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mmunological Identification of Rat Hepatoma Associated Antigens on Human Liver

        이명규,한문희,함경수,Lee, Myeong-Kyu,Han, Moon-H.,Hahm, Kyung-Soo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8 한국생화학회지 Vol.21 No.4

        화학 발암제인 2-MeDAB 및 DENA를 투여함으로서 Sprague-Dawley 쥐에 간암을 유발시켰으며, 간암세포 원형질막 표면으로부터 간암 특이 항원을 분리하였다. 쥐의 간암 특이 항원에 대한 항체를 토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이 항체와 사람의 정상간 및 간암세포 표면에서 분리한 단백질과의 반응을 double immunodiffusion, 면역 전기영동법 및 교차변역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람의 간 세포 원형질막 표면에 쥐의 간암 특이 항원에 특이한 항체와 반응하는 단백질(분자량 65,000 및 55,000)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 단백질은 쥐의 정상 간세포 표면 단백질에 대한 항체와는 반응하지 않았다. Hepatocellular carcinoma was induced in Sprague-Dawley rats using 2-MeDAB and DENA, and hepatoma associated antigens were identified and isolated from the plasma membrane surface of rat liver. Rabbit antisera against hepatoma associated antigens were obtained and reactivity of the antibody with proteins extracted from human livers (normal and hepatoma) was analyzed by double immunodiffusion, immunoelectrophoresis and crossed-immunoelectrophoresis. The results showed a strong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proteins (MW 65,000 & 55,000) on the human liver cell cross-reacting with the antibody against rat hepatoma associated antigens. These human proteins were found to be unreactive with the antiserum against plasma membrane surface proteins of normal rar liver.

      • 양돈분뇨의 양액재배용 비효 연구

        이명규,Lee Myung-Gyu 한국축산환경학회 2004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0 No.3

        양돈분뇨 발효액비를 이용하여 양액재배용 액상비료로의 전환을 위한 양액재배(수경재배) 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효액비(FLM)의 비효영양염류의 농도는 N, P, K가 각각 5,600, 98, 3,000mg/$\iota$ 정도로 저 인산의 액상물이며, pH, EC는 각각 8.75, 22.0 mS / cm 이었다. 2. 발효액비의 유해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00배 희석액을 이용하여 발아실험을 한 결과, 수도수(control)보다 $125\%$의 높은 발아지수(G$\cdot$I)를 나타내어 무해함을 밝혔다. 3. 100배 희석한 발효액비를 기준으로 각각 인산염과 카리를 첨가한 FLM-2, FLM-3를 이용하여 상추 수경재배를 실시한 결과, N, P, K 모두 높은 FLM-3에서 옆장, 옆폭, 엽수, 건물중 모두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었다. 이는 발효액비의 이용 시 단순이용보다는 부족분의 첨가가 전제되어야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4. 발효액비의 이용 시 양액의 pH, EC의 변화는 수량 등 식물영양생리에 장해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어 졌으나 약산성의 pH 유지 및 EC 2.0mS/cm 이하의 유지 등 양액재배에 따른 작물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어, 적정희석만 유지되어 질 경우 양액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향후, 발효액비의 다양한 이용을 위해서는 영양염류의 흡수특성 및 최적 영양염류의 비율 등 작물영양생리학적 검토가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fermented swine liquid manure handled with TAO system to hydroponic cultivation. The fermented swine liquid manure (FLM) used for the study was in low concentration of phosphoric acid (P). Hence, when doing hydroponic cultivation, the concentration of P and K was supplemented. The concentrations of N, P, and K in compensated FLMs were as fellows; (a) N 58mg/1, P 0.5mg/1 and K 31 mg/1 for FLM-1, (b) N 58mg/1, P 31 mg/l and K 39mg/1 for FLM-2, and (c) N 58mg/1, P 31 mg/1 and K 61 mg/1 for FLM-3, respectively. For hydroponic cultivation, it was possible to use diluted solution by 100 times through experiment of germination index. According to the experiment using lettuce, the compensated FLMs with P and K were superior in leaf width, yield and dry weight to FLM without any treat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some nutrition before applying. In conclusion, it is highly estimated that the fermented swine liquid manure can be ap-plied to hydroponic cultiv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es related to nutritional compensation depending on the vegetables.

      • KCI등재

        우리나라의 도서 판권기 기술서지 요소 고찰

        이명규,Lee, Myoung-Gyu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1

        판권기는 당해 도서의 서지요소를 특정한 곳, 즉 표제지 이면이나 도서의 말미에 모아서 기재한 것을 의미하며, 도서관에서 목록을 작성할 때 유용한 정보원으로 활용된다. 그런데 판권기의 정의와 기능에 대한 설명이 분명하지 않아, 이를 재정립하여 보면, 당해 도서의 특정한 지면(표제지 이면, 마지막 페이지)에 도서관련 서지요소를 기술해 놓은 것을 판권지(Colophon)라고 하고, 표제지와 판권지에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등의 발행사항을 기술해 놓은 것을 간기(Imprint)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출판물을 간행할 때 제도적으로 간행물에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기록사항은 저자, 발행인, 발행일, 출판사, 국제표준자료번호, 정가 등이다. 이러한 요소를 포함하여 판권기에 기록할 서지요소는 서명, 저자명, 발행지, 발행인, 발행년월일, 인쇄지, 인쇄자명, 인쇄년월일, 판차, 쇄차, 발행자 주소 및 연락처, 정가, 국제표준도서번호, 저작권, 출판시도서목록, 저자약력 등이다. 이 판권기에 기술되는 서지요소는 출판기술의 발전과 출판환경의 변화에 따라 필요한 서지요소들이 추가로 기재되고 있다. Colophon means an element to describ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concerned books on the specific space like a back of title page or the last page of a book, and is used as a useful information source when cataloging in a library. Imprint means an element to describe publication information to a title page or verso of a title page of a book. In addition, institutionally required elements to describe on a book are an author, a publisher, a date of publication, a publishing company, ISBN, and a price when printing publications. The bibliographic elements to describe on colophon are a title, an author, a place of publication, a publisher, the date of publication, a place of printing, a printer, the date of printing, edition, impression, the address and contact point of a publisher, a price, ISBN, a copyright, CIP, and the profile of an author, etc. The necessary bibliographic elemen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technology and changes of publishing environments are additionally described in this coloph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