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녹문과 양명의 心性論 비교 연구 - 理氣一物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명심(李明心)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0

        본 연구는 녹문 기학과 양명 심학의 구조적 유사성과 내용적 친연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유ㆍ불ㆍ도를 포괄하는 동양철학의 종지는 천인합일 내지 만물일체를 구현함에 있다. 그런데 유학사상사를 개괄해보면, ‘인간과 천지만물이 하나가 됨’을 체현하는 방법론에서 性命철학과 生命철학의 두 줄기가 전개됨을 알 수 있다. 즉, 정주학은 성명철학에 소속되고, 양명학은 생명철학에 소속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천지우주의 본체론적 개념인 理는 도덕을 상징하고, 氣는 생명을 상징한다. 정주학에서는 리로써 천인합일하는 경지를, 양명학에서는 기로써 만물일체하는 경지를 추구한다. 정주학과 달리 명도는 인간의 본질을 생명으로 규정하는데, 이러한 논리는 ‘性之生理’로써 性과 生을 합일하는 양명이 계승하였고, ‘氣의 生意’를 중시하는 녹문 또한 명도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본성을 ‘도덕’으로 규정하는 정주학과 변별되는 점은 바로 ‘生意’의 강조에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녹문과 양명은 공히 도덕과 생명의 상충이 아니라 도덕과 생명의 합일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학문 내용에 친연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그뿐만 아니라, 그들은 논리체계를 건립하는 방법론에서도 정주학적 ‘理氣二元’을 벗어나 ‘理氣一物’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논리 구조의 유사성마저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al similarities and content affinity between the Doctrine of Nokmun’s and the Doctrine of Yangming. The wisdom of Oriental philosophy, which encompass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s to realize the unity of God and men or the unity of all things. To sum up the history of Confucius philosophy, however, the two stems of Human’s Natur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性命) and Lif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生命) unfold in the methodology, which embodies the idea that “Everything that exists is united into one set.” In other words, the Doctrine of Chutzu’s belongs to Human’s Natur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性命), and the Doctrine of Wang Yangming belongs to Life and Heaven’s Destiny Philosophy(生命). In the ontologistic concept of the universe, Li(理) symbolizes The Morality and Gi(氣) symbolizes The Life. While the Doctrine of Chutzu’s pursues the stage of 天人合一(Heaven and The Human is one set) through Li(The Morality), the Doctrine of Yangming seeks the state of 萬物一體(All things are one set) through Gi(The Energy-Life). Unlike the Doctrine of Chutzu, Mingdao defines the essence of man as The Life and Yangming, who unites The Nature(性) and The Life(生) by The Life Principle of The Nature(性之生理), inherited it and Nokmun, who lays stress on Living Will(生意) of The Energy(氣), was also greatly influenced by Mingdao. Therefore, what is distinguished in the Doctrine of Chutzu, which defines the essence of man as “The Morality”, is that the emphasis is on “Living Will”(生意). Even so, Nokmun and Yangming make us aware that the contents of their study have an affinity, in a sense that they both claim the unity of The Morality and The Life, rather than the contradiction of The Morality and The Life. In addition, they even show the similarity of logical structure in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a logical system, by presenting a viewpoint of “Li-Gi-Il-Mul”(理氣一物), outside of the Doctrine of Chutzu’s “Li-Gi-I-Won”(理氣二元).

      • KCI등재

        儒學에 있어서 禮의 生産原則에 대한 연구

        이명한(李明漢) 한국양명학회 2004 陽明學 Vol.- No.12

        본문의 목적은 제례의 원칙 혹은 예의 생산원칙을 연구하는 것이다. 중국고대의 예는 매우 중요한 관념이며, 종교세계에서 인문세계로 전환되는데 있어서 관건의 하나이다. 공자가 인문세계를 개척할 때, 그는 예에 관계된 이론을 발전시켰다. 즉 예를 인에 귀속시켰고, 또한 예를 의에 귀속 시켰다. 이런 이론을 통하여 예 자체는 儀文과 다를 뿐만 아니라, 예의 기초 역시 천에 있지 않고, 인간의 도덕적 자각의식(仁) 혹은 가치의식에 있음을 설명하였다. 禮는 두개의 원칙에 의하여 성립한다. 즉 초월원칙과 내재원칙(생산원칙)이다. 예가 진실한 의의가 있으려면, 반드시 仁에 의거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인이 예의 초월원칙을 의미하는 것이다. 義는 예를 구성하는 내재원칙이고, 이것이 바로 예의 생산원칙이다. 예의 생산원칙은 다섯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정당성 원칙. 2) 존중성 원칙. 3) 배려성 원칙 4) 균등성 원칙 5) 보답성 원칙 등이다. 예는 이런 다섯 가지 원칙에 의해서 생산되고 또한 개혁되는 것이다.

      • KCI등재

        牟宗三 先生이 본 中國 現代哲學의 課題 硏究

        이명한(李明漢)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牟宗三 선생은 중국 현대철학의 과제로 ‘공산주의비판’, ‘기독교에 대한 대응’, ‘立本’, ‘현대화’ 등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모 선생은 인류의 현대사에서 가장 큰 재앙으로 공산주의 국가가 건설된 것으로 생각했고, 특히 공산주의가 만들어 논 중국의 현실에 극도의 혐오감을 갖고 있다. 그에게 공산주의는 인간의 생활을 파괴하였고, 인간의 존엄성과 인격을 부정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사회를 만든 사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래서 적극적인 공산주의 비판을 하였다. 또한 서양에서 유입된 기독교도 중국의 문화 정신과 화합하지 못하고, 중국문화정신과 배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는 기독교를 서양문화의 근간으로 인식하였다. 이런 기독교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중국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데 보탬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서양문화 옹호론자들에 의해서 부정되고, 공산주의에 의해서 철저하게 파괴된 중국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중국문화의 常道인 유학을 부흥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천명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立本’이다. 그의 입장에서는 유학이 사라지면, 중국문화도 소멸할 것이라는 분명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대화를 말한다. 현대화는 과학의 발전과 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두 측면이 있지만, 여기서는 보다 중요한 민주주의의 실현을 중점으로 제시하여 논하고 있다.

      • KCI등재

        일본 교육사연구 동향의 재구성

        이명실(李明實) 교육사학회 2011 교육사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교육사연구자들이 분석하고 정리한 자료를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을 검토한다. 교육사연구는 과거의 교육이 어떤 지역적·시대적 상황으로 말미암아 왜 그렇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데 초점을 둔다. 이러한 논의가 가질 수 있는 위험성은 특수성을 강조한 나머지 자기중심적 역사관으로 흐를 수 있다는 가능성과 역사서술이 군국주의, 제국주의, 배타주의적 성격을 띨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편견에 치우지지 않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고 과거의 교육을 제대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들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눈에 비친 시대정신을 파악할 수 있고, 우리의 눈으로 본 것과 어디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된다. 우리의 교육사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의 방향이 제대로 설정되고 있는지, 다른 관점으로 볼 수 있는 여지는 없는지, 우리가 모르는 사료는 없는지 둥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교육사연구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시공단계 BIM 적용에 의한 재시공 방지 효과분석

        이명도,차민수,이웅균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pplying BIM to the construction phase on preventing rework. Previous studies have presented the contribution of BIM in various ways, but a more practical and reliable analysismethodology are required. In this study, a BIM effect analysis methodology was proposed after collecting requirements onBIM effect analysis from field professionals. In the case study, the rework prevention effect was analyzed based on theproposed methodolog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IM application produced the rework prevention effect ofapproximately KRW 370,519,593. In addition, a consultation with field professionals on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methodology and effect analysis results were revealed that the results were sufficiently rel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can be used as efficient basic materials for research on BIM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시공단계에 적용된 BIM이 재시공 방지에 기여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다양한 방법으로 BIM에 대한 적용효과를 제시하고 있으나보다 현실적이고 신뢰성 있는 분석 방법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BIM 효과분석에 대한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이를 반영한 BIM 효과분석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해 제시한 방법론을기반으로 재시공 방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례현장에서는BIM 적용을 통해 약 370,519,593원의 재시공 방지 효과가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장 실무진을 대상으로 본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 및 효과분석 결과에 대한 적합성을자문하였으며 충분한 신뢰성이 있는 결과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BIM 성과측정 연구에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모듈러 건축공사의 현장시공계획수립을 위한 BIM 활용성 분석

        이명도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9 No.3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modular construction are regarded as important technologies that have contributed to advancem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the utilization of BIM in current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is limited; moreover, there are no specific guidelines pertaining the applications of BIM in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BIM for onsite construction planning in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First, a realistic BIM application was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Then, the construction plan of the modular projects was analyzed to classify the BIM application items into five different categories. The utilization of BIM in each category was then analyzed in terms of necessity and efficiency using a questionnaire. Finally, the BIM Utilization Index (BIM UI) was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As a results, the BIM UI for module point details, lifting plan, other installation details, site layout plan, and schedule plan was 0.811, 0.787, 0.770, 0.729, and 0.699, in the descending order of usability. In addition, through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 case study for implementation of BIM in modular construction plan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pplication guidelines for BIM in future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BIM과 모듈러 공법은 건설 산업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에서 BIM의 활용은 미미한 수준이며 구체적인 활용지침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건축공사의 현장시공계획단계를 위한 BIM 활용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기존문헌 고찰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적용 가능한 BIM 업무를 선정하였으며, 모듈러 건축공사의 시공계획서를 분석하여 BIM 활용 업무를 5가지로 분류하였다. 이후 설문을 통해 각 항목에 대한 BIM 활용성을 필요성과 효율성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BIM utilization Index(BIM UI)를 통해 제시하였다. 설문 결과 모듈간 접합부 시공상세도 구축, 양중계획 검토, 기타공사 주요 시공부위의 상세도 구축, 현장공정계획 검토, 그리고 현장배치계획 검토가 0.811, 0.787,0.770, 0.729, 0.699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사례연구를 통해 BIM을 적용한 BIM 기반 시공계획서를 도출하여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모듈러 프로젝트에서 BIM의 적정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