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칼 뷜러의 삶과 사상

        이남석,Lee Nam-Seok 한국독어학회 2003 독어학 Vol.7 No.-

        Karl $B\"{u}hlers$ Sprachtheorie orientiert sich an der Psychologie. Das zeigt sich im zweten Teil dieser Arbeit. $Au{\ss}erdem$ haben wir da gesehen, wie $pl\"{o}tzlich$ er im deutschen Gebiet seine Wissenschaft abbrechen und so eilig nach Amerika auswandern musste. Damit konnte er sein wissenschaftliches Ziel, also allgemeine Sematologie im Sinne der Logik der $Humanit\"{a}t$, nicht erreichen. Aber trotzdem $la{\ss}t$ sich erwarten, dass wir mit seinem $unverg\"{a]nglichen$ Buch und anderen Daten wieder starten $k\"{o}nnen$. Er nennt das Sprechereignis, das unsere Sinne $r\"{u}hrt$, den ersten Gegenstand der Sprachwissenschaft. Das ist etwas Einmaliges, ein Geschehen hier und jetzt im bestimmten Zeitraum. Das anschauliche Zeigen $geh\"{o}rt$ so zum Wesen der $nat\"{u}rlichen$ Sprache wie die Abstraktion und das begriffliche Erfassen der Welt. Karl $B\"{u}hler$ spricht von dem anschaulichen Zeigen, weil er betonen wollte, dass Deixis an die Weltanschauung gebunden ist; symbolische $Ausdr\"{u}cke$ sind begrifflich andererseits, weil sie von der Sprechsituation $unabh\"{a}ngig$ sind. Die zwei Elemente, die zum vollendeten Erkenntnis $geh\"{o}ren$, sind unelinierbar in jedem $Sprachph\"{a}nomen$ enthalten. Wir mobilisieren die zwei auf jeden fall zu unserem vollendeten Erkenntnis der Welt. Ich habe die These mit der Formel S = M$\times$P beschrieben, die als Cartesisches Produkt von pragmatischen Komponent und Proposition interpretiert werden soll. Diese $Erkl\"{a}rung$ kann auch $ad\"{a}quat$ auf Zeichensinterpretation angewandt werden.

      • KCI등재

        연구논문 : 백제(百濟) 喪葬儀禮(백제상장의례)의 硏究(연구) -(금강유역)錦江流域 상장의례 遺蹟(유적)의 意味(의미)-

        이남석 ( Nam Seok Lee ),이현숙 ( Hyun Sook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6 백제문화 Vol.0 No.54

        喪葬儀禮는 인류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통과의례이지만, 절차적 행위로 기록되지 않을 경우 영속적이고 명시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특징 때문에 구체화하기 어렵다. 그런데 최근 중서부 지역, 특히 금강유역의 百濟권역에서 이루어진 유적발굴 결과 백제 상장의례의 이해를 증진시킬수 있는 것들이 발견되었음에, 이의 검토를 통해 기왕의 이해를 보다 진전시켜 보았다. 백제의 상장의례와 관련된 시설로 墳墓區域에 남겨진 유구로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방단적석유구, 공주 수촌리 고분군내 적석유구, 공주 웅진동 유적의 분묘와 공반 조성되어 있는 건축유구, 그리고 부여 능산리 능사의 북편 건물지 후면의 석축유구를 주목하여 보았다. 그리고 천안의 정촌 유적이나 아산의 갈매리 유적도 세종 평기리나 서천 봉선리 유적과 더불어 3~4세기 무렵의 상장의례 시설로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이들 유적은 時代別변천상을 갖추고 있는데, 원삼국기 이후 고총고분 조영환경에서 분묘의 모습이 구체화되고 나아가 횡혈식 묘제로 발전되는 것과 더불어 상장의례도 나름의 변천을 거듭하였음을 반증한다. 즉 세종 평기리 유적을 비롯한 원삼국기 유적에 남겨진 초기적 상장의례 환경은 동시기 墳墓遺蹟의 不在理由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매장시설로 墳墓가 具體化된 상황에서 진행된 儀禮흔적으로 공주 수촌리 적석유구의 정황은 4~5세기대의 상장의례 모습을 적극적으로 대변한다. 이후 발전된 횡혈식 묘제의 등장에 따라 의례시설이 개별 분묘별로 마련되는 변화상은 사비천도에도 지속된 것으로 보이나, 사비도읍기 陵寺에 남겨진 석축유구의 정황은 백제의 상장의례가 佛敎의 성행에 따른 또 다른 변화를 대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장의례의 복합성을 고려하면 절차나 과정을 상세하게 이해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그것이 통과의례이기에 社會變化에 밀접하게 연동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百濟墓制의 변화상과 상장의례 관련유적의 존재상을 함께 검토함으로써, 백제 상장의례를 구체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neral rituals are a rite of passage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human life. If the procedural behaviors are not record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teriorize them even if they may exist perpetually and proposedly. Recently, remains that coul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Baekje funeral rituals were excavated in the middle west area including Baekje region over Geum River Basin. The investigation on these remains have advanced the understanding of past customs. These remains are grave areas that show Baekje funeral rituals including Bangdanjeokseok area of Gobungun, Songsanri, Gongju; Seokjeok area of Ancient Tombs, Sucheonri, Gongju; tombs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in Ungjindong, Gongju; and stoneworks at the back of the northern premises in Neungsanri, Buyeo. In addition, Jeongchon remains in Cheonan and Galmaeri remains in Asan too are funeral rituals of significance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along with Pyeonggiri, Sejong, and Bonseonri remains in Seocheon. These ruins have changed over time. the features of graves were specified in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of old tomb mounds after the proto three kingdom period, and then funeral rituals repeated their transitions along with the emergence of lined tombs. In other words, the initial funeral ritual environments in the proto three kingdom period remains including those in Pyeonggiri, Sejong, may be the very reason for absence of other contemporary tomb remains. As those tombs were specified as burial facilities, rituals developed: the conditions of Jeokseok remains in Suchonri, Gongju, well represent the funeral rituals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Thereafter, lined tombs emerged and ritual facilities were prepared for individual graves accordingly. This change seems to remain up to the time of the transfer of the Baekje Capital to Sabi, but the features of Seokchuk remains in the great tombs during the period of Sabi capital imply another change of Baekje funeral rituals hat resulted from the prevelance of Buddhism. It seems to be difficult to understand details of the procedures of funeral rituals because of the complexity. Since they were a rite of passage, these rituals had to be closely related to social changes. It is expected, therefore, that examining the changes in Baekje graves and remains related to its funeral rituals will contribute to specifying Baekje funeral ritual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백제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검토

        이남석(Lee Nam-Seok) 한국고대학회 2007 先史와 古代 Vol.26 No.-

          금동관모의 중요성은 소유자의 사회, 정치적 위계를 가늠할 수 있는 유물이란 점이다. 최근 백제지역의 고고학 조사 증가와 함께 동시다발적으로 발견된 다량의 금동관모 자료는 이를 통하여 백제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들은 모두가 백제의 지방사회에서 발견되었고, 유적 자체가 수장급에 해당되는 무덤이란 공통점이 있으면서 각각의 유적은 지역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차별적 속성도 드러내고 있다. 나아가 이들은 대체로 4세기-5세기대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시간적 공통성도 있다.<BR>  본고는 이처럼 백제사 해명에 커다란 관건을 지닌 금동관모 이해의 전제로 이를 출토한 유적인 분묘를 검토하기 위하여 마련하였다. 논의는 금동관모를 출토한 분묘가 포함된 유적의 환경을 개관하고, 동반유물 및 금동관모의 내용을 정리하여 그에 대한 종합적 현황을 고찰하였으며, 나아가 금동관모가 출토된 무덤의 묘제 특징을 정리하여 그것이 백제의 묘제환경에서 어떤 위상을 갖는가를 가늠한 다음에 각 분묘의 피장자가 어떤 성격의 인물인가를 유추하여 보았다.<BR>  백제의 금동관모 및 관식이 출토된 유적은 나주 신촌리 9호분을 필두로 무령왕릉, 익산 입점리 1호 석실분, 천안 용원리의 9호 석곽묘, 공주 수촌리의 1호 토광묘와 4호 석실분, 그리고 부장리 5호 분구묘, 고흥의 안동 석곽묘를 꼽을 수 있다. 이중에서 무령왕릉만 관식이 출토되고 나머지는 금동관모가 출토되었는데 도읍지와 지방, 그리고 6세기대와 5세기대라는 차이를 지적할 수 있지만 금동관모는 대체로 4세기말에서 5세기대의 유물임을 지적할 수 있다. 그리고 금동관모가 출토된 유적은 모두 고분군으로 토광묘와 분구 옹관묘, 분구 토광묘, 석곽묘, 석실분이란 묘제구분이 가능하다. 이들을 백제의 묘제 범주에서 보면 지방사회의 고유전통을 간직한 토착묘제가 대부분이지만 석실분처럼 신래의 묘제도 있다. 다만 각각의 금동관모가 출토된 무덤은 지방의 고유전통을 간직한 묘제환경에서 벗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비록 석실분처럼 새로운 묘제가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토착의 전통환경에 바탕을 두면서 새로운 묘제를 수용하였음이 확연하게 나타난다. 결국 이러한 현황은 금동관모를 출토한 무덤들은 모두 백제 지방사회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묘제환경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하고, 나아가 이는 금동관모의 소유자인 피장자가 그 지방에 뿌리를 둔 토착세력인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결론된다.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Golden Crowns of the Baekje Dynasty lies in the fact that these crowns allow a researcher to approximate the social or political status of its owner with a high degree of certainty. The current boom in archaeological research of Baekje"s history and the simultaneous accumulation of research materials regarding the Golden Crowns are both positive trends that compliment our understanding of Baekje"s history. It is interesting that each and every Golden Crown was discovered in Baekje"s rural society and that while every one of these tombs had the common purpose of burying only the authorities who were of higher status than the provincial chief, each body was buried according to local ancestral rites. Another noteworthy fact is that the graves, artifacts, and the Golden Crowns all dated back to the 4th and 5th century.<BR>  Based upon this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se Golden Crowns,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owners of the crowns by making a thorough analysis of the tombs themselves. And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all information regarding the setting and background of the tombs,the Golden Crowns, and all other relevant articles, this research provides a general understanding of burial sites. It also 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estral rites used for the burials in order to unearth various clues that might reveal the social/political status of the body.<BR>  Archaeologists discovered artifacts from the following locations: Najoo Shinchonli tomb site number 9, the tomb of King Mooryung, Iksan Ipjumli stone chamber tombs site number 1, Cheonan Yongwonli stone-lined tombs site number 9, Gongju Soochonli Pit tombs tomb site number 1 and stone chamber tomb site number 4, Boojangli burial mound number 5, and the stone tomb of Goheung located in the city of Andong. Gold ornaments that were used to decorate the tomb itself were discovered only in the burial site of King Mooryung, while Baekje"s Golden Crowns were discovered in all of the other tombs. Some of the crowns were located in populous areas near the capital while others were found in the rural provinces. Some were found to be 5th century works of art while others dated back to the 6th century. The tombs were classified into tombs of baked earth, burial stone vases, burial pit tombs, stone-lined tombs, and stone camber tombs, each with its own ancestral burial rites. Overall, we can see that Baekje buried their dead according to regional style, but we can also glimpse its use of modern tombs such as the stone chambertomb. Likewise, even though the burial grounds in which the Golden Crowns were discovered did not differ much in style from its traditional heritage, the Baekjae burial culture also exhibited the flexibility to receive and apply modern versions as well. But nevertheless, the tombs were an inherent part of the provincial culture. Upon this assumption, we can presume that the owners of the Golden Crowns were authorities whose roots were based in regional and provincial power.

      • KCI등재
      • KCI등재

        百濟의 冠帽 · 冠飾과 地方統治體制

        이남석(Lee Nam-seok)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3

        본고는 최근 증가된 백제 금동관모의 존재에 주목하여, 기왕의 관모 · 관식자료를 종합하여 이를 재질과 형태별로 구분하고 나아가 시간적 · 공간적 존재양상을 살핀 다음, 백제의 의관제 및 지방통치 양태에 적용하여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백제의 관모 · 관식은 금동관모와 은제관식으로 양분되고, 선 · 후적 시기구분과 힘께 분포양상에서 나름의 특이성이 포착된다. 여기에 관모 · 관식자료를 제도로 시행된 의관제와 대비할 경우 부합문제도 나타난다. 금동 관모는 한성도읍기란 시간 범위 속에서 백제의 지방사회에, 은제관식은 도읍과 지방사회란 공간 속에서 사비도읍기란 시간 범위에 서로 엄격하게 구분된 채 잔존한다. 이중에서 사비도읍기의 은제관식만이 제도로 실행된 의관제와 정확히 일치하며, 배경에 웅진도읍기의 혼란을 수습한 백제가 중앙과 지방을 일원화시킨 지배질서의 구현과 관련 있다. 관모 · 관식은 위세품으로 중앙에서 지방에 사여된 것이고, 따라서 이들은 백제의 중앙과 지방의 관계, 즉 지방의 통치방식을 대변하는 물적 자료이다. 더불어 백제의 관모 관식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용의 변천을 드러내기도 한다. 일찍이 금동관모는 지방의 독자성이 상당히 유지된 환경에서 사여되었다가, 나중에 금동관모를 대신하여 은제관식이 중앙과 지방의 사회, 문화적 통일적 환경이 조성된 환경에서 사여됨이 그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백제의 지방통제방식의 변화와 관련 있을 것으로 여겨져 금동관모는 담로제의 범주에서, 그러고 은제관식은 방 · 군 · 성제란 지방통제방식의 범주에서 남겨진 유물로 보았다.

      • KCI등재

        橫穴式 墓制의 淵源과 展開

        이남석(Lee, Nam-Seok) 한국고대학회 2009 先史와 古代 Vol.30 No.-

        본고는 한반도 고대사회의 주묘제로 활용되었던 횡혈식(橫穴式)의 연원을 살피고자 마련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횡혈식은 어떤 묘제이고, 동아시아에서 이 묘제의 발생이 어디에서 언제 시작되며, 나아가 한반도에 시공간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삼국의 묘제로 채택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횡혈식 묘제는 장제적으로 이전의 단장묘(單葬墓) 대신에 합장(合葬) 혹은 다장(多葬)이 전제된 묘제로, 출입시설이 마련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꼽는다. 이 묘제는 묘, 장제적으로 선행묘제인 수혈식(竪穴式) 묘제와 큰 차이가 있으며, 나아가 선행묘제의 진화보다는 3세기 혹은 4세기 대에 고구려와 백제, 그리고 5세기말 혹은 6세기 무렵에 신라와 가야지역에 시간차를 두고 새롭게 등장한 묘제이다. 대체로 낙랑 대방지역을 필두로 4세기 이후로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된 묘제이다. 중국의 전한(前漢) 중기에 부부합장(夫婦合葬)이란 장제의 변화에 부응하여 발생된 이 묘제는 처음에 목제 관곽(棺槨)의 사용이 기본이었으나 점차 전실분(塼室墳)으로 변화되고, 나아가 생전의 주거형상을 모방한 다실묘(多室墓)까지 발전된다. 이에 한반도 횡혈식 묘제는 중원(中原)의 횡혈식 묘제가 낙랑과 대방을 통해 유입되고 그것이 석실분(石室墳)으로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다만 고구려의 경우는 봉토석실분(封土石室憤)에서 그 시원을 구할 수 있지만, 적석총(積石塚)에 횡혈식 구조의 등장은 만주지역과 관련된 것인지, 봉토석실분의 확산에 의한 것인지의 판단은 유보된다. 반면에 백제는 서북한(西北韓) 지역에서 파급된 것이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난다. 나아가 신라·가야는 고구려 혹은 백제에서의 2차 파급으로 늦게 횡혈식 묘제가 유입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that made the dominant type of tombs in the ancient society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examined what type of tombs it was, when and where it was born in East Asia, how it developed both in time and spac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how it's selected by the Three Kingdoms. Based on the premise of twin or multiple burials instead of single burial,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are best characterized by an entrnace. They widely differ from their predecessor, which was a tomb in a vertical digging style. They were not the result of the predecessor's evolution but newly appeared in Goguryeo and Baekje in the 3rd or 4th century and Shilla and Gaya in the late 5th or 6th century. They became wide spread across the peninsula starting in Nakrang and Daebang around the 4th century. Created to respond to the conjugal burial in the middle of Former Han in China, tombs with a tunnel entrance basically had a wooden chamber in the early days but gradually moved towards a brick chamber, ultimately holding multiple chambers that mimicked the living spaces of the deceased. Thus it can be said that they were introduced from the midlands through Nakrang and Daebang and developed into stone-chamber tombs in the peninsula. In Goguryeo, their beginning can be traced back to a grave mound with a stone chamber. However, it's not for certain if the introduction of a tunnel entrance into a stone mound was related to Manchuria or was affected by the expansion of a grave mound with a stone chamber. In Baekje, its relatively clear that they were introduced from the Seobukhan area. And it's confirmed that Shilla and Gaya were late to introduce a tomb with a tunnel entrance from Goguryeo and Baekje.

      • KCI등재

        연구논문 : 사(泗)비都城의 경관(景觀)과 나성(羅城)의 축조배경(築造背景)

        이남석 ( Nam Seok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백제문화 Vol.1 No.50

        본고는 사비도성의 경관은 서기 538년에 천도한 이후 약 120년간 점진적으로 완비되었다는 이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이다. 그 방법으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나성의 축조시기와 배경을 검토하여 보았다. 그동안 나성의 축조 시기는 유물에 근거하여 천도 전으로 추정됨이 많았다. 그러나 유물은 유적의 상한 연대를 가리킬 뿐으로 절대연대를 지표하는 것이 아니기에 도성의 조영환경, 유적의 잔존정황, 조사내용의 종합하여 나성은 오히려 천도 후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는 사비도성의 전체적 경관을 고려하면서, 나성이 능사부근에서 우회한 점, 동문지 부근의 성체 하단에 선행의 유적이 잔존하는 점 등은 나성이 사비 천도 후, 적어도 능사보다 늦은 시기에 축조되었다는 고고학적 결론에 근거한 것이다. 따라서 나성은 27대 위덕왕대에 축조된 것으로 보았는데 이는 대신라 전쟁의 패배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에서 나성이 축조되었다는 역사적 이해도 진행하여 보았다. A article is written to prove the understanding stating that the landscape of Sabi-Castle was gradually completed during 120 years after the capital castle was transferred in A.D. 538. In order to prove this theory, the article looks through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Naseong which is still the focus of controversy.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Naseong was assumed to be prior to the transfer of the capital based on its artifacts. However, the artifacts only indicate estimated year and is not definite. After considering construction environment of the capital castle, remaining evidence and contents of investig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Naseong was constructed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his conclusion comes after consideration of overall landscape of Sabi-Castle. Like how the Naseong detours near the and how the artifacts from prior times were discovered at the lower ground near the east castle wall. These facts derive to the archaeological conclusion that the Naseong was built after the Neung-Sa. Therefore, the Naseong is considered to be built during the era of King Uideok, the 27thKing of Baekje for political purpose to overcome the defeat from the war against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