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신중 발생한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동반한 상완골 근위부의 Brown tumor

        정성택,김현종,이담선,박기헌,Jung, Sung-Taek,Kim, Hyun-Jeong,Lee, Dam-Seon,Park, Gi-He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Brown tumor는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의한 골격의 종양유사병변으로 드물게 보고되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29세 여자환자의 상완골 근위부에 발생한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 의한 brown tumor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내원 3개월전부터 상박부 동통 및 부종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 골조직 검사상 거대세포종양이 의심되었으며 광범위 변연절제술 및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다발성 관절통 및 전신 무력감 호소하였으며 혈액검사 및 방사성 동위원소검사에서 부갑상선 선종에 의한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진단되었다.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에 의한 brown tumor로 진단 후 부갑상선 선종의 외과적 절제술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임상적 증세의 호전을 보인 증례이다.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Brown tumor is tumor like lesion resulted from hyperparathyroidism, and it has been rarely reported recently. We evaluated a 29-year-old woman who had brown tumor on proximal humerus caused by primary hyperparathyroidism. She first had presented pain and swelling over the upper arm, and was suspected as giant cell tumor in biopsy combined with hyperparathyroidism. Wide marginal excision and tumor prosthesis were performed. However, it was confirmed as brown tumor resulted from parathyroid adenoma according to laboratory findings and radioactive isotopes image, and surgical excision of adenoma relieved clinical symptoms.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자가 슬괵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송은규,선종근,배봉현,박상진,김종선,이담선,Song, Eun-Kyoo,Seon, Jong-Keun,Bae, Bong-Hyun,Park, Sang-Jin,Kim, Jong-Seon,Lee, Dam-Seon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목적: 자가 슬괵건과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자가건 24예 및 동종건 30예를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총 5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기준으로 Lysholm Knee 점수, Tegner activity 점수,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대퇴 사두근 위축, 절개부위 감각이상 및 전방 슬관절 통증 등을 평가 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로 $Telos^{(R)}$ 기기를 이용하여 전방 전위 정도를 비교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Lvsholm Knee점수는 자가건 군에서 91.6점 $(68{\sim}100)$. 동종건 군에서 92.6점 $(77{\sim}100)$으로 향상되었고, Tegner activity 점수는 두 군 모두 수상 전에 비해 경도의 감소가 있었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Lachman 검사, Pivot-Shift검사, 대퇴사두근 위축, 절개부위 감각이상 및 전방 슬관절 통증 및 $Telos^{(R)}$기기를 이용한 전방 전위 검사에서도 두 군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autograft and tibiali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ACL reconstructions using hamstring autograft and 30 using tibialis anterior tendon altograft were followed up at least 1 year. We performed femoral tunnel fixation with Ligament Anchor(LA) screw and tibial tunnel fixation with biodegradable interference screw. Evaluations included Lysholm knee(LK) score, Tegner activity scale,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Quardriceps atrophy, incision site numbness, anterior knee pain and instrumented anterior laxity with $Telos^{(R)}$ device. Results: Preoperativ mean LK score was $60.3(18{\sim}82)$ in autograft group and 61.2(25-80) in allograft group. Mean LK score improved to $91.6(68{\sim}100)\;and\;92.6(77{\sim}100)$ respectively. Activity level, using Tegner activity scale, sligh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Preinjury state in both groups.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Quadriceps atrophy, anterior knee pain, incision site numbness, and anterior drawer test using $Telos^{(R)}$ devi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Conclusion: In performing the ACL reconstru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mstring autograft group and tibilis anterior allograft group in clinical or in radiological results.

      • KCI등재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수술

        송은규 ( Eun Kyoo Song ),박상진 ( Sang Jin Park ),이담선 ( Dam Seon Lee ),정문수 ( Mun Su Jeong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2

        Navigation systems are currently being widely used in orthopedic surgery, and especially fo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or UKA. The mechanical axis alignment and component insertion can be judged accurately via a navigation system and this also helps in ligament balancing. A navigation system can also be used in ACL reconstruction and High Tibial Osteotomy (HTO). In open-wedge HTO, accurate multiplane measurements of the lower limb alignment can be made intraoperatively in real time, and alignment adjustments can be made as the surgeon desires. Navigation more accurately improves the postoperative lower limb alignment than the conventional cable-method, and it significantly reduces the radiation exposure time. Navigation for ACL reconstruction allows exact placement of the tibial and femoral tunnels and it prevents impingement, and it also significantly improves the results of isometricity of the femoral tunnel and the stability of the reconstructed ACL ligament. Using a navigation system in knee surgery provided useful intraoperative information about the anatomical placement that`s done intraoperatively in real time. It helps perform accurate surgery, it improves the radiologically assessed implantation and it allows precise correction of a mechanical axis, and so we can expect improved clinical results.

      • KCI등재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슬관절 부분 치환술 후 발생한 경골 고평부 피로골절

        송은규(Eun Kyoo Song),선종근(Jong Keun Seon),윤택림(Taek Rim Yoon),박상진(Sang Jin Park),이담선(Dam Seo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슬관절 부분 치환술은 최소 침습적 수술 방법이 이용되고 좋은 임상 결과가 보고되면서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나 경골 절제 가이드 고정 핀 삽입에 의한 피질골의 약화로 경골 내측 고평부 피로골절이 보고된다. 저자들이 경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슬관절 부분 치환술 후 경골 삽입물 주위 고평부 피로골절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Satisfactory results of unicondylar knee arthroplasty (UKA) have been reported since minimally invasive UKA had been introduced. However, several stress fractures of the tibial plateau, related to instrumentation design, have been reported. We report two cases of periprosthetic stress fractures of the tibial plateau after navigation-assisted unicondylar knee arthroplastie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수술 중 관절 주위 주사의 단기 마취 효과

        송은규(Eun-Kyoo Song),선종근(Jong-Keun Seon),박상진(Sang-Jin Park),김영진(Yong-Jin Kim),이담선(Dam-Seon Lee),양현기(Hyun-Kee Y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인공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수술 중 국소 진통제 주사를 시행하고 그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전신마취 하에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40명(남자 2명, 여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 실험군 20예와 대조군 20예로 구분하였으며 인공 삽입물을 삽입 직전 슬관절 주위 연부 조직에 실험군은 ropivacaine 40 ㎎, ketolocac tromethamine 2 ㎎, epinephrine 0.5 ㏄, morphine 0.8 ㏄를 국소 주사하였고 대조군은 실험군과 같은 양의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두 그룹 간의 술 전, 술 후 관절 운동 범위, visual analogue scale (VAS), 자가 통증 조절기 용량을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관절 운동 범위 및 VAS는 술 전에는 의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관절 운동 범위의 경우 술 후 6, 12시간에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그 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VAS는 술 후 6, 12시간, 1, 2일째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술 후 사용한 PCA 용량은 술 후 6, 12시간에 실험군에서 의의 있게 적게 사용되었다. 결론: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에서 인공관절 전치환술 시행시 관절 주위 국소 진통제 주사는 관절 운동 범위 회복, 술 후 통증 및 자가 조절 마취제 사용 감소에 있어서 술 후 초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intraoperative periarticular injection for osteoarthritic patients who are treated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Forty patients (2 males and 38 females) who underwent TKA under general anesthesia from January 2007 to May 2007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classified 20 cases to the injection group and 20 cases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injection group, we injected ropivacaine 40 ㎎, ketolocac tromethamine 2 ㎎, epinephrine 0.5 ㏄ and morphine 0.8 ㏄ to the periarticular soft tissue before inserting the prosthesis, and the same amount of saline was injected in the control group. We assessed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ROM),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the dosage of the patient controlled anesthesia (PCA) in both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operative ROM and VAS between the groups (p>0.05).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reported for the postoperative ROM at 6 and 12 hour. In terms of the VA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6 and 12 hours and at the first and second days after operation. The dosage of PCA was significantly lower at postoperative 6 and 12 hours. Conclusion: For the patients treated with TKA, periarticular injection to the operation site is supposed to be an effective method at the early stage for recovery of the ROM,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to decrease of the PCA dos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