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문화갈등 해소를 위한 문화콘텐츠 역할의 고찰

        이동배이동배(Dongbei Li)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4

        It has now been 3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but the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s not warm. Ra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deteriorating due to extreme anti-China and anti-Korea sentiments between the publics of the two countries. The two countries, as neighbors in Northeast Asia, have grown through repeated exchanges and conflic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complex intertwined interests despite similar cultural backgrounds. nowaday,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 and China have become economically important partners as the largest trading partners, and neighbors with common tasks to cooperate for peace in Northeast Asia.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has been mainly done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but here we will examine the conflict in the cultural aspect. In order to overcome this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we would like to seek positive ways of cultural exchange, such as understanding different values and mutual communication, as well as identifying the conflict.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role of cultural contents in resolving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s well as organizing the factors of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지 이제 30주년이 되었지만 지금의 한중관계에는 좀처럼 온기가 돌지 않고 있다. 오히려 양국 대중들 간의 극단적인 반중, 반한 정서로 인해 양국관계는 악화 일로에 있다. 한중 두 나라는 동북아 이웃 국가로 유사한 문화권 속에서도 복잡하게 얽혀있는 이해관계로 인해 오랜 기간 교류와 갈등을 반복해오며 성장해왔다. 오늘날 한국과 중국은 최대의 교역국가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파트너가 되었으며, 동북아 평화를 위해 서로 협력해야 하는 공통된 과제를 안고 있다. 서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양국 간의 관계에 대해 그동안 정치⋅경제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여기서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갈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양국의 문화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갈등에 대한 규명과 더불어 상이한 가치관에 대해 이해, 상호 간의 소통 등 긍정적인 문화교류 방안에 대해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은 한중 갈등의 요인을 정리함과 동시에 한중문화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문화콘텐츠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Critical Analysis of Japanese ideology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1913 - 1938)

        이동배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2 한어문교육 Vol.27 No.-

        이 논문은 일제 식민지 시기의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이념을 분석한것이다. 주제나 제목, 정책 등을 중심으로 연구했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이 연구에서는 비평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교과서에 있는 텍스트를직접 분석하였다. 4권의 고과서에 나타난 큰 주제가 역사, 지리, 경제의의존성, 도덕, 과학 등으로 나뉘어줘 있어 각 주제별로 분석한 것이다. 그 분석 결과는 한국의 역사적 인물이나 위인들은 거의 사라지고 언급이되어도 어린 시절이나 평범한 인간의 모습으로 축소되어 나오고 있었다. 특이하게 석탈해가 언급되었는데 이것은 그들이 주장하는 내선일체의이론을 합리화 시키려는 의도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일본 황제와 일장기에 대한 충성이 강조하는 것이 언급되고일본의 위인들이 등장하고 있었다. 대체로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물들은 자신감으로 가득 찬 모습은 보기 힘들고 수동적이지만 친절해야 하고권위자에 대해 순종적인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또한 아동들에게황제에 대한 충성심, 복종을 주입하는 내용들이 많이 나타나 있었다. 한국 인물들은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모두가 항상 뭔가를 열심히 해야 하는모습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일본이 한국인들을 그들을 섬기는 이등국민으로 양성해나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노인이나 병자, 가정의 여러 가지 일들을 돌보는 모든 책임은 한국인들140․한어문교육 제27집(심지어는 5살짜리 어린이)에게 지우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리에서 일본은 중국이나 러시아보다는 탁월한 세계의 중심이자 중국을 개방시키는 강대국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의 식민 수탈경제를 위해 철도를 개발하고 기차로 물건을 실어 나르는 것을 미화하고있었으며 과학기술은 개화기보다도 적게 묘사되어 있었다. 이것은 일본이 한국을 개발 발전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그들의 식민지로 수탈하는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교과서를 통해 어린이들을 일본 식민지 이념에 합당한 인물로 만들어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있다.

      • 日本腦炎患者의 豫後 및 後遺症에 關한 疫學的 調査硏究

        李棟培,深雲澤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84 충남의대잡지 Vol.11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epidemiological features and factors influenced on the prognosis and sequelae of Japanese encephalitis on 333 patients, reported to the Health Centers in Chungnam, in 1982.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0, 1983 through September 20, 1983.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refrom. 1. Among the total patients, 62.2 percent were male, 37.8 percent were female.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64 to 1. 2. Main epidemic period of the outbreak was one month from the middle part of August to that of September in the year. Unvaccinated patients formed 85.3 percent and completely vaccinated 4. 5 percent. Serologically confirmed patietns formed 60. 4 percent. 3. As for the prognosis, the follow: death 13.8 percent, sequelae 49.2 percent, and complete cure 36.9 percent, the rate of sequelae after 1 year was 36.6 percent, and Japanese encephalitis sequlae of 28.4 percent disappeared within a year. 4. The main sequelae of Japanese encephalitis, during the outbreak were cognitive function impairment with 69.5 percent, motor paralysis with 45.7 percent, personality change with 44.5 percent, tremor with 35.4 percent, parkinsonism with 20. 7 percent and, choreoathetosis with 16. 4 percent. After one year, the rates of the main sequelae of Japanese encephalitis were cognitive function impairment with 63. 1 percent, personality change with 49. 1 percent, motor paralysis with 30.3 percent, tremor with 18.9 percent, parkinsonism with 12.3 percent, choreoathetosis with 10.7 percent. 5. Average duration of transient sequeae was 2.1 months, t7.5 percent of them disappeared within 6 months. 6. The prognosis of Japanese encephalitis patients have nothing to do with age and sex, types of medical facility treated and occured month. But geographical distribution, vaccination status, level of consciousness, duration of hospitalization, result of HI-test were revealed to be influencing factors to the Japanese encephalitis pro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