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초기 상황에서 교사가 겪는 어려움의 교사특성별 양상

        이규빈(Kyubin Lee),유성상(Sung-Sang Yoo),임영신(Youngshin Lim)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2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1 No.1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교사가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 그리고 교사의 특성에 따라 어려움의 양상이 달라지는지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전국 초중등 교사 1,8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교사는 교육부의 가이드라인이 명확하지 않음에, 지침이 하달식으로 내려오는 방식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수업준비에 어려움을 느꼈다고 대답한 교사는 약 10%에 그쳤다. 한편, 교사의 특성별로는, 경력 및 세대, 연령, 학교급, 직위에 따라 어려움을 느끼는 지점이 달랐다. 교사의 역할 인식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는데, 교사의 역할 인식과는 관계없이 대부분 교사들이 불명확한 가이드라인과 지침하달 방식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결과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집단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what difficulties teachers face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whether the pattern of difficulties varies depending on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Survey data of 1,839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nationwid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cross-analysi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y in unclear guidelines and in the way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issued in the top-down way. Only about 10%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had difficulty preparing for classes. By teacher s characteristics, the points of difficulty vary according to career and generation, age, school level, and the statu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 s role perception was not large, but regardless of the teacher s role perception, most teachers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unclear guidelines and top-down way of conveying guideline. Based on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eacher group is required.

      • 에너지 순환을 위한 폐자원 에너지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촉매를 이용한 성능향상

        이규빈 ( Kyubin Lee ),안연주 ( Yeonjoo Ahn ),이원미 ( Wonmi Lee ),권용재 ( Yongchai Kw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각국에는 기존의 연료인 석탄 및 석유의 에너지를 줄이고 온실가스 저감 및 저탄소 생활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매립되는 폐기물을 재사용하기 위해 폐기물에 저장된 많은 양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가스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다. 이렇게 생산된 전기에너지중 일부는 자체적으로 소모가 되고 일부는 한국전력에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가스는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지 못하여 버려지게 된다. 그 이유는 매립지에서 발생된 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어렵고 전기에너지의 다양한를 따라가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정한 에너지 공급과 잉여전력의 저장을 위해 재생에너지 산업에 꼭 필요한 장치가 에너지저장장치(ESS)이다. 그 중 친환경 적이며 높은 내구성 및 안전성을 갖는 장치가 VRFB이다. VRFB의 경우 바나듐을 활물질로 사용한 2차 전지로서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화학적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순간에 발전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ESS를 사용하면 에너지 공급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버려지는 에너지를 저장하여 언제든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많은 장점을 가진 VRFB 이지만 아직 기술적으로 완전하게 정립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성능향상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많다. 우리는 VRFB 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촉매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해 왔다. B과 N은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진 촉매로서 이를 다공성 carbon 인 MSU-FC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이 촉매를 사용함으로서 에너지 밀도와 에너지효율에 성능향상을 보였고 또한 Capacity 또한 유지되는 것을 보였다.

      • 바이오가스의 에너지 저장을 위한 레독스 흐름전지

        이규빈 ( Kyubin Lee ),안연주 ( Yeonjoo Ahn ),양종원 ( Jongwon Yang ),크리스트와르다나마셀리너스 ( Marcelinus Christwardana ),권용재 ( Yongchai Kw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심포지움 Vol.2016 No.2

        폐기물에서 고 순도의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시대가 열였다. 2013년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배출 금지로 인해 한국에서 많은 양의 폐기물을 매립하도록 제도 변경되었다. 또한 온실가스 저감의 목표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까지 기존의 CO2 발생의 37%를 감축하도록 법이 재정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재생에너지의 정책이 확대되고 신재생 에너지의 공급의무화 제도도 신설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매립된 폐기물에서의 에너지 재사용이 어느 EO보다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매립지에서는 폐기물에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활용한 발전을 통해 매년 큰 수익을 얻고 있는 실정이다. 바이오가스와 같은 신재생에너지에서의 에너지 저장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중 하나는 에너지의 생산량이 시간, 외부 환경등에 영향을 받아 일정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ESS 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현재 국가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으로 ESS 시스템에 대한 지원을 늘려가고 있다. ESS는 여부의 남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한 다음 필요한 시기와 양에 따라 저장된 에너지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이다. 그 중 레독스 흐름전지는 리튬배터리가 가지는 짧은 수명과 안전성을 보완한 제품으로 차세대 ESS로 각광받고 있다. 레독스 흐름전지를 통한 바이오가스의 에너지 저장이 차세대 재생에너지 사업에 기여하게 될 전망이며, 우리는 이를 위해 레독스 흐름전지에 중요 구성요소인 전극 및 반응 개선을 위한 카본촉매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에 비해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고 효율의 에너지를 달성할수 있었다.

      • KCI등재

        보습학원에 참여하는 학부모의 문화적 논리

        이규빈(Kyubin, Lee),유성상(Sungsang, Yoo)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가 보습학원 형태의 사교육에 참여하는 논리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Lareau(2003/2012)가 제시한 문화적 논리(cultural logic)의 개념으로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부모들의 ‘자녀교육을 통한 자녀에 대한 책임의식’이 다름 아닌 ‘사교육 참여’로 행해진다는 데 주목한다. 보습학원에 참여하는 학부모(이하 보습학원학부모)는 자녀에게 사교육을 제공해주어야 한다는 기본적인 부모 논리뿐만 아니라 양질의 사교육을 제공해주어야 한다는 부차적인 책임의식 역시 느끼고 있다. 이는 기존 집중적인 사교육 담론과 일치하는 부분으로, 보습학원학부모 또한 기존 사교육 참여의 문화적 논리를 인지하며 때로는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자본으로는 보습학원에 보내는 것이 가장 적당한 선택지라고 인식한다. 이와 같이 보습학원학부모는 자녀에게 좋은 사교육을 제공해주어야 한다는 부모의 책임의식과 사회경제적 제약 사이에서 지속적인 내적 충돌과 갈등 과정을 겪는다. 그러나 충돌과 갈등은 방치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해결되지도 않는다. 다만 타협의 과정을 거친 후 보습학원 형태의 사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잠시 소강을 맞는다. 보습학원은 부모의 책임의식과 사회경제적 제약의 타협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 타협의 과정에서 그들만의 문화적 논리가 구성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기존 논의되었던 교육열 담론이나 과도한 교육개입의 논의를 넘어서서 사교육 현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한다. 이 같은 확장으로 우리나라에 명실공히 존재하는 사교육이라는 ‘교육현상’을 교육적 틀 안에서 새로이 논의할 가능성을 연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logic of parental involvement in ‘Bo-seop Hakwon’, one of the kinds of private educations in Korea.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a concept of cultural logic presented by Lareau (2003/2012) is applied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This study focuses on that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hildren through engaging in child education” of Korean parents, is represented by a “engaging in private education”. Parents who engage in Bo-seop Hakwon (hereinafter referred as ‘Bo-seop Hakwon mom’)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both providing privat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s a basic parental logic and even providing quality one. This is in line with the existing researches about concerted private education involvement, and Bo-seop Hakwon mom is also aware of the cultural logic of the concerted involvement in private education and sometimes accepts it.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y recognizes that participating Bo-seop Hakwon is the most appropriate option because of their socioeconomical limitation. As such, Bo-seop Hakwon mom struggles a process of internal conflicts and discord between their parental responsibility for providing good private education to children and their own socioeconomic constraints. However, such struggles are not neglected nor resolved actively. After compromising their internal conflicts, they just come to a state of lull by engaging in Bo-seop Hakwon. In other words, Bo-seop Hakwon can play a role of a compromise between parental responsibility and socioeconomic limitat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y are composing the cultural logic of their own in the process of compromise. Based on the finding of study, this paper presents perspectives on furthe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private education beyond the existing discussion of ‘education fever’ or ‘excessive education involvement’ centered on the middle class. This study contributes to novel insight of private education as one of ‘the educational phenomenon’, which clearly exists in the context of Korea.

      • KCI등재

        한국과 호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비교 -발전 과정 및 현황을 중심으로-

        김유연 ( Youyeon Kim ),이규빈 ( Kyubin Lee )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3 No.-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Both countries had an identity, historically as a homogeneous nation in the past, but have now acknowledged the constantly changing situations in the ever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that occurred in Australia during the 1970s and in Korea during the 2000s have respectively started to implement and review their multicultural policies. In the case of Australia, which holds a longer history of multicultural policies than Korea, may be able to provide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olicy document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and supplemented them by both an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key people concerned. We have discovered that Korea has been implementing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as a part of its multicultural policy since 2006. However, while it is still in a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paradigm’ targeting primarily on immigrant students, Australia’s policy is moving beyond transitional and conservative bilingual education elements to additional bilingu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LOTE(Language Other Than English) also includes Auslan(Australian Sign Language). Based on this analysis, the potential implications for a successful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are derived as follows: 1. The policy should move away from the paradigm of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to help immigrant students adapt to Korean society and to move into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to achieve an authentic and cohesive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do this, however, we will need to propose a method to reorganize the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select the languages of the community from the viewpoint of a bilingual education. 2. When choosing a language for a biling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nority in our society. 3.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bilingu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policies should be revised as wel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Overproduction of anthocyanin in ginseng hairy roots enhances their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elastase activities

        진소라(Sora Jin),방성훈(Seounggun Bang),안민아(Min-A Ahn),이규빈(Kyubin Lee),김경환(Kyunghwan Kim),현태경(Tae Kyung Hyu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21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48 No.2

        Genetic engineering is a potential approach to improve secondary metabolism in plants.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production of anthocyanin pigment 1 (PAP1) overexpression on the bioactivity of ginseng, we analyzed its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elastase activities in this study. Our results showed that PAP1 overexpression increased the production of polyphenolic compounds including anthocyanins. The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elastase activities were stronger in anthocyanin-overproducing ginseng hairy roots (AOX) than in wild ginseng hairy roots. Using a different solvent system (0, 30, 70, and 100% (v/v) EtOH), we revealed that variations in the contents of the polyphenolic compound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OX. The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elastase effects of AOX highlight genetic engineering as a powerful approach to enhance the therapeutic properties of plants. Our results show that AOX could potentially have various functional applications in th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 KCI등재

        Al 파우치-타입 리튬이차전지용 Ni 리드-탭과 리드-필름 간 결착력 향상을 위한 리드-필름 표면처리 연구

        권용갑(Yong Kab Kwon),박성은(Seong Eun Park),이규빈(Kyubin Lee),김기재(Ki Jae Kim) 한국고분자학회 2019 폴리머 Vol.43 No.5

        본 논문에서는 파우치 타입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Ni 금속 리드-탭과 리드-필름 간의 결착력 향상을 위한 화학적 표면처리 연구를 수행하였다. 과산화벤조일(BPO)을 리드-필름에 적용할 경우 다량의 산소 관능기가 필름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BPO 표면처리를 통해 표면에 형성된 산소관능기가 금속 Ni 리드-탭과의 결착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점착력 실험(peel test)을 수행하였다. 초기 점착력의 경우 표면처리 되지 않은 리드-필름 대비 Ni 금속 리드-탭과의 결착력이 38% 향상되었으며 상용 리튬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전해액에 80 ℃ 온도에서 24시간 함침시킨 후 점착력을 측정한 결과 20%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By chemical treatment with benzoyl peroxide (BPO, C14H10O₄), oxygen functional groups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rface of the lead-film. To understand the effect of oxygen functional groups into the surface of the lead-film on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Ni metal lead-tap and lead-film, peel 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initial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m was improved by 38% when the BPO-treated lead-film was used. In addition, after the BPOtreated lead-film and non-treated lead-film were attached on the lead-tap, respectively, and then they were immersed in a conventional electrolyte of LiB at 80 ℃ for 24 h,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lead-tap with the BPO treated lead-film was improved by 20% compared to the lead-tap with the non-treated lead-film.

      • KCI등재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탄소-고분자 복합 분리판의 개발

        정미나(Mina Jung),한지우(Ji Woo Han),박성은(Seoung Eun Park),이규빈(Kyubin Lee),김기재(Ki Jae Kim) 한국고분자학회 2021 폴리머 Vol.45 No.2

        팽창 흑연(expanded graphite)과 폴리(플루오르화 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를 혼합하여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VRFB)용 분리판을 제작하였다. PVDF를 3 , 6, 9 % 첨가하였고 제작된 분리판의 표면 분석과 5 M 황산에 대한 팽윤율 측정을 시행하였다. PVD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분리판 표면의 크랙과 팽윤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PVDF 첨가량이 6% 이상일 경우 팽윤 정도가 미미했다. 이는 소수성과 내산성을 가진 PVDF가 팽창 흑연의 갈라진 틈 사이를 채워 표면의 크랙을 감소시키고 팽윤을 억제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6% PVDF가 첨가된 분리판에 대하여 표면 분석, 바나듐 투과도 측정, 내식성 평가, 관통 저항 측정을 수행하였다. PVDF가 첨가된 분리판에 대하여 더 고른 표면이 관찰되었으며 바나듐 투과도가 5배 감소하였다. 또한 팽창 흑연 분리판 대비 향상된 내식성을 나타냈다. PVDF의 첨가로 인해 관통 저항은 소폭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팽창 흑연-PVDF 복합 분리판은 VRFB에의 적용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Composite bipolar plat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FB) were fabricated with the expanded graphit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Swelling in the 5 M sulfuric acid and surface morphology of the bipolar plates were measured for the PVDF content of 3, 6, and 9%. Swelling ratio and cracks on the surface of the bipolar plates decreased with increase of the PVDF content. Swelling ratio was negligible when PVDF content is over 6%. It is because the hydrophobic and acid resistant PVDF was introduced into porous expanded graphite matrix. Based on this result, vanadium permeability test, corrosion test, through-plane resistance measurement were conducted for the bipolar plate with 6% PVDF. Smooth surface and 5 times reduced vanadium permeability was observed for the PVDF added bipolar plate. And it showed enhanced corrosion resistance and slight increase for through-pane resistance. As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is composite bipolar plate is suitable for VRFB.

      • 꿀벌 독의 독성 강도와 동물에 미치는 영향

        김하영(Hayoung Kim),김희연(Hee-Yeon Kim),김혜주(Hyeju Kim),이규빈(Kyubin Lee),안민지(Minji An),정소연(Soyeon Jeong),이용호(Yong-Ho Lee) 한국동물보건학회 2023 한국동물보건학회지 Vol.2 No.4

        Sting injury by bees or wasps have become frequent recently and have become a matter to prevent and consider in companion animal health c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tter understand the level of toxicity of Hymenoptera insect venom, and in this study, we were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honey bee venom and its effects on animals through an acute toxicity test using mice. The mouse acute toxicity test was performed by intraperitoneally administering 0, 2.5, 5, and 7.5 mg/kg of bee venom to C57BL/6 mice. Body weight changes and bloo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During the administration, major common symptoms were observed. Lethal dose 50(LD50)values were calculated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acrificed animals and used for hematologic examination to measure blood levels of ALB, ALT, AST, BUN, LDL, HDL, and total cholesterol. As a result of the mouse acute toxicity test, the LD50 value was found to be 4.48 mg/kg in male and 5.86 mg/kg in female C57BL/6 mice. Information on the toxicity of bee venom and hematological analysis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health care and emergency treatment of animals stung by b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