible, and the possible onsets in Russian can be even more complex. In the acquisition of Russian by native speakers of Korean, the Russian learners tend to prefer to epenthesize a vowel while trying to pronounce the Russian syllable onset. This paper explored this phenomenon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First I made a phonetic Praat experiment on pronouncing consonant clusters at the beginning of the syllable.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 lower intermediate Russian learners produced a number of instances of vowel epenthesis than more advanced Russian learner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universal Optimal constraints and language-specific constraints ranking in this paper. Outputs of the Praat experiment showed that the Markedness constraint ‘*COMPLEX’ is ranked high in onset pronunciations of the lower intermediate Russian learners, whereas in onset pronunciations of the advanced Russian acquirers faithfulness constraints ‘DEP-IO’ and ‘MAX’ outrank ‘*COMPLEX’ . As a result performing vowel epenthesis, the lower intermediate Russian learner starts with Markedness. As acquisition proceeds, Faithfulness ranks higher than Markedness. This phonological explanation by Optimal constraints might provide a theoretical evidence for the interlanguage variations in the phonetic performances.

      • KCI등재

        젖산칼슘을 응고제로 한 두부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이명예(Myung-Ye Lee),김순동(Soon-Do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2

        다슬기 분말과 그 회분으로 제조한 젖산칼슘인 CaL-P와 -A의 두부 응고제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염화칼슘(CC), 염화마그네슘(MC), 황산칼슘(CS) 및 표준품 젖산칼슘(CaL-S)과의 응고력, 수율, 색상, 텍스쳐, 칼슘함량, 미세구조 및 관능적 특성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저장중의 총균수와 침지액의 탁도변화를 살펴보았다. 응고력은 CaL-A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CaL-P의 경우도 CaL-S보다 높았다. CaLA 두부의 수율은 CC 두부의 110%로 CS와 대등하였으나 CaL-P 두부의 수율은 CC의 50% 수준으로 낮았다. 응고제에 따른 두부의 색상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aL-P 두부는 L^*값이 낮은 반면 a^*, b^*값이 높았다. 두부의 견고성은 CaL-S>CS>CC>CaL-P>MC>CaL-A 순, 응집성은 MC>CaL-S>CC>CS>CaL-P>CaL-A 순을 나타내었으며, 탄력성은 MC가 가장 높았다. 두부의 칼슘함량은 116.12~204.48㎎/100 g이었으나 MC 두부는 57.1 ㎎으로 낮았다. 두부의 미세구조는 견고도가 낮고 부드러울수록 입자가 작고 균일하였는데 CaL-A와 MC 두부가 대체적으로 작고 균일하였으며 CaL-P는 CC와 같이 불규칙하였다. CaL-P와 CaL-A 두부는 타 두부에 비하여 질감, 탄력성, 풍미가 좋고 종합적인 맛이 우수하였으며 CaL-A의 경우는 견고성이 낮아 부드러운 맛이 높았다. 총 균수로 평가한 10℃에서의 shelf-life는 타 응고제를 사용한 경우 4~6일을 나타내었으나 CaL-P는 8일로 연장되었다. 탁도도 CaL-P의 경우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 CaL-P와 -A는 두부의 품질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체내 흡수력이 높은 칼슘을 공급할 수 있어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칼슘의 체내 이용율이 낮은 CS를 대체할 수 있는 두부 응고제로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calcium lactates (CaL) as coagulants for tofu manufactu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tofu made by CaL-P (black snail powder) and CaL-A (black snail ash)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calcium chloride (CC), magnesium chloride (MC), calcium sulfate (CS) and standard calcium lactate (CaL-S). And also, total microbe and turbidity of the tofu were determined during storage at 10℃. Coagulation ability of CaL-A was the highest, and the ability of CaL-P was higher than that of CaL-S. Yield of CaL-A tofu was similar to those of CS and CC tofu, while the yield of CaL-P tofu was 50% compared to that of CC. L^* value of CaL-P tofu was lower, but a^* and b^* values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tofus. The hardness of tofu showed in the order of CaL-S>CS>CC>CaL-P>MC>CaL-A, while the cohesiveness showed in the order of MC>CaL-S>CC>CS>CaL-P>CaL-A. Calcium contents were 57 ㎎% in MC tofu, 174㎎% in CS tofu, 116 ㎎% in CaL-S tofu, 95 ㎎% in CaL-A tofu and 172 ㎎% in CaL-P tofu. From the results of microscopic observations, the lower hardness showed the more soft and the smaller particle. The particle of CaL-A tofu was small and uniformity but the size of CaL-P and CC tofu showed coarse. Sensory quality of CaL-P and -A tofu were better than the other tofu evaluated by texture, springiness, flavor and overall taste. The shelf-life estimated by total microbe was 4~6 days in CC, MC, CS, CaL-S and CaL-A tofu, but 8 days in CaL-P tofu at 10℃. From the above results, the CaL-P and -A may believe to use as coagulant for tofu manufacture due to its softened taste and enhanced shelf-life, and higher calcium content which has higher absorbability in human body.

      • KCI등재

        친디아 IT 클러스터의 혁신 관리

        이명무(Lee, Myung-Moo),김윤호(Kim, Yun-Ho)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1 남아시아연구 Vol.16 No.3

        1990년대 중반부터 산업 클러스터는 정부, 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과 같은 경제주체들이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과학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접근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선진국인 미국과 유럽, 일본뿐만 아니라 신흥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 인도에서도 크게 각광받고 있다. 인도와 중국은 세계 경제의 새로운 강대국으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친디아(Chindia)로 일컬어지는 이들 두 국가는 방대한 영토와 압도적인 인구,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고도의 경제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 연구기관, 시장이라는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세 가지 섹터가 상호 협력한다는 관점에서 인도의 뱅갈로르와 중국 중관촌의 IT 클러스터 성장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클러스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구성, 기술 변화와 같은 요인이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연대기적(History-friendly) 접근방법을 선택하였다. 인도와 중국의 IT 클러스터의 혁신에 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네 가지 논점(혁신의 기원, 혁신의 관리 프로세스,혁신의 유지 및 추동 조건, 혁신을 위한 기술 원천)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뱅갈로르와 중관촌이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비슷한 환경에서 IT 클러스터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적용하더라도 혁신 정책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전략과 메커니즘은 서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In the recent decades, the policies of national economic growth have led the increasing interests on regional economies. Since the mid-1990s, the concepts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Industrial Cluster have made the movement very popular. In fact, the approaches have been widely adopted in creating and implementing regional economic policies not only in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Japan, the US and the UK, but also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India and China. Recently, Chindia is rising as new global economic powers. These two countries have grown rapidly owing to enormous natural resource, huge territory, and overwhelming population. This paper is aimed at analysing the factors of backgrounds the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clusters in Bangalore, India and Zhongguancun, China in the light of the interplay of the state, the market, and the research institute. Drawing on the history of the origins of IT clusters in these two cities, we examine the formation of clusters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and factors, such as technological change and institutional reform, whic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se clusters. Presented in stylized form,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is an appreciative theory of managing innovation in the origins of IT clusters, which integrates, synthesizes, and explains the observed institutional and entrepreneurial moves in sequences. We discuss the issues concerning the process of managing innovation, the conditions that trigger and/or maintain innovation, and the source of technology for innovation. We conclude that successful innovation in origins of IT clusters is the result of the interplay between the state, the market, and the research institute. This paper concludes that, even if the two countries have adopted the same theoretical base, in the same time-frame and similar circumstance, with the same purposes, the mechanisms and strategies of creating and managing innovation policies in each country are considerably different.

      • KCI등재

        메이지 초기 일본의 미션스쿨

        이명실(Lee, Myungsil) 교육사학회 2009 교육사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메이지 초기 일본에 존재한 교파 가훈데 개혁ㆍ장로파와 감리파 교회가 세운 학교, 즉 메이지 학원과 아오야마 학원의 설립 과정과 거기서 나타나는 특징에 관해 고찰한다. 일본의 메이지 정부는 1880년 교육령 개정 1886년 학교령 등을 통해 미션 스쿨의 설립이나 변경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바꾸는데, 이는 일본 정부가 미션 스쿨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1880년대 중반 이후 천황제 이데올로기 보급을 위한 교육정책의 보수화와 이에 따른 미션 스쿨과의 갈등과 타협의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 종교와의 갈등과 대립이 표면화되기 전, 비교적 자유로운 교육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던 1880년 중반 이전에 미션 스쿨이 교단 내 통합의 과정을 거쳐 점차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학교의 모습으로 발전해 갔다는 점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선교사들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Japanese mission schools in the early Meiji period, focusing on Meiji Gakuin(明治學院) and Aoyama Gakuin(靑山學院). Features of educational policies of Japanese government and instructional services of the missionaries in the period of “Meiji 10s,” characterized as Westernized Period, were investigated. Following issues were identified: a) Missionaries from various religious associations contributed to educating Japanese people and producing national leaders while satisfying their religious purposes through education; b) It does not appear that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were performed systematically and active so that their missionary work could influence Japanese society; c) The missionaries from the Reformed & Presbyterian churches were involved in various performances, including translations, writings, and medical services while the Methodists focused on education; d) The Reformed & Presbyterian churches and the Methodist churches constructed schools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ir own denominations, which caused confirming two churches’ different religious pursuits for their missionary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