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수중운동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및 상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규진,김용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9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tereotypical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29 children (age 8-12 years) with autism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aquatic exercise group (n=10), a conventional exercise group (n=10), or a control group (n=9). Communication skills and stereotypical behaviors were evaluated using a videotape recorder (VTR)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 One-way ANOVA, paired t-test, and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Paired t-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kills and stereotypical behaviors for the aquatic exercise group and conventional exercise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intervention and time regarding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in stereotypical behaviors. In conclusion, the aquatic exercise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communication parameter which was evaluated, suggesting that aquatic exercise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mong children with autism. 본 연구는 수중운동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및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A지역에 위치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만 8∼12세 자폐성장애 아동 29명으로 수중운동 참여군 10명, 일반운동 참여군 10명, 통제군 9명으로 무선할당 되었다. 수중운동 참여군은 수중운동 프로그램에 12주간 주 1회 참여하였으며, 일반운동 참여군은 기본적인 움직임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운동발달 프로그램에 동일한 기간에 참여하였다. 통제군은 다른 집단의 운동중재 기간 중에 학교 정규 체육수업에서 제공하는 수업 이외에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의사소통 기능과 상동행동은 비디오 녹화를 통하여 해당 변인의 지속시간을 학교생활과 운동중재 상황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수중운동 참여군, 일반운동 참여군, 통제군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집단 내 사전, 사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종속 T검증(paired T-test), 수중운동 집단, 일반운동 집단, 통제군 간의 효과를 그룹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 for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집단 내 사전-사후 검증 결과 수중운동과 일반운동 그룹에 참여한 자폐성장애 아동 모두 운동 참여 전에 비하여 의사소통 기능 및 상동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 집단 간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수중운동이 일반운동에 비하여 의사소통 기능에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지만 상동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중운동이 의사소통 기능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후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관련 수중운동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운동중재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중환자실에서 환자가 겪는 고통

        이규진,이종석,신증수,남용택,정채홍 대한마취과학회 1995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8 No.2

        Intensive care unit (ICU) is an area which promotes feeling of high anxiety. And patients in ICU suffered from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comforts. The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comforts are varied according to patients themselves, age, character, illness and environment such as ICU structure, staff, operating system.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comforts can affect treatment and prognosis of disease. Several reports have appeared of adverse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effects of intensive therapy. On the other hand, some patients may be reassuered by continuous surveillance and exhibit emotional reactions and increased cathecholamine production on returning to a general ward$quot;. It may be possible to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se effects by improv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We evaluated the recall of 300 patients after ICU discharge, and 609o of the patients had unpleasant experiences in ICU admission.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unpleasant experiences were pain(18.6%), family worries(15.6%), tracheal suction(5.0%), blood sampling(5.0%), sleep deprivation(4.6%), noise(3.3%), limit of motion and posture (3.0%), unkindness(2.6%) and others(1.0%). We asked about fear for dying in their ICU stay, and 106(35.3%) of 300 patients responded y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PACHEII score between fear for death and not. Therefore we must try to reduce patient's various painful stimli by more careful and kind treatments. Medical staff should remember that their trivial behavior could stimulate patients and should try to control their patients by heartful experiencing about the prognos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PB/MC-CDMA 시스템에서 결정 귀한 채널 추정 기법을 이용한 성능 향상 방법

        이규진,김귀정,Lee, Kyujin,Kim, Guiju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12

        본 논문에서는, PB/MC-CDMA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파일롯 심볼 및 데이터 심볼을 이용한 결정 귀환 채널 추정 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B/MC-CDMA 시스템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 및 주파수 영역 등화기를 통하여 좋은 비트오율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정확한 채널 추정이 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간의 심각한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성능 저하가 일어난다. 제안 시스템은 1차 채널 추정 값과 2차 채널 추정된 값을 결정 귀환시켜 채널을 추정함으로써 다중사용자 환경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 시킨다. 제안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간의 간섭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보상하여 비트오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채널 추정을 위한 파일롯 심볼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기존의 시스템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B/MC-CDMA system, we have researched about the decision feedback channel estimation method using the pilot symbol with data symbol. The PB/MC-CDMA system is able to obtain the improved BER by frequency diversity gain and frequency domain equalizer in the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However, when it is not the estimating of channel exactly, it is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BER in the system for occurred the interference among users. To improve the performane system in the multi-user environment the proposed system is using the decision feedback to estimate channel using the channel estimated value of the first stage and second stage. The proposed system is evaluated by computer simulation. The proposed system is not only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ER by decreasing the interference to each user, but also the proposed system is possible to reduce number of pilot symbol to estimate the channel. Therefore, it confirmed the proposed system improves the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system.

      • KCI등재

        상수리나무림의 유기탄소 분포에 관한 연구

        이규진,문형태 한국생태학회 2005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8 No.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rganic carbon distribution, net primary production, annual litterproduction, organic carbon in litter layer, soil organic carbon and soil respiration were studied in an oak forest, Kongju, Chungnam Province in Korea. Net primary production was estimated to 15.84 ton Cha-1yr-1. The amount of carbon allocated to leaf and reproductive organ, branch, stem and root was 1.71, 4.03, 7.34, 2.76 ton Cha-1yr-1, respectively. Anual litter production was 5.21 tonha-1yr-1, which amounted to 2.35 ton Cha-1 yr-1. Average amount of organic carbon in litter layer (L+F) was 6.06 ton C/ha, and that of L layer decreased carbon in this oak forest was 165.19 ton C/ha. The amount of carbon evolved through soil respiration was 11.24 ton Cha-1yr-1. Net amount of 4.60 ton Cha-1yr-1was absorbed from the atmosphere by this oak forest. 삼림생태계의 유기탄소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주지역 상수리나무림에서 연순생산량, 연간 낙엽생산량, 임상 낙엽층 의 유기탄소량, 토양의 유기탄소량, 연간 토양호흡량을 조사하 였다. 조사기간 중 상수리나무림의 순일차생산량은 15.84 ton Cha-1yr-1으로 추정되었으며, 잎과 생식기관, 가지, 줄기,뿌리에 각각 1.71, 4.03, 7.34, 2.76 ton Cha-1yr-1이 배분되었다. 연간 낙엽생산량은 5.21 tonha-1yr-1이었으며, 생산된낙엽을 통해 연간 임상으로 이입되는 유기탄소량은 2.35 ton Cha-1yr-1이었다. 상수리나무 임상 낙엽층의 평균 유기탄 소량은 6.06 ton C/ha로 조사되었으며, L층의 유기탄소량은 동절 기에서 하절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층별 유기탄소 함량은 표층에서 하층으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본 상수리나무림 토양의 단위면적당 유기탄소량은 165.19 ton C/ha로조사되었다. 상수리나무림은 토양호흡을 통해 연간 11.24 ton Cha-1yr-1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였다. 조사지의 상수리나 무림은 대기 중으로부터 연간 4.60 ton Cha-1yr-1을 순흡수 하였다

      • KCI등재

        실 주행 자료를 이용한 도로유형·시간대별 연료소모량 차이 검증 및 배출계수 보정 지표 분석

        이규진,최기주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지 Vol.33 No.5

        The reliability of air quality evaluation results for green transportation could be improved by applying correct emission factors.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estimated emission factors that focused on vehicles in laboratory experi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emission factors according to road types and time using real driving data. The real driving data was collected using a Portable Activity Monitoring System (PAMS) according to road types and time, which it compared and analyzed fuel consumption from collected dat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fuel consumption on national highway is 17.33% higher than the fuel consumption on expressway. In addition, the average fuel consumption of peak time is 4.7% higher than that of non-peak time for 22.5km/h. The difference in fuel consumption for road types and time is verified using ANOCOVA and MANOVA. As a resul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 that fuel consumption differs according to road types and time, even if the travel speed is the same - has proved valid. It also suggests correction factor of emission factors by using the difference in fuel consumption.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emissions from mobile pollution sources. 현재 교통수요모형 기반의 자동차 배출량 추정 모형에서 교통 활동도 자료는 세부적으로 고려되는 반면, 배출계수는 평균적인 값만 반영되고 있기 때문에 배출량 산정 결과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도로유형 및 주행시간대와 무관하게 동일한 배출계수가 적용되는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유형과 주행시간대별 연료소모량 차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기반으로 각 유형별 배출계수의 보정 지표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동식 차량활동도 모니터링 장비 (Portable Activity Monitoring System: PAMS)’를 이용해 도로유형․주행시간대별 실 주행 자료를 수집하였고, 각 유형별 연료소모량을 추정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평균 주행속도가 22.5km/h 일 경우, 도로 유형별 주행차량의 가감속도 변화 등의 차이에 따라 국도에서의 연료소모량(95g/km)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81g/km)보다 약 17.3%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첨두시간대의 평균 연료소모량(86.73g/km)은 비첨두시간대(82.84g/km)보다 약 4.7%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유형별 연료소모량의 차이는 공변량 분석 (ANOCOVA)과 다변량 분산분석 (MANOVA)으로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주행속도가 동일할지라도, 도로유형과 주행시간대에 따라 연료소모량의 차이가 있다” 는 본 연구가설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료소모량의 차이를 활용하여 각 유형별 배출계수 보정 지표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차량 중심의 배출계수 연구에서 벗어나, 도로․교통 조건에 따른 배출계수 특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교통부문의 배출량 추정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